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시미즈 유키의 BL 만화, rd1=love mode(만화))] [목차] == 개요 == [[클래지콰이 프로젝트]]의 곡. [youtube(Hou9JYilQl8)] 2집 리믹스 앨범 'Pinch Your Soul'에 처음 등장했고 ([[에픽하이]]의 [[타블로]]가 랩 피처링) [youtube(mzAvAn1w2vM)] 3.5집 'Robotica'에 일본 앨범에 수록되었던 버전이 재수록되었다.([[m-flo]]의 verbal이 랩 피처링한 'Hwa Remix' 버전) 기계음이 강한 리믹스. [youtube(ba8W73C2yBw)] 'Pzq Mode'버전(Pe'z와 m-flo의 피처링). 이 버전은 나팔소리와 피아노 세션으로 더욱 흥한 버전. 시간 나면 세 곡을 한번 비교해 보도록 하자. == [[DJMAX|DJMAX 시리즈]] 수록 == ||<-2>
[[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LjXUIXlE8h8)]}}} || ||<-2> {{{-1 '''Full Ver.'''}}} || ||<-2>{{{#!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L9VPWym2aw)]}}} || ||<-2> {{{-1 '''BGA'''}}} || || {{{-1 '''수록 정보'''}}} ||{{{-1 [[DJMAX Portable Clazziquai Edition]]}}} {{{-3 (2008)}}} || || {{{-1 '''장르'''}}} ||{{{-1 Electronica}}} || || {{{-1 '''BPM'''}}} ||{{{-1 120}}} || || {{{-1 '''작곡'''}}} ||{{{-1 DJ Clazzi}}} || || {{{-1 '''보컬'''}}} ||{{{-1 [[알렉스(클래지콰이)|Alex]], [[호란(가수)|Horan]](보컬) / [[타블로|Tablo]](랩)}}} || || {{{-1 '''BGA'''}}} ||{{{-1 Hoon, [[Z_B]](영상 편집)[* 원본은 Love Mode의 뮤직비디오]}}} || ||<-2> {{{#!folding [ 가사 보기 ] everybody needs somebody to love and everybody hopes their love to be true we are all just loving in this guiding moonlight everybody needs somebody to kiss and everybody wants their moment to be true we are all just loving in this time of our lives This love was like being in a fantasy It was the time only for you and I But time has passed so does our love So does our time it's true If you listen, you are all that I've ever wanted now I whisper, my words are not promising but Let me, be settling down on you forever ever... (VERBAL) 想像してよ ちょっと 今やってる事 STOP してからDROP 全てのWORK 疲れたFACEを 上げてみな じゃあ行こうか? どこでもいいさ L'ETS GO ほっとけ あのナルシスト 今日はいつもと違う いつ戻るかは DON'T KNOW 二人の密度によるぜ ジッとして目を CLOSE ヒミツの楽園に TRANSPORT with ジェット機~に乗り ジェットし~ 数時間後に乗る ジェットスキ~ FEEL THE BREEZE、いつのまにか ヤな MEMORIES も飛ぶ 銀河に CAN YOU BELIEVE、この ENERGY CUZ I KNOW 、HOW YOU WANT IT TO BE... AND THAT'S FREE This love was like being in a harmony It was the time only for you and I Thou time has passed my love is real And my love is true If you listen, you are all that I've ever wanted now I whisper, my words are not promising but Let me, be setting down on you forever ever... If you listen, please don't ever stop this moment and whisper, my words are not promising but Let me, say my belief will last forever ever... If you listen, you are all that I've ever wanted now I whisper, my words are not promising but Let me, be setting down on you forever ever... If you listen, please don't ever stop this moment and whisper, my words are not promising but Let me, say my belief will last forever ever...}}} || [[DJMAX Portable Clazziquai Edition]]과 [[DJMAX TECHNIKA 시리즈]] 수록곡. 이후 [[DJMAX RESPECT]]에도 수록되었다. 위에 언급된 세곡 중 Hwa Remix와 원곡을 편곡해서 합친 버전으로, 곡과 보컬 부분을 Hwa Remix에서, 랩 부분을 원곡에서 가져와서 합친 곡이다.