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M3 하프트랙)] [목차] == 개요 == [[M3 하프트랙]]의 운용국을 정리한 문서.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현대적인 APC가 등장할 때까지 M3/M5/M9 하프트랙과 파생형인 M16 MGMC는 2차 세계대전에서 많이 생산되어 전후에도 많은 차량들이 계속 사용되었다. 게다가 타국으로 공여된 사례도 많았다. == [[아메리카]] == === [[북아메리카]] === ==== [[미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White_halftrack_'To_Hell_With_It!'_with_USAW-409826_pic2.jpg|width=100%]]}}} || || '''개인 소장 M3 하프트랙'''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U.S._Army_M3_half-track.jpg|width=100%]]}}} || || '''제59회 토랜스 군사 퍼레이드의 미 육군 M3 하프트랙''' || 원조 사용국. ==== [[캐나다 자치령]]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anadian_War_Museum_M3_half-track.jpg|width=100%]]}}} || || '''캐나다 전쟁 박물관 소장 M3A1 하프트랙''' || === [[중앙아메리카]] === ==== [[도미니카 공화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ominican_Republic_M3_Half_track.jpg|width=100%]]}}} || || '''도미니카 공화국 육군의 M3A1 하프트랙'''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FRy1fo-ays)]}}} || || '''도미니카 공화국 육군의 M3A1 하프트랙 영상''' || ==== [[멕시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exican Army 7/o Regimiento Blindado de Reconocimiento M2A1 half-track.jpg|width=100%]]}}} || || '''멕시코 육군 제7기갑정찰연대의 M2A1 하프트랙'''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exican_M3A1_half-track.jpg|width=100%]]}}} || || '''멕시코군의 M3A1 하프트랙'''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exican army 9/o Regimiento Blindado de Reconocimiento M9A1 half-track.jpg|width=100%]]}}} || || '''멕시코 육군 제9기갑정찰연대의 M9A1 하프트랙''' || 현역이다. === [[남아메리카]] === ==== [[칠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3rd Armored Brigade 'La Concepción' M5 half track.jpg|width=100%]]}}} || || '''칠레 육군 제3기갑여단의 M5 하프트랙''' || 2차 대전 당시 M5 하프트랙 10대를 미국으로부터 공여받았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3_half-track_based_recovery_vehicle.jpg|width=100%]]}}} || || '''칠레군의 M5 하프트랙 기반 구난 차량''' || ==== [[브라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outh Military Command Museum M3 half track.jpg|width=100%]]}}} || || '''군사 지휘 박물관 소장 M3 하프트랙''' || ==== [[볼리비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olivian_M3_half-track.jpg|width=100%]]}}} || || '''볼리비아군의 M3 하프트랙''' || 2차 대전 당시 미국으로부터 M3 하프트랙 24대를 공여받아 운용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olivian_M5_half-track.jpg|width=100%]]}}} || || '''볼리비아군의 M5 하프트랙''' || 2007년에는 아르헨티나로부터 M5 하프트랙과 M9 하프트랙 37대를 공여받았다. ==== [[페루]]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eruvian_M3A1_half-track.webp|width=100%]]}}} || || '''페루군의 M3A1 하프트랙''' || ==== [[아르헨티나]]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rgentine_Army_M9_half-track.jpg|width=100%]]}}} || || '''아르헨티나 육군의 M9 하프트랙''' || ==== [[파라과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araguaian_half-track.jpg|width=100%]]}}} || || '''파라과이군의 하프트랙''' || == [[유럽]] == === [[중부유럽]] === ==== [[독일]] ==== ===== [[나치 독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3&sdkfz251.jpg|width=100%]]}}} || || '''501중전차대대의 M3 하프트랙과 Sd.kfz. 251''' || 동부전선, 서부전선, 북아프리카 전선 등지에서 노획해 '''"Gepanzerter Mannschaftstransportwagen M3 401(a)"'''라는 제식명으로 운용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T10-M3wurfrahmen.jpg|width=100%]]}}} || || '''Gepanzerter Mannschaftstransportwagen M3 401(a) mit Wurfrahmen 40''' || 1945년 독일-체코슬로바키아 국경에서 미군이 노획한 독일군 소속 M3 하프트랙. [[부르프라멘 40|부르프라멘 40 로켓발사기]]를 장착할 수 있도록 독일군이 개조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aptured_M3_halftrack_SPAA.jpg|width=100%]]}}}} || || '''1943년 튀니지의 프랑스제 model 25 3.7cm 대공포 탑재 Gep.MTW M3 