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League of Legends European Championship Spring 2019)] * 다음 문서: [[League of Legends European Championship Spring 2019/포스트시즌]] [include(틀:League of Legends European Championship Spring 2019 정규시즌 경기 일람)] [목차] == 개요 == [[League of Legends European Championship Spring 2019]]의 4주차 경기를 기록해놓은 문서이다. [include(틀:LoL European Championship Spring 2019 정규시즌 순위표)] == 7일차 == ||<-4><:>'''7일차'''(2019.02.09)|| ||<:>'''FC Schalke 04 Esports'''||<:>'''승'''||<:>패||<:>'''Misfits Gaming'''|| ||<:>SK Gaming||<:>패||<:>'''승'''||<:>'''Splyce'''|| ||<:>'''Origen'''||<:>'''승'''||<:>패||<:>Rogue|| ||<:>'''Fnatic'''||<:>'''승'''||<:>패||<:>exceL eSports|| ||<:>'''G2 Esports'''||<:>'''승'''||<:>패||<:>Team Vitality|| 사일러스가 드디어 3번이나 풀렸지만 전패했다. 익스펙트는 딱 1인분만 했고 프로핏과 소아즈는 인분이었다는 평가다. === S04 승 : 패 MSF ===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blueteam=FC Schalke 04 Esports, redteam=Misfits Gaming, d_blueban1=드레이븐, p_blueban1=draven, d_blueban2=카이사, p_blueban2=kaisa, d_blueban3=우르곳, p_blueban3=urgot, d_blueban4=사이온(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ban4=sion, d_blueban5=녹턴(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ban5=nocturne, d_redban1=쓰레쉬, p_redban1=thresh, d_redban2=루시안(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2=lucian, d_redban3=그라가스, p_redban3=gragas, d_redban4=올라프(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4=olaf, d_redban5=카밀, p_redban5=camille, d_bluepic1=제이스(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pic1=jayce, d_bluepic2=세주아니, p_bluepic2=sejuani, d_bluepic3=아칼리, p_bluepic3=akali, d_bluepic4=이즈리얼, p_bluepic4=ezreal, d_bluepic5=블리츠크랭크, p_bluepic5=blitzcrank, d_redpic1=사일러스(리그 오브 레전드), p_redpic1=sylas, d_redpic2=리 신, p_redpic2=leeSin, d_redpic3=리산드라, p_redpic3=lissandra, d_redpic4=바루스(리그 오브 레전드), p_redpic4=varus, d_redpic5=탐 켄치, p_redpic5=tahmKench)] 아베다게가 메멘토와 더불어 오버플레이 다이브로 연달아 킬을 퍼주며 샬케에게 불리한 시작 같았지만, 소아즈의 사일러스가 오도암네의 제이스에 말 그대로 처발리면서 실제로는 그렇게까지 안 불리했다. 그리고 이그나의 블리츠크랭크가 하드캐리한 반면 미스핏츠 쪽에서는 사일러스와 탐 켄치가 없는 것만 못한 경기력을 보이면서, 미스핏츠가 모든 전투를 패하고 넥서스를 밀렸다. 샬케는 이그나를 축으로 다른 멤버들의 부족했던 부분이 크게 보강되는 모습을 보이면서 질주하는 중. 물론 G2에게는 전 라인이 주도권을 내주면서 이그나가 쓰레쉬로 뭐 하기 전에 폭파당했지만 현재 G2는 어나더 레벨이다. G2에게 발리듯 터지지만 않으면 이그나가 활약할 타이밍이 온다는 뜻이다. 이외에 오도암네가 자신의 최전성기인 롤드컵 4강 시절의 전승챔프인 제이스로 소아즈를 털어먹은 것도 희망적이다. 아베다게는 초반에 무난히 이길 게임을 역으로 꼬아놓았지만 중후반에는 뛰어난 진입센스로 세탁하며 KDA 6/2/6을 기록. 