[* 3.5집의 랩 부분이 일본어이다 보니까 어쩔 수 없었던 듯.] === [[DJMAX Portable Clazziquai Edition]] === [youtube(j4-5tYGgjmw)] ||||||||||||[[DJMAX Portable Clazziquai Edition]]|| ||<|7>난이도||모드|| {{{#green NM}}} || {{{#red HD}}} || {{{#purple MX}}} || ||2B|| 2 || || || ||4B|| 2 || 5 || || ||5B|| 3 || || || ||6B|| 3 || || || ||4BFX|| 3 || || || ||6BFX|| 4[* DJMAX Protable Black Square 링크 디스크] || || || 테크니카에 수록된 패턴을 보면 알겠지만 얼마든지 난이도를 끌어올릴 수 있고, 사용할만한 키음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현실은 NM 패턴밖에 없다. 그나마 4B에 있는 HD패턴도 어려운 패턴은 아니기에 노래는 훌륭하지만 난이도에서 아쉬움이 많은 곡이다. === [[DJMAX TECHNIKA 시리즈]] === [youtube(QUuY5iZP4yc)] MX 패턴(테크니카 1 기준 SP) ==== [[DJMAX TECHNIKA|DJMAX TECHNIKA 1]] ==== [[DJMAX TECHNIKA]]에서도 수록되었으며 LP, PP패턴은 1 스테이지에서 오픈곡으로, TP패턴은 [[Electro EP|Electro EP Set]]에서 판정 95%미만일때 4 스테이지로 등장하며 SP패턴은 7월 스페셜패턴[* 한국판 한정, 해외판에서는 4월 스페셜로 [[처음만 힘들지|콩]] 을 밀어내고, 대신 [[Access]] 로 교체되었다. [[AD2222|이 콩]] 말고]이나 [[Futurist|Futurist Set]]에서 직접 골라 플레이 해볼 수 있다. 레벨은 LP 1, PP 3, TP 5, SP 7 ==== [[DJMAX TECHNIKA 2]] ==== || 패턴 || 랭크 || 가격 || 난이도 || 설명 || 비고 || || Star || D || 300 MAX || 1 || 8박 스크롤 |||| || NM || D || 400 MAX || 3 || 8박 스크롤 |||| || HD || D || 500 MAX || 6 || 4박 스크롤 || [[Electro EP|Electro EP Set]] 하위 보스곡 || || MX || C || 600 MAX || 7 || 4박 스크롤 || [[Futurist|Futurist Set]] 셀렉곡 || [[DJMAX TECHNIKA 2|테크니카 2]]에서도 건재. 하드 패턴의 레벨이 1 상향되었다. 이로 인해 하드 패턴은 6레벨 최약체로 물렙이 되었다. 모두 1 스테이지에서 플레이할 수 있다. 여담으로 Star 패턴은 노트수가 겨우 64개로, 모든 패턴 중 가장 노트수가 적은 곡이다. ==== [[DJMAX TECHNIKA 3]] ==== |||||||||||| [[DJMAX TECHNIKA 3]] || || 패턴 || 랭크 || 가격 || 난이도 || 설명 || 비고 || ||<#FFB0B0> Star || D || 50 Max || 1 || 8박 스크롤 || || ||<#FFFF00> Normal || D || 100 Max || 3 || 8박 스크롤 || [[New Beginning|미션 - LUV!!]] 수록 || ||<#0000FF> {{{#white Hard}}} || C || 150 Max || 6 || 4박 스크롤 || [[Electro EP|Electro EP Set]] 하위 보스곡 || ||<#FF0000> Maximum || B || 200 Max || 7 || 4박 스크롤 || [[Futurist|Futurist Set]] 셀렉곡 ||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CE)]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ove Mode_1.png|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24deg, #c1903d 0%, #c1903d 1.8%, #f2bb04 1.8%, #f2bb04 3.5%, #ffe520 3.5%, #ffe520 5.2%, #fff075 5.2%, #fff075 8.2%, #fff4b1 8.2%, #fff4b1 10.2%, #fff9db 10.2%, #fff9db 34%, #ffffff 34%, #ffffff 58%, #fffbea 58%, #fffbea 62.5%, #f7ecbf 62.5%, #f7ecbf 66.5%, #f6dd91 66.5%, #f6dd91 68.5%, #edc95b 68.5%, #edc95b 72%, #dcb335 72%, #dcb335 73.7%, #e6bc3a 73%, #e6bc3a 74.7%, #dcaf13 74.7%, #dcaf13 77%, #d59c00 77%, #d59c00 78.5%, #ba8b0a 78.5%, #ba8b0a 83%, #ac7b22 83%, #ac7b22 86%, #906b33 86%, #906b33 87.5%, #a97d1f 87.5%, #a97d1f 88%, #c48f1f 88%, #c48f1f 89.5%, #daa742 89.5%, #daa742 91%, #f3da8c 91%, #f3da8c 92.5%, #daa742 92.5%, #daa742 94%, #d59c00 94%, #d59c00 97.2%, #af9043 97.2%, #af9043 98.7%, #d9c256 98.7%, #d9c256 100%)" '''{{{#737373 CLAZZIQUAI}}}'''}}} || ||<-4>'''{{{+5 Love Mode}}}''' || || 모드 || NM || HD || MX || '''SC''' || ||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3 [br] {{{-5 129}}}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423}}} || - || [[파일:djmaxsc5.png|width=16]] {{{#purple,#f21cc7 '''2'''}}} [br] {{{-5 575}}}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2 [br] {{{-5 147}}}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282}}}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br] {{{-5 