401(a)''' || ===== [[서독|독일연방공화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eutsches_Panzermuseum_FlakPz M 16.jpg|width=100%]]}}} || || '''문스터 전차 박물관 소장 독일 연방군 소속 FlakPz M 16''' || 1956년 192대의 M16A1 MGMC를 공여받아 1962년까지 운용했다. ==== [[오스트리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ustrian_M3_half-track.jpg|width=100%]]}}} || || '''오스트리아 연방군의 M4 81mm 자주박격포''' || ==== [[폴란드]] ==== === [[동유럽]] === ==== [[소련]]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ark_Patriot_M3_Half_Track_‘351’.jpg|width=100%]]}}} || || '''애국 공원 소장 M3A1 하프트랙'''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oviet_M5_half-track_Re-enactment.jpg|width=100%]]}}} || || '''리인액트먼트 행사의 M5 하프트랙''' || 랜드리스로 미국으로부터 M2 하프트랙 342대, M3 하프트랙 2대, M5 하프트랙 421대, M9 하프트랙 413대를 지원받았다. 지원받은 하프트랙 중 54대가 소련으로 수송되는 중 독일 유보트가 쏜 어뢰에 맞고 화물선이 침몰되어 실종되었다. === [[북유럽]] === ==== [[덴마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anish_Army_M3A1.jpg|width=100%]]}}} || || '''코펜하겐 야외전시 M3A1 하프트랙''' || 1946년과 1955년에 M3A1과 M5 하프트랙 32대를 공여받았다. ==== [[핀란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anssarimuseo_M2_half-track.jpg|width=100%]]}}} || || '''파롤라 전차 박물관 소장 M2 하프트랙'''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innish_M2_half-track_towing_sFH 18_August_1949.webp|width=100%]]}}} || || '''sFH 18 곡사포를 견인하는 핀란드 방위군 소속 M2 하프트랙, 1949년 8월''' || 2차대전 종전 후 독일과 프랑스에 주둔 중 이었던 연합군으로부터 500대를 구매했다. === [[서유럽]] === ==== [[영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ritish_Army_11th_Armoured_Division_M3_half-track.jpg|width=100%]]}}} || || '''영국 육군 제11기갑사단의 M3 하프트랙''' || ==== [[프랑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Utah_M3A1.jpg|width=100%]]}}} || || '''유타 해변 기념관 소장 자유 프랑스 육군 소속 M3A1''' ||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다량을 미국으로부터 공여받았다. ==== [[네덜란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Nationaal_Militair_Museum_M3A1_half-track.jpg|width=100%]]}}} || || '''네덜란드 국립 군사 박물관 소장 M3A1 하프트랙''' || === [[남유럽]] === ==== [[유고슬라비아 연방 인민 공화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JNA_M15_CGMC.png|width=100%]]}}} || || '''유고슬라비아 인민군의 M15A1 CGMC''' || ==== [[이탈리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inerolo Cavalry Museum M3 half-track.jpg|width=100%]]}}} || || '''[[피네롤로]] 기병 박물관 소장 M3A1 하프트랙'''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talian_M3A1_half-track.jpg|width=100%]]}}} || || '''이탈리아군의 M3A1 하프트랙''' || ==== [[포르투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useu Salgueiro Maia_M3A1_m/1952.jpg|width=100%]]}}} || || '''Salgueiro Maia 박물관 소장 포르투갈군 소속 M3A1 m/1952 하프트랙''' || ==== [[스페인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useo de Unidades Acorazadas de El Goloso M3A1.jpg|width=100%]]}}} || || '''엘 골로소 기갑부대 박물관 소장 스페인 육군 제1기갑사단 소속 M3A1 하프트랙''' || 1950년대 중반 미국으로부터 M3A1 하프트랙 154대, M4A1 MMC 12문, M14 MGMC 78대, M16 MGMC 14대를 공여받아 1960년대 말~1970년대 초 까지 운용했다. == [[아시아]] == === [[동아시아]] === ==== [[대한민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yongsan_M16A1.jpg|width=100%]]}}} || || '''전쟁기념관 소장 대한민국 국군 소속 M16A1 MGMC''' || 대한민국 국군은 [[6.25 전쟁]] 이전에 소수의 M3 하프트랙을 [[https://demaclub.tistory.com/2720|공여]]를 받았다. M3 하프트랙과 파생형인 [[M16 하프트랙|M16 MGMC]]를 공여를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시간이 흘러 대한민국 국군이 발전하면서 M3 하프트랙 계열은 노후 장비로 퇴역하면서 포탑을 분리하여 [[승공포]]로 운용하고 있다. ==== [[중화민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OC_M2A1.jpg|width=100%]]}}} || || '''국민혁명군의 M2A1 하프트랙''' || ==== [[일본]] ==== ===== [[일본 제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mperial_Japanese_captured_halftrack_lost_in_the_river.jpg|width=100%]]}}} || || '''강에 빠진 일본군의 M3 