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MBC 대학가요제)] [목차] == 역대 대상 수상곡 일람 == || '''회수''' || '''연도 (방송일)''' || '''수상팀''' || '''수상곡''' || '''수상팀 소속''' || || 1회 || 1977. 9. 3 (토) || [[샌드페블즈]][*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음악 동아리(6대)] || [[나 어떡해]] ||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 || 2회 || 1978. 9. 9 (토) || 썰물 || 밀려오는 파도소리에[* '뒹굴며 노래해'라는 가사가 있는데 후에 이 부분이 남녀상열지사를 뜻한다고 해서 방송금지 처분. 엄청나게 히트를 친 노래지만 이것 때문에 다른 참가자들에 비해 존재감이 없어 보인다(...).] ||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상과대학, 사범대학] || || 3회 || 1979. 8. 25 (토) || [[김학래(가수)|김학래]], 임철우 || 내가 || [[명지대학교]][* 전자공학과] || || 4회 || 1980. 11. 8 (토) || [[이범용]], 한명훈 || [[꿈의 대화]][* 둘 다 연세대 의대생이었으며, 가수로 데뷔하지 않고 대학가요제 관련 무대에만 섰다. 참고로 둘은 고작 2시간 연습하고 여기에 나와 대상을 수상했다. 1974년 발표된 [[김정호]] 1집의 '''꿈을 찾아'''와 곡이 비슷하여 표절시비가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Ciluf0JxOFY|꿈을 찾아]] ]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 || 5회 || 1981. 12. 1 (화) || 정오차 || 바윗돌[* 이 곡에 대해서 정오차는 가요 프로그램에 나가서, "'''그 전 해의 [[5.18 민주화운동]] 때''' 죽은 친구의 영혼을 달래기 위해 만든 노래이고 '''바윗돌은 친구의 묘비'''를 의미한다"라고 당당하게 밝혔다. 그러나 [[대한민국 제5공화국|당시 시대가 시대였던터라]] 당연히도(?!) [[금지곡]] 처분을 받았다. 이후 이 사건을 봤던 [[김원중(가수)|김원중]]은 자신의 곡 '바위섬'이 당시 [[광주광역시]]라는 사실을 대놓고 말하지는 않고, 본인이 광주 출신이라는 것만 강조하는 방법으로 금지곡 지정을 피해갔다. 뭐 좀 지나서 밝히지만.] || [[한양대학교]][* 경영학과] || || 6회 || 1982. 9. 4 (토) || 조정희 || 참새와 허수아비 || [[홍익공업전문대학]][* 現 [[홍익대학교]]] || || 7회 || 1983. 10. 29 (토) || 에밀레[* 1기 : 김광엽, 김대익, 심재경 : [[서강대]] 물리학과, 방송통신학과][* 에밀레 멤버 중 한 사람인 싱어송라이터 심재경 씨는 이후 [[2017년]]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를 풍자한 [[민중가요]]인 [[큰일났네]], [[너무 억울해요]] 등을 작곡하여 화제가 된다.] || 그대 떠난 빈들에 서서[* --[[전두환]] 정권을 겪는 공허함이 담겨있다. 또한 [[5.18 민주화운동]]과 [[6월 민주항쟁]]을 추모하는 곡이다. 바윗돌과 함께 금지곡 처분을 받은 곡이다.-- [[1982년]] 군에서 의문사한 김영민 소위를 추모하는 노래다. 에밀레 멤버 중 김대익이 김영민 소위와 관계가 있으며 김 소위는 서강대 출신이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52&aid=0001207160|링크]]] || [[서강대학교]][* 물리학과, 방송통신학과] || || 8회 || 1984. 12. 22 (토) || 이유진 || 눈물 한 방울로 사랑은 시작되고 || [[성균관대학교]] || || 9회 || 1985. 12. 21 (토) || [[높은음자리]] || 바다에 누워 || [[동의대학교]] || || 10회 || 1986. 12. 19 (금) || [[유열(가수)|유열]] || 지금 그대로의 모습으로 || [[한국외국어대학교]] || || 11회 || 1987. 12. 19 (토) || [[작품하나]] || 난 아직도 널 || [[부산외국어대학교]] || || 12회 || 1988. 12. 24 (토) || [[무한궤도(밴드)|무한궤도]] || [[그대에게]] || [[서강대학교]], [[연세대학교]], [[서울대학교]] || || 13회 || 1989. 