미스핏츠는 페비벤이 갈리오로 지주케에 발린 경기를 제외하면 쭉 소아즈와 고릴라가 문제고, 특히 소아즈는 탱커를 잡으면 기복이 그래도 눈에 잘 안 띄던 지난 2년과 달리 탱커 폼까지 흔들린다. 고릴라는 암흑기 자신의 유일한 버팀목이던 탐 켄치로 중반 1+1 특판행사를 시전한 것은 물론 최근 게임 중반부만 가면 흔들리는 오더 능력에서까지 좋지 못한 평가를 받으며 이그나에게 완벽히 판정패하였다. 끊어먹기에 적합한 리산드라, 리 신과 맞지 않는 긴 한타 혹은 받아치기용의 사일러스, 탐 켄치를 조합한 픽밴도 이전 경기들부터 그다지 좋지 못한 평가를 받고 있는 것은 덤. === SK 패 : 승 SPY ===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blueteam=SK Gaming, redteam=Splyce, d_blueban1=카서스(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ban1=karthus, d_blueban2=라이즈, p_blueban2=ryze, d_blueban3=사일러스(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ban3=sylas, d_blueban4=오른, p_blueban4=ornn, d_blueban5=올라프(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ban5=olaf, d_redban1=알리스타, p_redban1=alistar, d_redban2=아칼리, p_redban2=akali, d_redban3=브라움, p_redban3=braum, d_redban4=리산드라, p_redban4=lissandra, d_redban5=코르키, p_redban5=corki, d_bluepic1=케넨, p_bluepic1=kennen, d_bluepic2=신 짜오, p_bluepic2=xinZhao, d_bluepic3=사이온(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pic3=sion, d_bluepic4=카시오페아(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pic4=cassiopeia, d_bluepic5=쓰레쉬, p_bluepic5=thresh, d_redpic1=우르곳, p_redpic1=urgot, d_redpic2=녹턴(리그 오브 레전드), p_redpic2=nocturne, d_redpic3=르블랑(리그 오브 레전드), p_redpic3=leblanc, d_redpic4=루시안(리그 오브 레전드), p_redpic4=lucian, d_redpic5=파이크(리그 오브 레전드), p_redpic5=pyke )] 바텀에서 개입 없는 킬을 따고 여기저기서 승전보를 울리던 스플라이스, 하지만 중반에 미드 1차 공성 중 대퍼해서 탑원딜 짤리고 바론 내주면서 게임이 이상해졌다. 초시계와 수호천사 앞에 르블랑 파이크 녹턴 조합이 애매한 유통기한을 맞이하게 된 것. 하지만 코비의 루시안이 무쌍을 찍고 휴머노이드의 르블랑 외줄타기가 1회의 애매함을 제외하면 대체로 성공하는 사이 SK의 정글 제외한 전원이 전투에서 간디정신을 선보인다. 결국 스플라이스가 바론을 다시 내주고 한타에서 대승하는 큰그림으로 게임에서 최종적인 승리를 거둔다. 스플라이스는 자신들과의 맞대결서 G2를 살짝 위기로 몰았던 미킥스의 파이크가 잘해보일 정도로 노스케런이 파이크를 더럽게 못하면서 많이 고전했다. 특유의 취할 수 있는 이득을 기피하는 쫄보 플레이는 덤. 하지만 휴머노이드가 대퍼는 해도 자신이 초비형이지 유칼형은 아니라는 것을 증명하며 교전마다 최고급 진입으로 간신히 조합 유통기한을 때워냈다. 그리고 코비는 최근 업셋 바로 다음 한스사마 아틸라 패트릭 위라고 봐도 이상하지 않을 포스를 꾸준히 뿜어내고 있다. 라인전과 소수교전에 특화된 조합을 뽑고 그 유통기한을 씹어먹는 딜러들의 장장 45분에 달하는 하드캐리로 이기니 모양새가 좀 이상한데, 일단 이겼다. SK는 14킬을 땄는데 정글 말고 3킬 이상 먹은 선수가 없고 정글러가 9킬 먹었다. 뒤없는 신 짜오가 진입해서 이니시 딜 탱 다 해내고 나머지가 잘 보좌하면 싸움 이기는데 정글러가 하나 삐끗하면 지는 대단한 구도였고 드림즈의 쓰레쉬가 이니시 잘한 미드 교전 한 번 말곤 진짜 계속 이랬다. 월립의 케넨은 휴머노이드에게 취권 한 번 시전했고 그마저도 결국 우르곳에게 처형당한 것을 빼면 노답이었다. 그 막 던지던 소아즈보다도 못했으니... 