[include(틀:상위 문서, top1=MBC GAME HERO)] [include(틀:MBC GAME HERO)]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에서는 [[하태기]] 감독이 [[스페셜 포스|SF]] 감독으로 빠지고 [[김혁섭]] 코치가 [[감독 대행]]이 되어 팀을 이끌었지만, 2라운드를 앞두고 [[정범수(프로게이머)|정영철]]이 [[SK텔레콤 T1/스타크래프트|SKT T1]]으로 이적[* 나중에 밝혀진 사실에 따르면 당시 SK텔레콤 T1에서 원했던 선수는 [[고석현]]이었으나, MBC GAME HERO 측에서 거절하여 차선책으로 정영철을 보냈다고 한다.]하는 등 선수 장사는 이번 시즌에도 계속되었다. 게다가 시즌 내내 팀 내 주전 선수들이 하나같이 부진했고, 그 결과 시즌을 9위로 마무리했다.[* 엠겜보다 밑에 깔린 팀들은 순서대로 [[eSTRO]], [[위메이드 폭스]], [[공군 ACE]]였는데, 이 팀들이야 나름대로의 [[속사정#s-1|속사정]]이 있었다. 이스트로는 원래 만년 약체 프로팀이고, 위메이드는 소속 선수들을 외적인 일로 수시로 써먹느라 선수들이 제대로 연습에 매진할 리가 없었고, 공군이야 군인팀이니 뭐 어쩔 수 없는 경우다. 이러한 아래의 팀들을 빼고 보면 엠겜이 사실상 이 시즌 [[꼴찌]]나 마찬가지였다.] [[이재호(프로게이머)|이재호]]는 부진했던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8]]과 달리 잘 해줬지만, 이 시기 [[염보성]]과 [[민찬기]]가 갑자기 삐걱거렸으며[* 물론 염보성은 [[스막라인|스막]] 소리를 들을 정도로 몰락한 건 아니었고 여전히 제 몫은 해 줬다. 하지만 진짜 문제는 민찬기로, 지난 시즌에 그렇게 잘 해 주던 선수가 이 시즌에는 1승도 못 거두고 6전 전패만 기록했으며, 결국 슬럼프 끝에 4라운드 종료 무렵에 [[공군 ACE|공군]]에 입대한다.], [[김동현(스타크래프트)|김동현]]과 [[박지호(프로게이머)|박지호]]는 1/2라운드 때까지는 주전 역할을 잘 해줬지만 3라운드 때부터는 필패카드로 전락했고, 이에 대체재로 나온 [[고석현]]과 [[김재훈(프로게이머)|김재훈]]과 [[박지훈(프로게이머)|박수범]]과 [[장민철]]은 하나같이 기대만큼 활약들을 못 해서... 고석현은 이 시기 [[패왕라인]] 멤버였고, 김재훈은 무대 공포증 때문에 간혹 [[OME]] 경기를 보여주었고[* 특히 [[박상우(1989)|박상우]]와 [[손주흥]]과의 경기에서 일명 버뮤다 리콜을 선보인 때도 다 이 시기였다. 김재훈의 무대 공포증이 본격적으로 나아진 때는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중반기부터다.], 팀플레이어 출신 신예 토스 유저 박수범은 겨우 2번밖에 나오지 못했지만 그조차도 다 패했고, 5라운드부터 슬슬 기용되기 시작한 신예 장민철은 [[김정우(프로게이머)|김정우]]의 15연승 행진을 끊은 것 외에는 활약상이 전무했다.[* 이 경기가 장민철의 [[스타크래프트]]에서의 유일한 공식전 승리 경기이다.][* 이것조차도 같은 날 있었던 '''[[6.20 황색혁명]]'''에 묻히고 말았다.] 그나마 [[정우서]][* 원래 이름은 박준상이었으나, 시즌 도중 정우서로 개명하였다. 개명한 사연에 대해서는 항목 참조.][* 본래는 2006년 [[eSTRO]]에서 데뷔했으나 별다른 활약 없이 은퇴했다가, 이듬해 복귀 선언 후 2008년 드래프트에 다시 참가해 이 팀에 오게 되었다.]가 시즌 말기에 전승을 기록하며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다음 시즌]]이 기대가 됐지만, 정작 다음 시즌에는 전 시즌에 부진하던 선수들의 폼이 다시 올라오면서 정우서의 입지는 좁아진 것도 모자라 한 경기도 출전하지 못했고, 게다가 [[코치(스포츠)|코치]] [[이운재(프로게이머)|이운재]]와 불화까지 겪으면서 결국 09-10 시즌을 끝으로 은퇴하고 [[스타크래프트 2]]로 전향하였다. 결국 시즌 종료 이후 김혁섭은 자진사퇴했고, 곧 하태기가 복귀했다. 2008-09 시즌 MBC GAME HERO 소속 프로게이머들의 전적은 다음과 같다. || 이름 || 종족 || 승 || 패 || 승률 || || 이재호 || 테란 || 36승 || 17패 || 67.9% || || 염보성 || 테란 || 27승 || 22패 || 55.1% || || 김재훈 || 프로토스 || 16승 || 25패 || 39.0% || || 김동현 || 저그 || 12승 || 13패 || 48.0% || || 박지호 || 프로토스 || 11승 || 13패 || 45.8% || || 고석현 || 저그 || 10승 || 16패 || 38.5% || || [[서경종]] || 저그 || 3승 || 6패 || 33.3% || || [[정우서]] || 저그 || 2승 || 0패 || 100% || || [[장민철]] || 프로토스 || 1승 || 2패 || 33.3% || || 정영철[* 시즌 중 SKT T1 이적.] || 저그 || 0승 || 2패 || 0% || || 공민창 || 테란 || 0승 || 2패 || 0% || || 박수범 || 프로토스 || 0승 || 2패 || 0% || || [[김태훈(1987)#s-1|김태훈]] || 저그 || 0승 || 4패 || 0% || || 민찬기 || 테란 || 0승 || 6패 || 0% || || 총 전적 || 개인전 || 118승 || 130패|| 47.6%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MBC GAME HERO, version=501)] [[분류:MBC G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