12. 9 (토) || [[전유나]] || 사랑이라는 건 || [[경성대학교]] || || 14회 || 1990. 12. 1 (토) || 소나기 || 누군가 || [[연세대학교]] || || 15회 || 1991. 12. 21 (토) || 입 셋 노래 하나 || 추억의 거리 || [[동의대학교]] || || 16회 || 1992. 12. 12 (토) || 최영수 || 어둠 속에서 || [[경남대학교]] || || 17회 || 1993. 12. 11 (토) || [[전람회]] || 꿈 속에서 || [[연세대학교]] || || 18회 || 1994. 10. 15 (토) || [[이한철]] || 껍질을 깨고 || [[영남대학교]] || || 19회 || 1995. 10. 14 (토) || 에밀레[* 훗날 당시 멤버 중 한명이 [[너의 목소리가 보여]] [[김민준(배우)|김민준]] 편에 출연해 최후의 1인이 되었다.] || 살아가며 || [[서강대학교]] || || 20회 || 1996. 10. 19 (토) || 열 두 번째 테마[* 멤버 중 한 명이 작곡가 [[조영수]]이다.] || 새로나기 || [[성균관대학교]], [[연세대학교]], [[한양대학교]] || || 21회 || 1997. 10. 25 (토) || 전선민[* 현 [[울산방송]] [[PD(방송)|PD]]] || 꿈의 초상 || [[울산대학교]] || || 22회 || 1998. 10. 17 (토) || 로얄젤리[* 민정범: [[Mbest]]에서 수학 강사를 맡고 있다. / 이상준: 인강에서 민정범과 함께 강의에 출연하고 있다. 인강에서 주로 이반장이라고 불린다.] || 사랑의죄 || [[서울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 || 23회 || 1999. 10. 16 (토) || 설지현 || 작전타임 || [[창원전문대학]] || || 24회 || 2000. 10. 21 (토) || 허병욱[* 이화여대 재학 중이던 '''유일한 남학생.''' 정확히는 브라운대학에서 이대 국제교육부로 교환학생 프로그램을통해 왔던 학생이며 한국 국적자였다. 실제 수상소감에서도 군 복무후 미국으로 돌아가겠다고 선언하였다. 여담으로 당시 가요제 장소가 다름 아닌 이화여자대학교이었기에 현장 분위기는 거의 단독 콘서트 수준이었다고 한다.] || 푸념 || [[이화여자대학교]] || || 25회 || 2001. 10. 20 (토) || 소나기 || 청춘가 || [[연세대학교]] || || 26회 || 2002. 10. 19 (토) || 안세진 || You will find me || [[경북대학교]] || || 27회 || 2003. 10. 4 (토) || Solenoid[* 수상 이후 [[SBS]]판 [[유희왕]]의 오프닝 곡을 부른 적이 있다. 다만 그 이후에는 이렇다 할 활동을 하지 못한 편.] || 강요 || [[경북대학교]] || || 28회 || 2004. 11. 13 (토) || Scat || Stop || [[수원여자대학교]] || || 29회 || 2005. 10. 15 (토) || [[익스#s-4|Ex]] || [[잘 부탁드립니다]] || [[경북대학교]], [[대구대학교]], [[영남대학교]] || || 30회 || 2006. 9. 30 (토) || JJMP || 21살 이야기 || [[경희대학교]] || || 31회 || 2007. 10. 6 (토) || B2 || Y || [[한양여자대학교]] || || 32회 || 2008. 10. 4 (토) || 파티캣츠 || No turning back || [[나사렛대학교]], [[단국대학교]], [[백석대학교]] || || 33회 || 2009. 9. 25 (금) || 이대 나온 여자 || 군계무학 || [[이화여자대학교]] || || 34회 || 2010. 11. 26 (금) || 이인세 || With you || [[한림대학교]] || || 35회 || 2011. 11. 24 (목) || Plain note || 백조의 노래 || [[국민대학교]] || || 36회 || 2012. 11. 9 (금) || 신문수 || 넥타이 || [[광운대학교]] || || 37회 || 2019. 10. 