피레안과 크라운샷은 캐리력 면에서 시즌 개막 후 쭈욱 상대 미드원딜과는 극과 극이니 말할 것도 없다. === OG 승 : 패 RGE ===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blueteam=Origen, redteam=Rogue, d_blueban1=녹턴(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ban1=nocturne, d_blueban2=이즈리얼, p_blueban2=ezreal, d_blueban3=아트록스(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ban3=aatrox, d_blueban4=올라프(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ban4=olaf, d_blueban5=리산드라, p_blueban5=lissandra, d_redban1=카시오페아(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1=cassiopeia, d_redban2=아칼리, p_redban2=akali, d_redban3=루시안(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3=lucian, d_redban4=세주아니, p_redban4=sejuani, d_redban5=그라가스, p_redban5=gragas, d_bluepic1=우르곳, p_bluepic1=urgot, d_bluepic2=누누와 윌럼프, p_bluepic2=nunu&willump, d_bluepic3=신드라, p_bluepic3=syndra, d_bluepic4=드레이븐, p_bluepic4=draven, d_bluepic5=모르가나(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pic5=morgana, d_redpic1=사일러스(리그 오브 레전드), p_redpic1=sylas, d_redpic2=카직스, p_redpic2=khazix, d_redpic3=조이(리그 오브 레전드), p_redpic3=zoe, d_redpic4=바루스(리그 오브 레전드), p_redpic4=varus, d_redpic5=알리스타, p_redpic5=alistar )] 미시가 모르가나를 뽑았고, 커리어 내내 탑승을 위해 굴려온 잔머리 하나는 EU 원탑인 콜드는 누누와 윌럼프를 꺼냈다. 이 선택은 적중해서 알파리가 프로핏을 솔킬내고 패트릭의 드레이븐이 패시브를 펑펑 터뜨리며 캐리하는 사이 수동적인 챔프로 콜드가 훌륭히 탑승하였다. 그냥 센컥스가 오리 솔킬 한 번 낸 [* 조이가 은근히 일정 이상 불리해지면 애매한 생존력으로 암살자들보다 변수 창출을 못하는 면도 있고 조이의 파일럿이 센컥스라서인 면도 있었다 카드라.] 것을 제외하면 로그가 무난히 발렸다. 전체적으로 알파리-키키스-뉴크덕-패트릭-와디드면 최소 바이탈리티급 경기력은 나오지 않을까 싶은데 두 팀 다 로스터 참 엽기적으로 짰다는 생각이 들게 하는 경기. 그래도 미시가 상대 위협적인 라이너가 하나도 없었던 덕도 있지만 특유의 술취한 뇌절 플레이가 좀 줄었다. === FNC 승 : 패 XL ===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blueteam=Fnatic, redteam=exceL eSports, d_blueban1=루시안(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ban1=lucian, d_blueban2=케넨, p_blueban2=kennen, d_blueban3=알리스타, p_blueban3=alistar, d_blueban4=그라가스, p_blueban4=gragas, d_blueban5=카서스(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ban5=karthus, d_redban1=아칼리, p_redban1=akali, d_redban2=카시오페아(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2=cassiopeia, d_redban3=베인(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3=vayne, d_redban4=리산드라, p_redban4=lissandra, d_redban5=아이번, p_redban5=ivern, d_bluepic1=우르곳, p_bluepic1=urgot, d_bluepic2=리 신, p_bluepic2=leeSin, d_bluepic3=신드라, p_bluepic3=syndra, d_bluepic4=자야(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pic4=xayah, d_bluepic5=라칸(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pic5=rakan, d_redpic1=사일러스(리그 오브 레전드), p_redpic1=sylas, d_redpic2=아트록스(리그 오브 레전드), p_redpic2=aatrox, d_redpic3=르블랑(리그 오브 