GMC''' || ===== [[일본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JGSDF_M16_MGMC.jpg|width=100%]]}}} || || '''육상자위대의 M16 MGM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JGSDF_M15A1_CGMC.jpg|width=100%]]}}} || || '''육상자위대의 M15A1 CGMC''' || 일본 [[육상자위대]]는 M15A1 CGMC를 보안대 시절에 도입해 1990년대까지 운영했는데 동시기에 도입한 M16 MGMC가 1970년대에 퇴역한 것에 비교하면 상당히 오래 운영한 것이다. 70~80년대에 [[오리콘 대공포|오리콘 35mm 2연장 대공포]]나 [[87식 자주대공포|87식 35mm 자주대공포]] 도입으로 사실상 일선에서 밀려나긴 했지만 일본 자위대 장비 도입 사업 자체가 장기간에 걸친 소규모 도입이라서 퇴역까지 상당한 시일이 걸린 것이라고 한다. ==== [[북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Victorious Fatherland Liberation War Museum M16 MGMC.jpg|width=100%]]}}} || ||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관 소장 M16 MGMC''' || 한국전쟁 당시 M16 MGMC를 노획해 현재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관]]에서 전시 중이다. === [[서아시아]] === ==== [[이스라엘]]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DF_M2_Half-track.jpg|width=100%]]}}} || || '''야드 라 시론 전차 박물관 소장 자흘람 M3''' || [[중동전쟁]] 당시 [[이스라엘군]]도 세계 각지에서 M2, M3,M5 하프트랙을 입수해서 모든 M2 하프트랙, M3 하프트랙, M5 하프트랙을 '''"자흘람(זחל"ם) M3"'''이라는 제식명으로 통일했다. ||
'''형식''' || '''세부사항''' || || '''자흘람 M3 데겜 알레프''' || 일반 병력수송용 M2 하프트랙, M3 하프트랙, M5 하프트랙, M9 하프트랙 || || '''자흘람 M3 데겜 베트''' || 여러개의 라디오와 M2HB 중기관총을 탑재한 지휘차량 || || '''자흘람 M3 데겜 기멜''' || 81mm M1 박격포를 탑재한 자주박격포 || || '''자흘람 M3 데겜 달렛''' || [[https://en.wikipedia.org/wiki/Soltam_M-65|120mm Soltam M-65 박격포]]를 탑재한 자주박격포 || || '''자흘람 M3 데겜 He''' || 75mm 크루프 곡사포를 탑재한 자주곡사포 || || '''자흘람 M3 데겜 Waw''' || 20mm 오리콘 기관포 2문을 [[M45 마운트]]에 탑재한 자주대공포 페이퍼플랜 || 이스라엘의 파생형들은 다음과 같다. * M3 대전차자주포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914645334dd09229c27e6461541cfa4.jpg|width=100%]]}}} || 프랑스제 90mm DEFA 포를 장착한 버전 * M3 TCM-20 "Hatzerim"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3_TCM-20.jpg|width=100%]]}}} || || '''M3 TCM-20 "Hatzerim"''' || [[https://en.wikipedia.org/wiki/M45_Quadmount#TCM-20|TCM-20]] 마운트를 탑재한 자주대공포 * 자흘람 M3(Tager)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Zachlam_M3_Tager.jpg|width=100%]]}}} || || '''자흘람 M3(타게르)''' || 프랑스제 SS.11 대전차 미사일을 단 버젼. ==== [[레바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ebanese_M3_half-track_command_variant.jpg|width=100%]]}}} || || '''레바논의 M3 하프트랙 지휘차량''' || 이스라엘이 레바논 내전 당시 남레바논군, 타이거즈 민병대 등의 기독교 민병대들에게 공여했다. ===== 남레바논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n SLA militia M5 based halftrack in southern Lebanon, early 1980s.jpg|width=100%]]}}} || || '''남레바논군의 M5 하프트랙, 1980년대 초''' || === [[동남아시아]] === ==== [[필리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ngeles City Police Department, Philippines_M3_half-track.png|width=100%]]}}} || || '''필리핀 엔젤레스 경찰의 M3 하프트랙'''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ilipino_M3_half-track_during_korean_war.jpg|width=100%]]}}} || || '''한국전쟁 당시 필리핀군의 M3 하프트랙'''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ilipino_M16_MGMC_during_korea_war.jpg|width=100%]]}}} || || '''한국전쟁 당시 필리핀군의 M16 MGMC''' || ==== [[베트남]]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anoi_Army_Museum_M3_half-track.webp|width=100%]]}}} || || '''하노이 육군 박물관 소장 M3 하프트랙''' || ==== [[태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hai Army M3 half-track fitted with a Bofors 105mm Howitzer.webp|width=100%]]}}} || || '''타이 왕립 육군의 보포스 105mm 곡사포 탑재 M3 하프트랙''' || ==== [[라오스 왕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oyal_Laotian_Army_M3A1_half_track.jpg|width=100%]]}}} || || '''라오스 왕국군 소속 M3 하프트랙''' ||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M3 하프트랙, version=668)] [[분류:M3 하프트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