5(토) || 펄션 || 너만이 || [[동아방송예술대학교]], [[명지전문대학]] || == 기타 수상자 == === 1977년 (제 1 회) === * 동상 * 박문옥, 박태홍, 최준호 등. ([[전남대학교]]) - 저녁 무렵 (자작곡) * 민경식, 정연택, 민병호 등. ([[서울대학교]]) - 젊은 연인들 (창작곡) * 박형철 ([[중앙대학교]]) - 작은 세상 (자작곡)[* 실제로는 [[It's a Small World]]의 번안곡이다.] * 은상 * 함영주, 윤미희, 한미숙, 최난애, 박현숙, 유현이 등. ([[성신여자대학교]]) - 당신은 모르실거야 * 이명우 ([[충남대학교]]) - 가시리 * 금상 * 박선희 (상명여자대학교[* 現 [[상명대학교]]]) - 하늘 (자작곡) === 1978년 (제 2 회) === * 동상 * 유미랑, 박망래 등. (군산개정간호전문대학교[* 現 군산간호대학교]) - 꿈을 찾아 날아라 (자작곡) * 최미 ([[대구보건대학교]]) - 하나가 된 철새 (창작곡) * 조정숙, 김경한, 조덕환, 민경범, 김근성, 이인, 장도엽 ([[고려대학교]] 7인), 정운모 ([[국민대학교]]), 홍철규 ([[경희대학교]]) 등. - 날개 (창작곡) * 은상 * [[활주로(밴드)|활주로]] <[[배철수]], 지덕엽, 김종태, 박홍일 ([[한국항공대학교]])> - 탈춤 (자작곡) * 이해종, 김용숙, [[김정식(CCM)|김정식]] 등. ([[전남대학교]]) - 약속 (자작곡) * 금상 * [[노사연]] ([[단국대학교]]) - 돌고 돌아가는 길 (창작곡) * 그 외 * [[심수봉]][* 당시에 본명인 심민경으로 참가했다.] - [[그때 그 사람]] * 쌍투스 - 그대 있는 곳까지[* Mocedades의 [[Eres tu]]의 번안곡.] === 1979년 (제 3 회) === * 동상 * 신영섭, 박승환, 허경숙 등. ([[부산대학교]]) - 젊음의 계절 * 이진호, 이경주, 박승순 등. ([[원광대학교]]) - 소외된 인간 * 강호면 ([[동국대학교]]), 이정아 ([[이화여자대학교]]), 이인자, 강호중 ([[추계예술대학교]]) 등 - 우리의 노래 * 은상 * 김종률, 정권수 ([[전남대학교]]), 박미희 (조선대학교 병설간호전문대학[* 現 [[조선간호대학교]]]) 등. - 영랑과 강진 * 김화석, 이동호, 박세익, 구영숙, 김지희, 남기제, 지영호, 이동인 등. ([[경남대학교]]) - 고운 님 * 금상 * 김주영 (경기 안성농업전문대학교[* 現 [[한경대학교]]]) - 대왕암 === 1980년 (제 4 회) === * 동상 * 강원도 춘천시: 둘 하나 <김영한, 박경화, 최미경 등. (관동대학교)> - 그 누가 * 충청남도 대전시: 권태봉 (중경공업전문대학교[* 우송전문대학으로 변경 후 우송대학교로 통합]), 강성숙 (배재전문대학교), 이경희 (충남대학교) 등. - 내 님 * 서울특별시: 김지현, 이준호 등. (추계예술전문대학교) - 동천 * 은상 * 서울특별시: 샤프 <연세대학교 2명 (양인호, 임태환), 최명섭 (성균관대학교), 노기영 (건국대학교), 최성진 (경기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2명 (김영란, 조선희) 등.> - [[연극이 끝난 후]][* 장동건, 유오성 주연의 영화 [[친구(영화)|친구]]에서 진숙이가 부른 노래다.] * 서울특별시: [[마그마(밴드)|마그마]] <연세대학교 2명 (김광현, [[조하문]]), 문영식 (서울대학교) 등.> - 해야 * 금상 * 서울특별시: 뚜라미 <홍익대학교 3명 (이영순, 전시교, 김미영), 이형운 (단국대학교) 등.> - 해안선 === 1981년 (제 5 회) === * 동상 * 전라북도: 유장영, 김부곤 등. (전북대학교) - 소망 * 미국: 김혜자, 최현미 등. (남미 캘리포니아 대학교) - 사랑의 장미[* 베트 미들러(Bette Midler)의 The Rose를 번안한 곡.] * 서울특별시: 시나브로 <[[문관철]] (경희대학교), 고려대학교 2명 ([[안지홍]], 권영국) , 이훈석 (한양대학교), [[김광민(음악가)|김광민]] (명지대학교) 등.> - 안개 * 은상 * 서울특별시: 오누이 <최병주 (서울예술전문대학교), 최성우 (상지대학교) 등.> - 님의 기도 * 충청남도: 기타 하나 동전 한 닢 <[[이재성(동명이인)#s-5.1|이재성]], 차미정, 김승주, 오세일, 김덕영 등. (목원대학교)> - 나의 꿈 그리고 사랑 * 금상 * 서울특별시: 한인희 (경희대학교) - 잊고 산 것 === 1982년 (제 6 회) === * 동상 * 서울특별시: 우순실 (한양대학교) - 잃어버린 우산 * 서울특별시: 다사랑 <김명주 (추계예술전문대학교), 단국대학교 2명 (최경희, 김영순), 김현경 (청주대학교) 등.