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Love in Vai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ewWQHInYfE, width=100%, height=25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_OSX1Z6xUFw, width=100%, height=250)]}}} || || '''발매''' ||1939년|| || '''녹음''' ||1937년 6월 20일|| || '''녹음 장소''' ||[[미국]] [[텍사스 주]] [[댈러스]]|| || '''장르''' ||[[블루스]]|| || '''길이''' ||2:25|| || '''작사/작곡''' ||[[로버트 존슨]]|| || '''프로듀서''' ||돈 로|| || '''레이블''' ||보컬리온||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델타 블루스 가수 [[로버트 존슨]]의 노래. 1937년 녹음됐고 1939년에 발매되었다.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을 다루고 있다. === 가사 === ||"I wanna go with our next one myself." And I followed her to the station With a suitcase in my hand And I followed her to the station With a suitcase in my hand Well, it's hard to tell, it's hard to tell When all your love's in vain All my love's in vain When the train rolled up to the station I looked her in the eye When the train rolled up to the station And I looked her in the eye Well, I was lonesome, I felt so lonesome And I could not help but cry All my love's in vain When the train, it left the station With two lights on behind When the train, it left the station With two lights on behind Well, the blue light was my blues And the red light was my mind All my love's in vain Ou hou ou ou ou Hoo, Willie Mae Oh oh oh oh oh hey Hoo, Willie Mae Ou ou ou ou ou ou hee vee oh woe All my love's in vain|| == [[롤링 스톤스]] 버전 == [Include(틀:Let It Bleed 트랙리스트)]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순위=3537)] ||<-2><#e8d7be> '''{{{+1 Love in Vai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yZYhhjyGXoU, width=100%, height=200)]}}} || || '''앨범 발매일''' ||[[1969년]] [[12월 5일]] || || '''수록 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8d7be;border: 1px solid #e8d7be; font-size: .9em" [[Let It Bleed|{{{#d30000 '''Let It Bleed'''}}}]]}}} || || '''스튜디오''' ||올림픽 스튜디오 || || '''장르''' ||[[블루스|어쿠스틱 블루스]] || || '''작곡/작곡''' ||[[로버트 존슨]] || || '''프로듀서''' ||지미 밀러 || || '''러닝 타임''' ||4:22 || || '''레이블''' ||데카 레코드 || 1969년 롤링 스톤스에 의해 리메이크 되었다. 그룹의 앨범 [[Let It Bleed]]의 2번 트랙에 수록되었다. 전형적인 블루스 곡인 원곡과는 다르게 기타가 아르페지오 주법으로 연주되어서 좀 더 서정적으로 들린다. 라이 쿠더[* [[부에나 비스타 소셜 클럽]]을 기획한 그 사람 맞다. 본래 쿠바 음악에 관심이 많았다고,]가 만돌린을 연주했다. === 가사 === ||<:> ---- '''{{{+2 {{{#d30000 Love in Vain}}}}}}''' ---- Well I followed her, to the station 내가 역으로 그녀를 따라갔을 때 With a suitcase in my hand 내 손에는 여행 가방이 있었네 Yeah, I followed her to the station 내가 역으로 그녀를 따라갔을 때 With a suitcase in my hand 내 손에는 여행 가방이 있었네 Whoa, it's hard to tell, it's hard to tell 말도 못해, 말도 못해 When all your love's in vain 당신의 모든 사랑이 무의미해질 때 When the train, come in the station 기차가 역으로 들어왔을 때 I looked her in the eye 나는 그녀의 눈을 보았네 Well the train come in the station 기차가 역으로 들어왔을 때 And I looked her in the eye 나는 그녀의 눈을 보았네 Whoa, I felt so sad so lonesome 나는 너무나 큰 외로움을 느꼈고 That I could not help but cry 나는 울지 않을 수 없었어 When the train left the station 기차가 역을 떠났을 때 It had two lights on behind 뒤에 두 개의 불빛만이 켜져 있었네 Yeah, when the train left the station 기차가 역을 떠났을 때 It had two lights on behind 뒤에 두 개의 불빛만이 켜져 있었네 Whoa, the blue light was my baby 푸른 빛은 나의 사랑이였고 And the red light was my mind 붉은 빛은 나의 마음이였네 All my love was in vain 내 모든 사랑은 무의미했네 All my love's in vain 내 모든 사랑은 무의미했네 ---- [[파일:롤링 스톤스 심볼.svg|width=50]] ---- || [[분류:1939년 노래]][[분류:1939년 싱글]][[분류:블루스]][[분류:1969년 노래]][[분류:롤링 스톤스 노래]][[분류:Let It Ble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