레전드), p_redpic3=leblanc, d_redpic4=카이사, p_redpic4=kaisa, d_redpic5=브라움, p_redpic5=braum )] 엑셀의 제스클라와 카싱이 G2 MSF전과는 판이한 형편없는 라인전을 보여주고, 엑사일도 갈리오와 르블랑 실력을 등가교환한듯 네메시스 면전에서 트롤하면서 프나틱이 나름 무난하게 이겼다. === G2 승 : 패 VIT ===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blueteam=G2 Esports, redteam=Team Vitality, d_blueban1=라이즈, p_blueban1=ryze, d_blueban2=드레이븐, p_blueban2=draven, d_blueban3=카시오페아(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ban3=cassiopeia, d_blueban4=리 신, p_blueban4=leeSin, d_blueban5=카밀, p_blueban5=camille, d_redban1=사일러스(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1=sylas, d_redban2=제이스(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2=jayce, d_redban3=우르곳, p_redban3=urgot, d_redban4=빅토르(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4=viktor, d_redban5=신 짜오, p_redban5=xinZhao, d_bluepic1=자르반 4세, p_bluepic1=jarvanIV, d_bluepic2=카서스(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pic2=karthus, d_bluepic3=아칼리, p_bluepic3=akali, d_bluepic4=이즈리얼, p_bluepic4=ezreal, d_bluepic5=쓰레쉬, p_bluepic5=thresh, d_redpic1=럼블(리그 오브 레전드), p_redpic1=rumble, d_redpic2=올라프(리그 오브 레전드), p_redpic2=olaf, d_redpic3=르블랑(리그 오브 레전드), p_redpic3=leblanc, d_redpic4=루시안(리그 오브 레전드), p_redpic4=lucian, d_redpic5=브라움, p_redpic5=braum )] == 8일차 == ||<-4><:>'''8일차'''(2019.02.10)|| ||<:>FC Schalke 04 Esports||<:>패||<:>'''승'''||<:>'''Origen'''|| ||<:>'''SK Gaming'''||<:>'''승'''||<:>패||<:>Rogue|| ||<:>'''Splyce'''||<:>'''승'''||<:>패||<:>Misfits Gaming|| ||<:>'''Team Vitality'''||<:>'''승'''||<:>패||<:>exceL eSports|| ||<:>'''G2 Esports'''||<:>'''승'''||<:>패||<:>Fnatic|| 전날 전패한 사일러스는 첫 경기만 밴도 픽도 되지 않고 나머지 모두 밴, 4밴 0픽 밴픽률 80%를 찍었다. 북미에서 사일러스의 대활약을 보면 사일러스는 초중반에 무난하고 궁 만렙되는 후반에 사기인 챔프인데, 유럽의 게임스피드가 매우 빠르고 전날 사일러스를 픽한 탑솔러들의 폼이 전부 별로이며 팀들도 별로이기에 거품이 빠졌다고 속단하기는 애매하다. 픽하기는 두려운데 내어주기는 더 두려운 모양. === S04 패 : 승 OG ===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blueteam=Schalke 04, redteam=Origen, d_blueban1=드레이븐, p_blueban1=draven, d_blueban2=카시오페아(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ban2=cassiopeia, d_blueban3=우르곳, p_blueban3=urgot, d_blueban4=신드라, p_blueban4=syndra, d_blueban5=조이(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ban5=zoe, d_redban1=아칼리, p_redban1=akali, d_redban2=제이스(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2=jayce, d_redban3=루시안(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3=lucian, d_redban4=그라가스, p_redban4=gragas, d_redban5=모르가나(