> - 작은 새 * 전라남도 광주: 김혁, 배은경 등. (전남대학교) - 오, 나의 바람! * 은상 * 서울특별시: 박은자 (한국외국어대학교) - 햇발 * 미국: 안재균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버클리 분교) , 이희경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 캠퍼스) 등. - 사랑의 길 * 금상 * 서울특별시: 옥슨 82' <권정엽, 조재웅, 권영훈, 이재형, 김영신 등. (건국대학교)> - 윷놀이 === 1983년 (제 7 회) === * 우정상 * [[미국]] [[L.A.]]: 남궁경숙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 롱비치대학교), 윤영섭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 캠퍼스) 등. - 고운 사랑 * 동상 * [[뉴욕]]: 어금니와 송곳니들 <이상우 ([[펜스테이트]] 대학교), 이진영 (웨스트체스터대학교), 이무창(일본커뮤니티대학교), [[이무송]](웨스트제퍼슨대학교) 등.> - 한우리 * [[강원도]]: 신달승, 최은미 등. (관동대학교) - 겨울 바다 * [[일본]]: 김혜원 (삿뽀로대학교) - 대학가의 신데렐라들 * 은상 * [[경상북도]]: 장철웅 ([[영남대학교]]), 이용진 (영남공업전문대학교[* 現 [[영남이공대학교]]]) 등. - 친구여 * [[서울특별시]]: 열두냥 서푼 <진종욱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예술전문대학교 3명 (전영복[* 배우 김명국이 드럼으로 참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제 대학가요제 무대에서 드럼을 담당한 것은 전영복이라는 멤버였다. 83 MBC 대학가요제 은상 영상(https://www.youtube.com/watch?v=yKoCMVWZdac) 3분 19초, 4분 29초를 보면 드러머가 김명국씨가 아님을 확인할 수 있다.], 마동진, 전헌태[* 전헌태는 대학가요제에 입상한 전력이 있음에도 이후 가수가 아닌 배우로 활동한다.]) 등.> - 12시 정각이었어 * 금상 * 서울특별시: 도깨비 <조태선 ([[명지대학교]]), 홍천기 ([[순천향대학교]]), 이영재 (서울예술전문대학교), 백대현(추계예술전문대학교) 등.> - 도깨비 잔치 === 1984년 (제 8 회) === * 인기상 * [[재일동포]]: 박호미 ([[일본]] [[게이오기주쿠대학|경응대학교]]) - 그 순간 * 동상 * [[전라남도]]: 최우남, 기효산 등. (동신실업전문대학교[* 現 [[동강대학교]]]) - 마지막 잎새 * [[부산광역시]]: 심재영, 박미란 등. ([[동의대학교]]) - 소꿉 친구 * [[서울특별시]]: 징검다리 5기 <박문주, 이상익, 문경희, 채봉심 등. ([[한양대학교]])> - 이 노래가 끝나면 * 은상 * [[재미동포]]: 이예섭 (골든스테이트대학교) - 사랑의 포로 * [[서울특별시]]: 돌방망이 <최천규, 유태현, 김주현, 김성빈, 허성혁, 이정춘 등. ([[경기대학교]])> - 갑자기 * 금상 * 서울특별시: 활주로 16기 <조재호, 강용규, 한영수, 강원호, 배상엽, 박수복 등. ([[항공대학교]])> - 사랑의 회상 * 그 외 * 고은희·이정란 - '그대와의 노래'[* 이듬해 발표한 '사랑해요'가 큰 인기를 얻었다. 고은희는 후에 솔로로 나와 [[이문세]]의 대표곡 중 하나인 [[이별 이야기(이문세)|이별 이야기]]를 같이 불렀다. 참고로 아들이 [[MBC]] [[위대한 탄생]] 출신인 [[데이비드오]]다.] === 1985년 (제 9 회) === * 동상 * 서울특별시: [[옥슨]] 85' <라홍석, 윤홍준, 이승수, 신동관, 정철 등. (건국대학교)> - 풍년 굿 * 충청남도: 오애란 (호서대학교) - 메카니즘 3 * 서울특별시: 이경순 (건국대학교) - 사랑 이야기 * 은상 * 서울특별시: 신입생들 <김현철, 문지환, 이명숙, 이미경 등. (서울예술전문대학교)> - 신입생 * 미국: 성미아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 캠퍼스) - 착한 젊은이 * 금상 * 서울특별시: 정희정 (한양대학교) - 내가 좋아하는 화가 === 1986년 (제 10 회) === * 인기상 * 충청남도: 이용빈 (대전개방대학교[* 現 [[한밭대학교]]]) - 마지막 찻잔 * 동상 * 경상북도: 마파람 <전복자, 장정애, 이우찬, 곽용철, 정경훈, 주선애 등. (계명전문대학교)> - 우리 가야 하는 길 * 전라북도: 안지영 (전주기전전문대학교) - 사랑의 벽 * 전라남도: 정영란 (전남대학교) - 세상에 그런 일이 있을 수 있나요? * 은상 * 서울특별시: 까치 엄지 <조성필 ([[추계예술대학교]]), 최경란 (서울예술전문대학교) 등.