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2>
[[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4gfCeIrtPGU)]}}} || || {{{-1 '''수록 정보'''}}} ||{{{-2 [[DJMAX RESPECT V]]}}} {{{#aaa |}}} {{{-3 V EXTENSION (2020)}}} || || {{{-1 '''장르'''}}} ||{{{-1 Mid Tempo Dubstep}}} || || {{{-1 '''BPM'''}}} ||{{{-1 104}}} || || {{{-1 '''작곡'''}}} ||{{{-1 [[IMLAY]]}}} || || {{{-1 '''BGA'''}}} ||{{{-1 YD[[https://www.instagram.com/yundante/?hl=ko|[[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18]]]]}}} || == 개요 == [[DJMAX 시리즈]]의 수록곡으로, [[SM엔터테인먼트]] 소속 일렉트로니카 작곡가 [[IMLAY]]가 처음으로 DJMAX 시리즈에 참전하면서 투고한 두 곡 중 하나다.[* 다른 한 곡은 YESEO와 합작한 [[Move Yourself]]. 리스펙트 V의 두 번째 트레일러에 쓰인 곡이다.] 첫 수록작은 [[DJMAX RESPECT V]]. 여러 가지 의미로 '''현 세대 리듬게임 사상 최대의 특이점.''' DJMAX 시리즈는 물론 현존하는 모든 리듬게임에서 유행하고 있는 J-코어 계열 테크노나 동인 계열 음악 같은 장르 트렌드를 '''완벽하게 역주행하는''' 곡이다. 오히려 정통 일렉트로니카에 가까운 사운드를 표방하고 있으며, 2010년대 이후로 등장한 곡들 중에서는 마이너 계열에 더 가깝지만, 역설적으로 DJMAX 시리즈 최대 장점인 '악곡 장르의 폭이 넓다'는 것을 제대로 증명해주는 곡. 곡의 분위기 자체도 리스펙트 V 신곡들 중에서 가장 독특하다.[* 이번 리스펙트 V 신곡들은 대체로 현 세대 리듬게임 악곡 트렌드에 맞는 곡들이 대다수다. 공모전 당선곡인 WONDER $LOT 777이나 FIGHT NIGHT, 오리지널 신곡인 NANAIRO, Kensei 등이 대표 사례.] BGA도 특이점이 세게 온 수준으로, 3D 그래픽이긴 한데 이 BGA 속 모든 구성 요소들이 아예 '''폴리곤 뼈대만으로 구현되어 있다!''' 그리고 이게 오히려 음악 자체와도 잘 어울려 신의 한 수가 되었다. 샘플링은 총 세 개가 쓰였다. 'I have no experience.' 한 개, 'OH MY GOD!' 두 개.[* 하나는 여성, 다른 하나는 남성.] 곡명이 과거 [[스타크래프트]]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 맵 '[[잃어버린 사원]]'과 똑같아서 별칭도 자연스레 로템이 됐다. 그래서 시즌 7때 추가된 팀전 기능에서 소소한 화제가 되기도 했다.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V EXTENSION)]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ost Temple_1.png|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1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6f1b 15%, #3b89b6 85%)" '''{{{#2E3A42 V EXTENSION}}}'''}}} || ||<-4>'''{{{+5 Lost Temple}}}''' || || 모드 || NM || HD || MX || '''SC''' || ||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341}}}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585}}} || - || [[파일:djmaxsc15.png|width=16]] {{{#purple,#f21cc7 '''12'''}}} [br] {{{-5 961}}}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3 [br] {{{-5 274}}}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483}}}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1 [br] {{{-5 772}}} || -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392}}}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545}}}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764}}} || [[파일:djmaxsc15.png|width=16]] {{{#purple,#f21cc7 '''11'''}}} [br] {{{-5 1113}}}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406}}}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550}}}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 [br] {{{-5 910}}} || -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8d4b, #6ac0f1)" {{{-3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SC를 제외한 가장 어려운 패턴이 8B MX로 12레벨이다. 전체적으로 리스펙트 V 신곡들 중에서는 중레벨 담당. 다만 MX 패턴 공통적으로 32비트 트릴이 나와 조심할 필요가 있다. 곡 BPM은 104니 208BPM 트릴인 셈. 2021년 1월 28일 [[DJMAX RESPECT V]] 메이저 업데이트에 4B, 6B SC 패턴들이 추가되었다. 세세한 박자들을 계단과 트릴로 모두 구현한 개성있는 패턴으로 호평을 받고 있다. === 4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yfzYq8pPkbw)]}}}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jidi5_qfBLA)]}}} || || {{{#white '''S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6wMc0KN0U6A)]}}} || || 4B SC는 1243 트릴과 원핸드 트릴이 많이 나온다. 그 외에 주의해야 할 패턴은 후반부 3동시치기 패턴. === 5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cDkE8FfJ-GI)]}}}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9a5CObueEtQ)]}}} || || {{{#white MX}}}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s2eTGqHgrg)]}}} || || 5B MX의 표기 레벨은 11이지만 오히려 10레벨인 6B MX보다 쉽게 나온다. 1324 등 꽤 복잡한 폭타를 쏟아내는 6버튼과 달리 단순 트릴로 열화되었고, 그마저도 몇몇 부분은 8비트로 바뀌는 등 전혀 어렵지 않다. === 6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lYNbU-c-5Y)]}}}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u8jDnEe0M0)]}}} || || {{{#white MX}}} || {{{#white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NY5W03HAymU)]}}}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ABFhJTBz38)]}}} || 6B SC의 경우 노래만 들어보면 무지막지한 인체공학적 폭타가 쏟아질거라 예상되었으나 의외로 폭타 대신 계단으로 구현됐고, 대신 계단 전 등장하는 동시치기가 더 어렵게 나왔다. 사이드 트랙이 많이 나와 랜덤을 걸기에는 까다로워 보일 수 있으나 사이드 트랙과 일반 노트가 겹치는 타이밍에 나오는 노트 수가 적고 처리 또한 어렵지 않고, 정배치는 부등호 패턴이나 최후살의 12-3-12나 56-4-56과 같은 원핸드를 요구하는 한 쪽에 몰려있는 까다로운 패턴이 자주 나오기 때문에 사이드 트랙과 일반 노트가 겹치는 패턴 처리에 강하다면 랜덤을 거는 게 낫다. === 8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njkKdv9bPIA)]}}}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0K9qFAtfUm4)]}}} || || {{{#white MX}}}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eaLLkL4388)]}}} || || 8버튼 MX는 FX 노트가 생각보다 꽤 많이 나온다. 기본기가 아예 없다면 고전할 수 있으나 8비트가 주가 되기 때문에 아주 어렵진 않다. [[분류:DJMAX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