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5=morgana, d_bluepic3=리산드라, p_bluepic3=lissandra, d_bluepic4=이즈리얼, p_bluepic4=ezreal, d_bluepic2=카밀, p_bluepic2=camille, d_bluepic1=라이즈, p_bluepic1=ryze, d_bluepic5=파이크(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pic5=pyke, d_redpic4=칼리스타, p_redpic4=kalista, d_redpic5=알리스타, p_redpic5=alistar, d_redpic2=세주아니, p_redpic2=sejuani, d_redpic1=케넨, p_redpic1=kennen, d_redpic3=야스오(리그 오브 레전드), p_redpic3=yasuo)] G2 빼고 다 갈아버린 샬케가 가볍게 이길줄 알았으나 기묘한 연승을 달리던 OG의 저력이 하필 폭발해버린 경기. 카밀, 파이크, 리산드라 등 적극적으로 초반에 킬을 따내 이득을 굴릴 필요가 있는 샬케가 OG의 단단한 라인전에 막혀 아무 것도 못했다. 미드 CS 10개 벌린 것이 전부이나 기분이 좋을 리가. 결국 상황을 타개해보려던 이그나와 메멘토가 미드 3인갱을 준비하는 사이, CS를 욕심내며 알칼리 조합을 혹은 미시를 저평가한 업셋이 한번에 터져버린다. 문제는 이때 메멘토와 이그나가 바로 빠져나오는 사이 오더가 갈렸는지 생각이 없는지 아베다게가 어물쩡대다가 바로 미드로 올라온 미시 등에게 포위당해버린다. 이 1+1 특판행사로 1킬 먹은 야스오와 2어시째 쌓은 알리스타가 탑으로 올라가서 오도암네 잡아먹은 것을 시작으로 전 맵을 터뜨리면서 킬스코어 7:0, 이후 게임이 그대로 끝나버린다. 유독 업셋에 강한 패트릭과 터뜨려줄 때는 터뜨려주는 뉴크덕을 2주차까지만 해도 TSM 미시였으나 오늘 갑자기 G2 미시가 되어버린 미시가 보좌하면서 대박이 터진 경기. 알파리의 케넨 또한 조용히 명불허전이었으니 콜드는 세주아니로 행복롤 그 자체였다. OG의 플옵이 유력해지면서 프나틱에게는 암운이 드리우고 있다. 샬케는 업셋의 탐욕이건 이그나의 원딜방치건 그 하나로 게임을 너무 쉽게 내줬다. 암살자나 조이 등에 비해 보다 정통적인 메이지에는 강점이 없는 아베데지지만 이번 시즌 리산드라 2승이었고[* 물론 첫주는 싸다가 바이탈리티 뇌절로 이겼고 2주차 SK전도 업셋 카이사 무쌍이긴 했다.] 오도암네도 한창 딜러챔프로 연승 쌓고 있었는데 이날은 참 허무했다. 탑이나 미드 한 쪽이 말리면 정글서폿이 풀어주면서 캐리하는 경기가 많이 나왔는데, G2전때처럼 원딜이 초반에 죽으니 너무 쉽게 무너진다. === SK 승 : 패 RGE ===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blueteam=SK Gaming, redteam=Rogue, d_blueban1=카서스, p_blueban1=karthus, d_blueban2=사일러스, p_blueban2=sylas, d_blueban3=케넨, p_blueban3=kennen, d_blueban4=이즈리얼, p_blueban4=ezreal, d_blueban5=세주아니, p_blueban5=sejuani, d_redban1=카시오페아, p_redban1=cassiopeia, d_redban2=브라움, p_redban2=braum, d_redban3=알리스타, p_redban3=alistar, d_redban4모르가나=, p_redban4=morgana, d_redban5=리 신, p_redban5=leeSin, d_bluepic1=우르곳, p_bluepic1=urgot, d_bluepic2=그라가스, p_bluepic2=gragas, d_bluepic3=리산드라, p_bluepic3=lissandra, d_bluepic4=루시안, p_bluepic4=lucian, d_bluepic5=파이크, p_bluepic5=pyke, d_redpic1=아트록스, p_redpic1=aatrox, d_redpic2=녹턴, p_redpic2=nocturne, d_redpic3=아칼리, p_redpic3=akali, d_redpic4=애쉬, p_redpic4=ashe, d_redpic5=쓰레쉬, p_redpic5=thresh )] === SPY 승 : 패 MSF ===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blueteam=Splyce, redteam=Misfits