> - 하얀 그 미소 * 경상남도: 김미옥 ([[울산대학교]]) - 잿빛 사연 * 금상 * 서울특별시: [[이정석(가수)|이정석]] (피어선 신학대학교[* 現 [[평택대학교]]]) - 첫눈이 온다구요 === 1987년 (제 11 회) === * 동상 * 스물하나 <우길자, 양원규, 정경철 등. (한남대학교)> - 생일케잌 * [[블루드래곤(밴드)|블루드래곤]] <[[이규석(가수)|이규석]], 한민석, 최영호, 허진, 박동렬, 이은희 등. (중앙대학교)> - 객석 * 푸른소리 <안치돈, 김범규, 박기영, 김영숙, 김성민 등. (충북대학교)> - 도시의 침묵 * 은상 * 최용순 (코스트라인대학교) - 지난 겨울 * 선율 <전남대학교 2명 (김도미, 공경용), 박병규 (조선대학교) 등.> - 밤의 기도 * 금상 * [[신윤미]][* [[마로니에(보컬 그룹)|마로니에]]의 원년멤버로, 대표적인 히트곡 '[[칵테일 사랑]]'을 부른 보컬.] (이화여자대학교) - 겨울비 === 1988년 (제 12 회) === * 동상 * 서울특별시: [[전수경]][* 뮤지컬 배우 전수경이 맞다.] (한양대학교) - 말해 * 강원도: 이연희 (강원대학교) - 가슴에 남겨진 사랑의 숨결 * 서울특별시: 이선민 (중앙대학교) - 바보같은 사랑 * 은상 * 제주특별자치도: 김성철 (제주대학교) - 무지개 마을을 찾아서 * 서울특별시: 징검다리 7기 <최종호, 이경희, 성주희, 김인욱 등. (한양대학교)> - 밤을 노래함 * 금상 * 서울특별시: 주병선[* 트로트 곡 [[칠갑산]]을 부른 그 가수가 맞다.] (추계예술대학교) - 고인돌 === 1989년 (제 13 회) === * 동상 * 서울특별시: 김윤주 (서울예술전문대학교) - 사랑해, 사랑해, 나 떠나가! * 제주특별자치도: 양연숙 (제주대학교) - 이젠 안녕 * 서울특별시: [[이재영(뮤지컬 배우)|이재영]] (중앙대학교) - 그대 떠나도 * 은상 * 서울특별시: [[이연경|이지연]][* 바람아 멈추어다오로 유명한 가수 [[이지연(1970)|이지연]]과 동명이인. 후에 ‘종이 비행기를 타고간 사랑’,’사랑 안 할래’등의 곡으로 활동하였으며 활동시 예명을 ‘이연경’으로 활동. 이후 [[딩동댕 유치원]]과 영화 ‘[[써니]]’등에 출연하며 연기자로 활동.] (수원대학교) - 이별은 계절에 실려 * 미국: 정재진 (버지니아 의과대학교) - 그대를 기다리며 * 금상 * 서울특별시: 이은영[* 음악평론가 이백천의 딸이다.] (이화여자대학교) - 사랑은 이별을 위해 === 1990년 (제 14 회) === * 인기상 * 김용호 (LA 세리토스칼리지) - 하얀 세상 * 동상 * 윤승진 (캐나다 조지언대학교) - 사랑과 시와 진실로 * 편성미 (뉴욕 퀸즈칼리지) - 혼자 부르는 노래 * 안세진 (충남대학교) - 그대는 나의 모든 것 * 은상 * 동그라미 <박소현, 강희승 등. (서울여자대학교)> - 푸른 소리 * 궁상각치우 <김정수, 옥종현, 김은정, 채진이, 윤소현 등. (계명전문대학교)> - 야단났네! * 금상 * 유연이 (성공회 신학대학교) - 빈 손 === 1991년 (제 15 회) === * 인기상 * 유리병정 <김은미 ([[이화여자대학교]]), 박근양 ([[숙명여자대학교]]), 박지영 (상명여자대학교[* 現 [[상명대학교]]]) 등.> - 햇살 * 동상 * 이윤경 ([[이화여자대학교]])×이유경 ([[단국대학교]]) 자매 - 사랑하고 있다는 것을 * 민금선 ([[서울예술대학교]]) - 그대에게 머무네. * [[김경호]][* 훗날 [[1994년]]에 1집 '마지막 기도'로 데뷔한 그 김경호가 맞다] (서울예술신학교) - 긴 이별 * 은상 * 이선진 ([[강원대학교]]) - 나만의 사랑 * 정명진 ([[인하대학교]]) - 나는 언제나 그대의 나그네 * 금상 * [[정용태]] ([[호서대학교]]) - 언제나 우리는 === 1992년 (제 16 회) === * 노래 사랑회 우정상 * 0. 917 <이응준, 임형준 등. (인천 인하대학교)> - 우리는 왜? * 동상 * [[장현철]][* [[걸어서 하늘까지]]의 원곡자] (서울 국민대학교) - 사랑했던 나의 너 * 0. 917 <이응준, 임형준 등. (인천 인하대학교)> - 우리는 왜? * 샌드페블즈 <서희석, 권주용, 허진회, 이명기, 김종수, 박세연 등. (서울대학교)> - 너를 바라보는 건 * 은상 * 전남순 (부산 동래여자전문대학교[* 현 동부산대학교]) - 비가 오면 * 이어도 <김상인 (대구전문대학교[* 현 대구과학대학교]), 최두성 (계명전문대학교), 조현목 (영남대학교) 등.