511}}} || [[파일:djmaxsc10.png|width=16]] {{{#purple,#f21cc7 '''6'''}}} [br] {{{-5 557}}}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4 [br] {{{-5 149}}}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br] {{{-5 389}}} || - || [[파일:djmaxsc10.png|width=16]] {{{#purple,#f21cc7 '''6'''}}} [br] {{{-5 795}}}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2 [br] {{{-5 146}}}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295}}}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579}}} || [[파일:djmaxsc10.png|width=16]] {{{#purple,#f21cc7 '''6'''}}} [br] {{{-5 663}}}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9db,#ffffff,#f7ecbf)" {{{-3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2017년 12월 21일 클래지콰이 에디션 DLC로 추가되었다. [[DJMAX RESPECT V|V]]에서는 4B와 6B에 SC 패턴이 배정되었고, 이후 시즌 10 업데이트로 5B와 8B에 SC 패턴이 추가되었다. ==== 4B TUNES ==== || {{{#737373 NM}}} || {{{#737373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QwUBIH-pdo)]}}}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8kxLUGsj2_s)]}}} || || {{{#737373 '''S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IhnN5EaXj0)]}}} || || 4B SC는 후반부에 연타 활용이 늘어난다. 표기 레벨은 2지만 실제 난이도는 3레벨 중위권 정도 되는 불렙이니 SC 패턴을 처음 접하는 초보자라면 피하는 것이 좋다. ==== 5B TUNES ==== || {{{#737373 NM}}} || {{{#737373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7nIEx6cRMF0)]}}}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NrRh3mq-pI)]}}} || || {{{#737373 MX}}} || {{{#737373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MSu47NB98g)]}}}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7RJRRwv2Ho)]}}} || 5B SC는 MX 패턴을 이전에 플레이한 유저라면 꽤나 당황할 수 있는 패턴인데, 기존 MX 패턴에서 보이스 샘플링과 함께 등장했던 3연타 패턴이 SC 패턴에서는 그 부분에서 나오지 않고 바로 그 다음 구간에서 등장하기 때문이다. 라~라~라~ 하는 샘플링은 5-4-3 롱노트로, 3연타 노트는 3-2-1 순으로 등장하는데, 롱노트는 오른손, 일반 연타는 왼손으로 처리해주어야 한 손으로 롱노트와 일반 연타를 동시에 처리해야 하는 불상사를 막을 수 있으니 적당히 한쪽 손을 더 사용하면서 넘어가주자. 저레벨 러너에게는 다소 생소할 수 있는 패턴이 많이 나오고, 익숙해지면 난이도가 크게 떨어지기 때문에 유저들의 평가는 물렙. ==== 6B TUNES ==== || {{{#737373 NM}}} || {{{#737373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aLg6c-eDjU)]}}}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5Dq48Hl8UOs)]}}} || || {{{#737373 '''S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4pbSvztf200)]}}} || || 6B SC는 쉬워 보이는 곡 분위기와 다르게 꽤 어렵게 나왔다. 특히 꺾인 겹계단 견제와 양손 원핸드 나선계단, 양손 연타가 연달아 나오는 후살이 고비로, 6레벨에서는 불렙이 아닌 선에서 최상위권 정도의 난이도. ==== 8B TUNES ==== || {{{#737373 NM}}} || {{{#737373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CjsFmLdddE)]}}}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yx9CKZ6r8wc)]}}} || || {{{#737373 MX}}} || {{{#737373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1Vrz-emu80)]}}}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9EwJmp87Fn8)]}}} || 8B SC는 MX 패턴에 적당히 살을 붙였다. 한손 3동시치기와 사이드를 적당히 활용하여 뇌지컬 면에서 난이도를 올린 것은 물론, MX에서 2+5 동시치기+트리거 트릴이었던 후살을 연타가 섞인 트리거+일반 노트 트릴로 변형시켰다. 특히 최후살에 등장하는 트리거+13 동시치기는 꼭 주의해주자. 저레벨에선 잘 나오지 않는 형태의 동시치기 모양이기 때문에 처리하는 느낌을 꼭 알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 [[분류:DJMAX의 수록곡]][[분류:클래지콰이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