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에로게 메이커]][[분류:게임 브랜드]]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연산자, rd1=라플라시안)] [[파일:Laplacian_logo.png]] [[http://laplacian.jp/|공식 사이트]] [[https://twitter.com/laplacian_info|공식 트위터]] [목차] == 개요 == 일본의 --[[에로게|성인용]]--[* 2021년 6월 이후로 성인용은 Laplacian이 아닌 PRINCIPIA에서 담당하게 된다. 아래 상세문단의 #링크 참조.] [[미소녀 게임]]([[비주얼 노벨]]) 제작사. == 상세 == 社명의 유래는 연산자 [[라플라시안]]. 2016년에 데뷔한 회사로 비교적 신생이며, 작품의 발매 주기는 약 1년이다. 회사 이름답게 [[사이언스 픽션|SF]] 장르성을 가진 미소녀 게임을 제작하고 있다. 작품들에 대한 플레이어들의 평가는 [[ErogameScape]]를 기준으로 약 75점 대. 즉 평작에서 양작. 비주얼과 설정, 체험판 분량까지의 전개는 멋지게 짜지만 매번 이후 전개에서 무너지는 모습을 보여주며 평작 이상의 작품을 내지 못하고 있었지만 2020년에 발매한 [[백일몽의 청사진]]이 큰 호평을 받았다. 메인 스태프는 [[오노 와사비]](기획, 시나리오), 上都河希(프로그래밍, 디자인), 霜降(일러스트), ぺれっと(일러스트)이다. 가장 큰 특징은 스태프들의 [[4차원]] 센스. [[뉴턴과 사과나무]]에서부터 작품의 분위기와는 [[https://www.youtube.com/watch?v=64IVZ-rUc_s|한참 동떨어져]] [[https://www.youtube.com/watch?v=3jy-AAnIgj8|좀 이상한]] [[https://www.youtube.com/watch?v=jRboITmSrig|부록 영상물들]]을 제작하곤 했다. [[미래 라디오와 인공 비둘기]]는 게임의 컨셉, 오프닝 곡, 작화의 분위기와 달리 여러모로 정신 나간 캐릭터 소개 문구를 내놓고 있다. 특히 발매 연기를 광고 카피로 쓰는 [[기행]]을 선보이면서[* 이 때 나온다고 했잖아 식이다.] [[트위터]]에서 3만 회 이상 리트윗이 되는 등 화제가 되었다. 또한 체험판 감상회 방송을 예고하면서 "일방적인 비난도 환영하지만 '이 욕은 센스가 있다' 고 느낀 것만 방송해드립니다." 같은 식의 소규모 회사라서 가능한 기행을 보였다. 2021년 6월에 성인을 대상으로 한 컨텐츠 사업의 철수[* 이후 R18 콘텐츠는 Laplacian이 아닌 PRINCIPIA가 담당한다.][[https://twitter.com/laplacian_info/status/1408010666372304896|#]]를 공지했다. 공식 트위터 계정에서 앞으로는 백일몽의 청사진 해외판과 전연령 작품에 집중한다는 트윗을 남겼다. == 작품 == === Laplacian === * [[키미토유메미시]] (2016) * [[뉴턴과 사과나무]] (2017) * [[미래 라디오와 인공 비둘기]] (2018) * [[백일몽의 청사진]] (2020) * nabla[* 아직까진 fanbox에 기획메모만 공개된 정도이다. [[라플라시안|회사 이름]]과 [[나블라|밀접한 관련이 있는 제목]]] === PRINCIPIA === * 人類最強性欲の嫁 (2019) * 人類最強性欲の嫁の実家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