> - 몰라도 돼! * 금상 * 고지아[* 독특한 캐릭터를 바탕으로 오락 프로그램의 게스트나 MC, 연기자 등으로 여러 해에 걸쳐 방송계에서 활동했다. 가수의 정체성을 유지하긴 했지만 음악적인 활동은 실제로 거의 없었다. 후에 [[한신대학교]]에 편입학해 현재는 목사로 활동중.] (제주전문대학교[* 이후 제주산업정보대로 바뀌었으며, 현재는 탐라대와 통폐합되어 제주국제대학교]) - 마지막 휴일 === 1993년 (제 17 회) === * 동상 * 박선영 (한국외국어대학교) - 나 여기 이렇게 * 셀레맨더스 <박경희, 김순인 외 4명 (청주대학교)> - 현실 속으로 * 김전희 (고려대학교) - 21C Unisex Mode * 은상 * [[배기성]] (경상전문대학교) - 노을진 바다 * BLUES <임경화, [[박원상]][* 배우로 활동 중인 박원상이다.], 김도균 등. (숭실대학교)> - 아무 말도 말아요. * 금상 * 이윤정 (삼육대학교) - 작은 평화 * 특별상 * [[전람회]] <[[김동률]], [[서동욱(기업인)|서동욱]] (연세대학교)> - 꿈 속에서 === 1994년 (제 18 회) === * 특별상 * 전주시: 아침 산 저녁 바다 {중창} <오승환 (전주대학교), 조성희 (전주교육대학교) 등.> - 생각해 봐! * 동상 * 충청북도: 지음션 {중창} <이원재, 김용희 등. (청주대학교)> - 저울과 주판 * 은상 * 서울특별시 / 경기도: 조용재 (성균관대학교) - 모두 변해. * 금상 * 서울특별시 / 경기도: 1905 <이지영, 진상우, 김재완, 손우창, 김성욱, 박지선 등. (고려대학교)> - 자서전, 상실 그리고 도약 === 1995년 (제 19 회) === * 동상 * 대구광역시 / 경상북도: 김명자 (계명대학교) - 예감 * 은상 * 서울특별시 / 경기도: 소나기 <[[이원석(가수)|이원석]][* [[데이브레이크]]의 보컬로 활동 중이다.], 송인동, 신명수, 강유석, 최영학, 김호준 등. (연세대학교)> - 엇갈림 속에서 * 금상 * 서울특별시 / 경기도: 쌍투스 <이영미 (이화여자대학교), 황혁순 (고려대학교), 홍태화 (홍익대학교), 최성진 (국민대학교), 임덕규 (강남대학교) 등.> - 그 시절 그 노래 === 1996년 (제 20 회) === * MBC 인터넷 특별상[* 당시 MBC 홈페이지가 막 개설된 해이다.] * 강원도: 고찬일 (강원대학교) - 그래도 난… * 노래사랑 특별상 * 서울특별시 / 경기도: 서범진 (연세대학교) - 또 내가 걸어가… * 동상 * 서울특별시 / 경기도: 김성수 (연세대학교) - 베짱이 춤을 추고 싶어 * 은상 * 부산광역시: 장명선 (동의대학교) - 졸업 * 금상 * 서울특별시 / 경기도: 서범진 (연세대학교) - 또 내가 걸어가… === 1997년 (제 21 회) === * 유니텔 인기상 * 서울특별시 / 경기도: 이승은 (연세대학교) - 그대에게로 * 노래사랑 특별상 * 전라북도: 하모니 <서승직, 허재호 등. (전주우석대학교)> - 학교는 오늘도 안녕 * 동상 * 부산광역시: 너티 <노정구 (동아대학교), 이상배 (경남전문대학교) 등.> - 괜찮아. * 은상 * 서울특별시 / 경기도: 이승은 (연세대학교) - 그대에게로 * 금상 * 서울특별시 / 경기도: 이대성 (성균관대학교) - 가져가! === 1998년 (제 22 회) === * 천리안 인기상 * 서울특별시 / 경기도: 로얄젤리 <[[민정범]][* 엠베스트 소속 강사] (서울대학교), 이상준 (서울시립대학교) 등.> - 사랑의 죄 * 동상 * 강원도: 한도환 (원주대학교) - Making Dreams * 은상 * 대구광역시 / 경상북도: R.A.R <최재훈 (대구대학교), 김성기 (영남이공대학교)> - 20세기 마지막 불치병 * 금상 * [[블랙테트라(밴드)|블랙테트라]] <배준환, 임진아, 김병곤, 양문철, 박재용, 송주영 등. (홍익대학교)> - 다시 시작하는 여름 === 1999년 (제 23 회) === * 인터넷 인기상 * 경상남도: 설지현 (창원전문대학교) - 작전 타임 * 동상 * 서울특별시 / 경기도: 김윤정 (한국외국어대학교) - 또 다른 사랑 * 은상 * 서울특별시 / 경기도: 한용운 (서울대학교) - 조심해! * 금상 * 서울특별시 / 경기도: 소화 {素花} <김희규, 박효영 등. (경희대학교)> - 애끓는 청춘 === 2000년 (제 24 회) === * iMBC 네티즌 인기상 * 서울특별시 / 경기도: 이모티콘 <이종욱 (가톨릭대학교), 정혜련 (세종대학교) 등.> - 중독 * 동상 * 광주광역시 / 전라남도: 정하나 (조선대학교) - 닭의 꿈 * 은상 * 부산광역시: 홍노경 (부산 경성대학교) - 이슬같은 사랑 * 금상 * 서울특별시 / 경기도: 이모티콘 <이종욱 (가톨릭대학교), 정혜련 (세종대학교) 등.