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Cytus의 수록곡]][[분류:DEEMO/수록곡]] '''{{{+2 핏빛 장미의 군주}}}''' [목차] == 개요 == 리듬게임 음악으로, 작곡은 Eye DT, 보컬은 Searlait. 고딕 락과 같은 분위기를 주는 강렬한 곡이다. == 가사 == || '''白い心を隠してる''' 시로이 코코로오 카쿠시테루 순수한 마음을 숨기고 있어 '''赤く染めた瞳になる''' 아카쿠 소메타 히토미니 나루 빨갛게 물든 눈동자가 되어 '''呟いて 一人の旅''' 츠부야이테 히토리노 타비 중얼거리며 시작한 외로운 여행 '''彷徨いも 尽くしてない''' 사마요이모 츠쿠시테나이 헤매는 것도 다 할수 없어 '''バラの花 魔王ような''' 바라노하나 마오-요-나 장미꽃 마왕 같구나 '''弱みと迷いはしない''' 요와미토 마요이와 시나이 약한 척이나 도망치는 건 하지 않아 '''暗暗で刺されても 痛みを堪えて叫ぶ''' 쿠라야미데 사사레테모 이타미오 코라에테 사케부 어둠 속에서 찔려도 아픔을 견뎌서 외쳐 '''バラの花 貴族ような''' 바라노하나 키조쿠요-나 장미꽃 귀족 같구나 '''生意気盛りの遺伝子''' 나마이키 자가리노 이덴시 한창 건방진 유전자 '''忘れない昨日に''' 와스레나이 사쿠지츠니 잊을수 없는 어제에 '''引き続き 世界を奪おう''' 히키츠즈키 세카이오 우바오- 이어서 세계를 빼앗자 '''ただの花 魔王ような''' 타다노하나 마오-요-나 그냥 꽃 마왕 같구나 '''弱みと迷いはしない''' 요와미토 마요이와 시나이 약한 척이나 도망치는 건 하지 않아 '''暗暗で刺されても 痛みを堪えて叫ぶ''' 쿠라야미데 사사레테모 이타미오 코라에테 사케부 어둠속에서 찔려도 아픔을 견뎌서 외쳐 '''蔷薇の花 貴族ような''' 바라노하나 키조쿠요-나 장미꽃 귀족 같구나 '''生意気盛りの遺伝子''' 나마이키자가리노 이덴시 한창 건방진 유전자 '''忘れない昨日に''' 와스레나이 사쿠지츠니 잊을수 없는 어제에 '''引き続き 世界を奪おう''' 히키츠즈키 세카이오 우바오- 계속해서 세계를 빼앗자 || == Cytus == [include(틀:Cytus/ChapterK)] === 채보 === ||||||<:> ''' Lord of Crimson Rose''' ||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latest?cb=20150308154344?.png|width=240]] || ||<:> 작곡||||<:> Eye DT || ||<:> 보컬||||<:> Searlait || ||<:> 일러스트||||<:> || ||<:> BPM||||<:> 125 || ||<:> 연주 시간||||<:> 2:28 || ||<:>||<:>EASY||<:>HARD|| ||<:>레벨||<:>2||<:>8|| ||<:> 노트 수||<:>286||<:>599|| ||<:>'''특이사항'''||||<:>|| [youtube(-1tX4pYDh7Y)] 챕터 K의 6번째 곡, 부제목은 '''The Queen'''(여왕). 일러스트에서는 성인이 된 로자벨의 모습을 비춰주고 있다. [[Knight of Firmament]]와는 다르게 전체적인 색깔이 빨간색이고 마도서를 든채로 앉아있는 로자벨의 모습이 있다. [[The Red Coronation]], [[Forbidden Codex]] 이후에 자라나면서 마력을 가진 여왕이 된것으로 추측하는 사람들이 많다. 일러스트 속의 마도서 또한 Forbidden Codex에서 로자벨이 펼쳤던 그 마도서. 가사에 나와있듯이, 가사는 마녀가 된 로자벨의 타락한 면모를 그대로 보여주고 있으며 동시에 아이리스가 [[Knight of Firmament]]로 전했던 내용에 대한 대답 역할도 하고 있다. 그리고 그 결별을 그대로 선언한 곡이 [[Predawn]]. [[Knight of Firmament]]가 피아노 위주였다면 이곡은 기타 위주이다. 때문에 엇박이 많다. ==== Hard ==== 하드는 이지와는 달리 엇박인 기타음에 맞춰져있다. 