Gaming, d_blueban1=드레이븐, p_blueban1=draven, d_blueban2=아칼리, p_blueban2=akali, d_blueban3=바루스, p_blueban3=varus, d_blueban4=올라프, p_blueban4=olaf, d_blueban5=사일러스, p_blueban5=sylas, d_redban1=카시오페아, p_redban1=cassiopeia, d_redban2=루시안, p_redban2=lucian, d_redban3=우르곳, p_redban3=urgot, d_redban4=이즈리얼, p_redban4=ezreal, d_redban5=빅토르, p_redban5=viktor, d_bluepic1=아트록스, p_bluepic1=aatrox, d_bluepic2=카서스, p_bluepic2=karthus, d_bluepic3=신드라, p_bluepic3=syndra, d_bluepic4=진, p_bluepic4=jhin, d_bluepic5=탐 켄치, p_bluepic5=tahmKench, d_redpic1=케넨, p_redpic1=kennen, d_redpic2=자크, p_redpic2=zac, d_redpic3=제이스, p_redpic3=jayce, d_redpic4=카이사, p_redpic4=kaisa, d_redpic5=알리스타, p_redpic5=alistar )] === VIT 승 : 패 XL ===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blueteam=Team Vitality, redteam=exceL eSports, d_blueban1=루시안, p_blueban1=lucian, d_blueban2=모르가나, p_blueban2=morgana, d_blueban3=사일러스, p_blueban3=sylas, d_blueban4=이렐리아, p_blueban4=irelia, d_blueban5=야스오, p_blueban5=yasuo, d_redban1=카시오페아, p_redban1=cassiopeia, d_redban2=드레이븐, p_redban2=draven, d_redban3=쓰레쉬, p_redban3=thresh, d_redban4=알리스타, p_redban4=alistar, d_redban5=르블랑, p_redban5=leblanc, d_bluepic1=우르곳, p_bluepic1=urgot, d_bluepic2=카밀, p_bluepic2=camille, d_bluepic3=라이즈, p_bluepic3=ryze, d_bluepic4=카이사, p_bluepic4=kaisa, d_bluepic5=피들스틱, p_bluepic5=fiddlesticks, d_redpic1=사이온, p_redpic1=sion, d_redpic2=세주아니, p_redpic2=sejuani, d_redpic3=신드라, p_redpic3=syndra, d_redpic4=이즈리얼, p_redpic4=ezreal, d_redpic5=브라움, p_redpic5=braum )] === G2 승 : 패 FNC ===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blueteam=G2 Esports, redteam=Fnatic, d_blueban1=라칸, p_blueban1=rakan, d_blueban2=우르곳, p_blueban2=urgot, d_blueban3=카시오페아, p_blueban3=cassiopeia, d_blueban4=카이사, p_blueban4=kaisa, d_blueban5=케넨, p_blueban5=kennen, d_redban1=아칼리, p_redban1=akali, d_redban2=카서스, p_redban2=karthus, d_redban3=사일러스, p_redban3=sylas, d_redban4=카밀, p_redban4=camille, d_redban5=그라가스, p_redban5=gragas, d_bluepic1=제이스, p_bluepic1=jayce, d_bluepic2=올라프, p_bluepic2=olaf, d_bluepic3=조이, p_bluepic3=zoe, d_bluepic4=루시안, p_bluepic4=lucian, d_bluepic5=브라움, p_bluepic5=braum, d_redpic1=오른, p_redpic1=ornn, d_redpic2=리 신, p_redpic2=leeSin, d_redpic3=리산드라, p_redpic3=lissandra, d_redpic4=징크스, p_redpic4=jinx, d_redpic5=쓰레쉬, p_redpic5=thresh )] 브록사의 리 신이 종횡무진해 팀의 4킬을 홀로 기록하며 눈물겹게 활약했다. 하지만 픽밴부터 지고 들어가서 탑은 브위포가 킬 따줘도 원더에 일방적으로 탈탈탈 털리며 밑천 드러내고 바텀은 레클레스가 퍽즈에 개입없이 킬을 따였다. 당연하지만 얀코스가 반대급부로 갱 몇 번 해주자 전 라인이 터졌다. 캡스의 요즘 매 경기마다 봐서 어째 무덤덤한 슈퍼플레이는 그저 보너스. [[분류:League of Legends European Championship Spring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