> - 중독 === 2001년 (제 25 회) === * 네티즌 인기상 * 1905 <정지웅, 고동일, 권도희, 임유진, 주정찬, 박경윤, 표동진, 한경애 등. (고려대학교)> - 하늘을 닮은 너 * 동상 * B. Chorus {중창} <남지영, 정승원, 이현병, 정지윤, 황명연 등. (부전대학교)> - 다시 만날 너에게 * 은상 * M.O.O.D {중창} <한중호, 엄정숙, 이상규, 박유진 등. (동의대학교)> - 앤(n) 이래! * 금상 * Fuze {퓨즈} <이정표, 김연, 이수찬, 이재걸, 송용훈, 전문희, 서요셉 등. (서울대학교)> - 천국으로 오세요! === 2002년 (제 26 회) === * 네티즌 인기상 * 으랏차차 <이성욱 외 2명 (동의대학교 / 부산여자대학교)> - 힘내라, 힘! * 동상 * Red wood <김예원 (이화여자대학교) 외 고려대학교 1명> - Cheer up! * 은상 * 으랏차차 <이성욱 외 2명 (동의대학교 / 부산여자대학교)> - 힘내라, 힘! * 금상 * 여울 <전석균, 이흥배, 이선경, 나상현, 이재산, 양선호, 김동욱, 김민수 등. (연세대학교)> - 그러지마! === 2003년 (제 27 회) === * 네티즌 인기상 * Musa <이연호 ([[동국대학교]]), 이유리 ([[세종대학교]]), 엄광현 (서울산업대학교[* 現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등.> - 어떤 사람들은... * 동상 * Wonder Land <박진영, 이수빈, 고태영, 조득연, 김훈아, 이승욱 등. ([[서울예술대학교]])> - Water Park * 은상 * 강민성 ([[방송통신대학교]]) - 나도 그래. * 금상 * Grime <손상모, 박완호, 김정건, 이수진 등. ([[동의대학교]])> - 젊은이의 양지 === 2004년 (제 28 회) === * 네티즌 인기상 * 날아라 슈퍼 밴드 <그룹 5명 (영남대학교)> - 하늘 노래 * 동상 * 이지영 (경희대학교) - 돌아설 수 없는 이유 * 은상 * Orange Seller <정혜영, 이현승 외 4명 (부산예술대학교)> - Sentimental Love * 금상 * 허니 첵스[* 이듬해에 현재의 [[슈퍼 키드]]라는 팀명으로 활동하게 되었고 그 후 2007년에 [[쇼바이벌]]에 출연했다.] <전진욱 (경북대학교), [[허첵|전덕호]](아주대학교) 등.> - 그 여자 장난 아니래! === 2005년 (제 29 회) === * 네티즌 인기상 * 강적 <그룹 7명 (한국과학기술원 {카이스트|KAIST})> - Half Time * 동상 * Coreasori <그룹 8명 (연세대학교 / 한양대학교 / 단국대학교 / 추계예술대학교)> - 자유를 잃은 새 * 은상 * Wonder Woman <그룹 11명 (한양여자대학교)> - 원더 우먼 * 금상 * Asco <최경운 (동의대학교), 부산예술대학교 4명 (김진영, 정준교, 유경훈, [[심규선]](Lucia) 등.> - Feel Love === 2006년 (제 30 회) === * 네티즌 인기상 * 비풍초 <박종인, 박동환, 권재익, 박상두, 홍석중, 김원중, 오은주 등. (인하대학교)> - 여름 바다... 바람이 되어! * 동상 * [[블랙테트라(밴드)|블랙테트라]] <김정하, 전진민, 임상규, 김진희, 최우용 등. (홍익대학교)> - 엄마, 친구, 아들 * 은상 * 소리 느낌 <최근우, 오하나, 서강윤, 정성훈, 김윤관, 강요셉 등. (서울대학교)> - Go, Go, Sing! * 금상 * 임채홍 (고려대학교) - 7년 만에 그 외로 2006년에는 대중적으로는 가장 큰 인기를 끈 [[뮤즈그레인]]이 수상하지 못했다는 논란이 있다. === 2007년 (제 31 회) === * 네티즌 인기상 * 풍운 <윤성준, 최재은, 오나래, 박종배, 강동석, 이준희, 서수정 등. ([[부경대학교]] [[법학과]], [[동서대학교]], [[부산대학교]])> - 어머니 * 동상 * 풍운 <윤성준, 최재은, 오나래, 박종배, 강동석, 이준희, 서수정 등. (부경대학교 법학과, 동서대학교, 부산대학교)> - 어머니 * 은상 * 택시타라임즈 <권영환 ([[가톨릭대학교]]), 송광식 ([[동아방송대학교]]), 안태훈 ([[동양대학교]]) 등.> - Incomplete Love * 금상 * 어쿠스틱 브라더스 <이승환[* 현재는 '이숲' 이라는 이름으로 믹스 엔지니어와 유튜브를 하고있다.], 조준호[* '좋아서 하는 밴드'라는 밴드로 정식 데뷔.] 