때문에 TP공략이 만만치 않은데다 후반부에는 이 패턴이 더 심해져서 TP가 더 깎인다. 거기다가 느린 스크롤도 한 몫 하고. 하지만 위 설명은 TP를 기준으로 했을 때 설명이고, 사실상 밀마는 '''물렙'''이다. 같은 8렙인 [[The Sanctuary]]보다는 체감 난이도가 꽤 낮다. 노트 밀도도 별로 높지 않고... === 기타 === * 여담으로 챕터 K 곡은 게임 플레이시 일러스트에 제목이 뜨고 그위에 곡의 심볼이 뜨는데 이곡은 자기 자신의 심볼이 나오지 않고 [[The Red Coronation]]의 심볼이 나와있다. 다음 버전에서 수정 예상. * Rayark의 리듬게임에 참가한 경험이 있는 [[3R2]]가 어레인지 한 버전도 있는 모양 [[https://www.youtube.com/watch?v=1dgWHcWNitk|링크]] == Deemo == [include(틀:DEEMO/Knight Rosabell Collection)] === 채보 === ||<-4> '''Lord of Crimson Rose''' || ||<-4><#FFFFFF>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Lord_of_Crimson_Rose.png|width=240]] || ||<:>작곡||<-3><:> Eye DT || ||<:>보컬||<-3><:> Searlait || ||<:>BPM||<-3><:> 125 || || 난이도 ||<#cf9> Easy ||<#9cf> Normal ||<#fea> Hard || ||<:>레벨||<:>2||<:>5||<:>7|| ||<:>노트 수||<:>253||<:>467||<:>655|| ||<:><-4> '''밝게 빛나는 붉은 불꽃이 온 세상을 뒤덮게 해줘!'''[* 해당 곡을 플레이 후 SNS에 공유할 경우 결과와 함께 출력되는 대사.] '''흑딸기 나무 가시가 뚫고 들어와 내 몸속 곳곳에 퍼졌어'''[* 해당 곡을 FC/AC 후 SNS에 공유할 경우 결과와 함께 출력되는 대사.]|| [youtube(RScDZNjwdDc)] Knight Rosabell Collection의 첫 번째 곡. ==== Easy ==== {{{#!HTML이 문장을 지우고 유튜브 소스 코드를 붙여넣습니다.}}} 플레이/FC/AC영상[* 셋 중 영상에 해당하는 분류만 적습니다.] 채보의 구분되는 특징이나, 해당 채보만의 패턴을 간략하게 적도록 합니다. ==== Normal ==== {{{#!HTML이 문장을 지우고 유튜브 소스 코드를 붙여넣습니다.}}} 플레이/FC/AC영상[* 셋 중 영상에 해당하는 분류만 적습니다.] 채보의 구분되는 특징이나, 해당 채보만의 패턴을 간략하게 적도록 합니다. 별다른 특징이 없는 경우, Easy 문단과 합쳐서 간략히 서술합니다. ==== Hard ==== [youtube(4BtZ7rHHIec)] AC 영상. 이 영상의 1분 26초 즈음부터 왼쪽과 오른쪽을 매우 빠르게 긁는 슬라이드 노트가 나온다. 그런데 이 슬라이드가 [[Wings of Piano]]보다도 더 빠르게, 게다가 한번만 긋는 게 아니라 여러번 왔다갔다 하는 슬라이드라서 처리하기가 매우 어렵다. 또한, 정말 사양이 좋지 않은 이상 여기서 순간적으로 렉이 생겨서 후에 왼쪽에 있는 노트를 놓치기 쉽다. 렉이 안 생긴다 할지라도 슬라이드 노트의 챠밍 효과 때문에 근처 화면이 노랗게 되어서 노트가 아예 보이지도 않는 경우도 많다. 또한, 이 영상의 36초 즈음부터 빠른 계단 패턴이 나오는데 이게 꽤 빠르게 내려가는 지라 놓치기 쉽고, 어찌어찌 넘긴다 하더라도 이 직후에 일정한 간격으로 나오는 연타를 이전에 빨랐던 계단 패턴의 흔적이 남아 너무 빠르게 친다거나, 시작부터 놓치는 경우도 많아서 상당히 어렵다. 위의 이유로 7레벨 상위권으로도 볼 수 있을 정도의 곡이었으나, 이후 등장한 7레벨 곡에 의한 "7레벨의 상향 평준화"로 인해 난이도가 낮아졌다. 그래도 아직은 7레벨이 적당하다. === 기타 === * 채보의 기타사항을 적도록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