등. ([[중앙대학교]])> - 미안, 개미야! === 2008년 (제 32 회) === * 네티즌 인기상 * 파티캣츠 <백석대학교 14명 (오장석, 이소현, 안성미, 한아람, 윤아름, 오경록, 곽호민, 정휘욱, 김성유, 배주원, 박만수, 김현우, 홍미경, 양희정), 강민구 (단국대학교), 이상규 ([[나사렛대학교]]) 등.> - No Turning Back * 동상 * 로빈이 토끼란 사실을 알고 있었나? <로빈 (상명대학교), 문명미 (호원대학교), 오상아, 이혜연, 신사론 (호원대학교), 이샛별, 박선빈[* 신사론과 박선빈은 후에 밴드 [[칵스]] 멤버로 데뷔하여 활동한다.] (호원대학교) 등.> - 떠나주세요! * 은상 * [[랄라스윗]][* Your summer 소속의 2인조 인디밴드] <김현아 (이화여자대학교), 박별 (가톨릭대학교) 등.> - 나의 낡은 오렌지 나무 * 금상 * 최원유 (한양대학교) - 한참 동안 === 2009년 (제 33 회) === * 네티즌 인기상 * 황유정 (경북대학교) - 아프리칸 찰리 * 특별상 * 이대 나온 여자 <오예리[* 현재 오예리는 큐브엔터테인먼트의 아티스트이다.], 서아현 등. (이화여자대학교)> - 군계무학 * 동상 * 지익환 (서울대학교) - 좋겠다! * 은상 * 김영득 (인하대학교) - One Night Fiesta * 금상 * 황유정 (경북대학교) - 아프리칸 찰리 === 2010년 (제 34 회) === * 네티즌 인기상 * 이인세 (한림대학교) - With You * 동상 * 못 노는 애들 <이종민, 김하나, 박희철, [[송상은]][* 배우 [[송영창]]과 성우 [[유남희]]의 딸.], [[윤박]][* 현재는 배우로 전업하였다.], 최두영 등. (한국예술종합학교)> - AM 5:30 * 은상 * 강보리 (한국국제대학교) - 엄마의 자전거 * 금상 * 이찬 (국민대학교) - Mama Boy === 2011년 (제 35 회) === * 네티즌 인기상 * 참참 <유재민, 공희원 등. (숙명여자대학교)> - Pink Spring * 동상 * 케이민 (국민대학교) - Dream In My Heart * 은상 * 소리느낌 <정여진, 김성욱, 김명훈, 이재엽, 김상윤, 신동하 등. (서울대학교)> - 운수 좋은 날 * 금상 * 홍대입구 <윤현준, 임정보, 등. (홍익대학교)> - 먼 훗날 === 2012년 (제 36 회) === * 네티즌 인기상 * 같이 갑시다! <이규원, 이건희, 김현우, 이상락 등. ([[고려대학교]] / [[연세대학교]])> - 댓바람 * 동상 * 허지영 ([[수원여자대학교]]) - 가지 마오. * 은상 * Passa {파사} <채보훈, 김승엽, 박현재, 김성찬, 이소원 등. ([[계명대학교]])> - 너를 처음 본 순간 난 반했어! * 금상 * 최민지 ([[서울대학교]]) - 아리랑 그녀의 노래 === 2019년 (제 37 회)[* [[MBC]] 본사가 아닌 케이블 자회사인 MBC 플러스에서 개최] === * 인기상 * 유랑단 ([[서경대학교]]) - 나그네 * 동상 * 박진용 ([[한국외국어대학교]]) - 지구본 * 은상 * 아웃트로(OUTRO) <김두한, 이환, 이동민, 송예진, 강희경, 최가영, 강태헌, 김인겸, 이현우 등. ([[동아방송예술대학교]])> - 내겐 너가 봄이야 * 금상 * 조남준 ([[호원대학교]]) - 수고했어 == 수상에는 실패했지만 훗날 재조명이 된 인물 == * 1989년 13회 대회에 미주 대표로 참가한 [[박칼린]][* 당시에는 한국이름 '박영미'로 출전했다.]은 훗날 뮤지컬 감독으로 이름을 알리게 된다. 참가곡명은 [[https://youtu.be/QJkCarK8GG0|'사막의 비']]. * 1990년 14회 대회에 참가한 오현란([[강원대학교]])은 1995년 [[페이지(그룹)|페이지]]의 초대 보컬로 발탁되어 1998년까지 활동했고 이후 솔로 가수로 이름을 알리게 된다. 참가곡명은 [[https://www.youtube.com/watch?v=zeMxLppaw2I|'가지 마라']]. * 2011년 35회 대회에 참가했던 [[이승윤(가수)|이승윤]]([[배재대]])은 훗날 [[싱어게인 - 무명가수전]]에 출연해 최종 우승을 하게 되었다. 참가곡명은 [[https://www.youtube.com/watch?v=O7LlaYjOrKE|없을 걸]]. * 2012년 36회 대회에 참가했던 갑돌이 사운드의 멤버 [[이봉규(아나운서)|이봉규]]([[서강대]])는 현재 [[CBS]] 아나운서이며 [[이봉규의 어떤가요]]를 진행한다. [[분류:MBC 대학가요제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