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음이의어, rd1=라피스, other2=작곡가, rd2=lapix)] [목차] == 개요 == ||||||||||<#ff8a00><:>'''< [[BOF]] 역대 개인전 스코어 우승·준우승·3위 곡 >''' || ||<:> 2006[* 2007년은 대회가 열리지 않았다.] || → ||<:> 2008 || → ||<:> 2009 || ||||||||||<:>'''우승''' || ||<:> [[路上のギリジン#s-2|路上のギリジン-Shou+rt Mix-]] || → ||<:> '''Lapis''' || → ||<:> [[DRAGONLADY]] || ||||||||||<:>'''준우승''' || ||<:> [[VIP~飛べない俺はただのクマー~]] || → ||<:> '''[[AVALON]]''' || → ||<:> [[Jack-the-Ripper◆]] || ||||||||||<:>'''3위''' || ||<:> [[私食べごろよ]] || → ||<:> '''[[SAMBISTA]]''' || → ||<:> [[JULIAN]] || ||||||||||<#f0fff0><:>'''< BOF2008 우승팀 >''' || ||||||<:> '''友達なんか要りません''' || ||<:> '''Lapis''' ||<:> [[Pure Ruby]] ||<:> [[CHASER]] || ||<#FFFFAA><:> '''곡명''' ||<:> [[Lapis]] || ||<#FFAAFF><:> '''[[장르]]''' ||<:> '''[[트랜스(음악)|TRANCE]]''' || ||<#AAFFAA><:> '''[[BPM]]''' ||<:> '''146''' || ||<#FFAAAA><:> '''[[작곡가]]''' ||<:> '''[[SHIKI]]''' || ||<#AAFFFF><:> '''[[BGA]]''' ||<:> [[TOHRU MiTSUHASHi|KANON]] || ||<#AAAAFF><:> '''BGA 형식''' ||<:> '''BMP-BGA''' || ||<#AAAAAA><:> '''Extended''' ||<:> '''Trancer's Doll[br]Cristierra''' (4:36)[br]'''[[https://soundcloud.com/shiki-8/lapisversoundcloud?si=7390c5b1a37f4e519d0ce4309ae99bcd&utm_source=clipboard&utm_medium=text&utm_campaign=social_sharing|SoundCloud]]'''(4:32) || [youtube(rJAYBjA9ixk)] > '''언제나 퀄리티가 굉장하다고 생각했지만, 반면에 언제나 전개가 그대로구나도 생각하고 말았습니다.''' 그래도 이 곡이 멋진 것은 변함이 없네요. - 임프레 중[* SHIKI의 장점과 단점을 동시에 보여주는 평가로, 이 때는 장점이 두드러 졌지만 그 후로는 단점이 더 두드러지게 된다.] BMS 제작자 [[SHIKI]]가 작곡한 [[BOF|BOF2008]]의 '''우승'''곡이다. 사실 곡 자체는 2007년에 만들어진 곡으로, 위의 Extended에 언급되어 있는 Trancer's Doll라는 앨범에 수록된 곡이다. [[로젠 메이든]]의 [[소우세이세키]]를 모티브로 한 곡이다. 이 대회에서 SHIKI는 1인팀 友達なんか要りません(친구 따윈 필요 없습니다(...))로 참가했는데, 3곡[* 이 외 2곡은 [[Pure Ruby]], [[CHASER]]였다. 이 중 Pure Ruby 역시 Trancer's Doll에 수록된 곡이다.] 모두 많은 임프레를 기록하며 1인팀 우승을 이뤄낸다.[* 3곡의 순위는 Lapis, Pure Ruby, CHASER 순서로 1위, 5위, 13위였다. 그 다음 1인팀 우승은 [[BOF|BOF2011]]의 [[削除]]와 BOFU2016의 [[LeaF]]가 해낸다.] 평균에서는 밀렸지만 총점에서 근소하게 앞서며 [[AVALON]]으로 출전한 [[sasakure.UK]]의 [[홍진호|'''2'''년 연속 '''2'''위]] 달성에 큰 공헌을 한다. [[xi|7년뒤 2연콩 역시 계승자가...]] 곡은 초반부터 상당히 강렬하게 시작하는 트랜스 곡이지만 바이올린 선율 자체는 상당히 애잔하다. 후에 어쨌거나 매너리즘으로 많은 비판을 받게 되는 SHIKI가 본인의 트랜스를 완성시키는 곡이라고 평가되고 있다. 물론 곡 자체는 모호한 성격이 부분부분 나타나기 때문에 바이올린 소리가 거슬린다던지, 중간 중간의 인상적인 피아노 음이 좋았다던지 하는 호불호가 갈리는 평가도 존재한다. 또한 작곡가 본인도 곡 구성이 [[SEPIA]]와 별로 다를게 없다면서 한탄하기도 했다. BGA 역시 당시에는 쉽게 접하기 힘든 고퀄리티를 자랑하면서 잘 다듬어진 패턴과 함께 우승에 일조를 했다. BGA 제작자였던 KANON은 내년 곡인 [[DRAGONLADY]]에서도 Cube3라는 명의로 BGA를 제작해 우승을 이끌어냈다.[* 후에 KANON과 Cube3 둘 다 [[TOHRU MiTSUHASHi]]였음이 밝혀졌다.] SHIKI가 참가한 BOF 대회 곡 중에서 중앙값 순위가 가장 높은 곡이기도 하다. 정확히는 중앙값은 공동 4위이나 중앙값이 동점일 시, 평균값으로 우선하는 법칙에 따라 6위로 내려갔다. 참고로 4위는 [[ニライカナイ#s-2|ニライカナイ]](니라이카나이)[* tigerlily의 곡이다. 항목을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같은 제목의 곡이 3개나 있다.], 5위는 [[エピトゥリカの祀]](에피투리카의 제사) 이다. 이 때는 평균이 그렇게 높지 않은 시대였고, 2009년 이후의 곡들과는 달리 정형화 되지 않아서 괜찮은 평가를 받았다고 할 수 있다. 여담으로, 대회 페이지에는 88 임프레션에 6735점이라고 되어 있지만, 대회 결과 페이지에는 87 임프레션에 6685점이라고 되어 있다. 50점짜리 1L-임프레션 하나[* 1L-임프레션과 롱 임프레션이 점수 배점이 다른 유일한 대회였다.]가 빠져 있는데, 이유는 불명이다. === 대회 결과 === 대회 : '''[[BOF|BMS OF FIGHTERS 2008 - Resurrection -]]''' (2008) 총점 : '''6685''' (87 임프레션) 중앙값 : 98.00 / 100.00 평점 : 91.40 / 100.00 개인전 스코어 순위 : '''1위''' 개인전 중앙값 순위 : 6위 === 코멘트 === > こんにちは。SHIKIと申します。 > > BOF2004優勝チームのリーダーにしてチームの足を引っ張った > 借りを返すべく4年越しの悲願を掛けて3作品がんばりました。 > > 結構自分らしい曲が作れたと思います。 > 美しいBGAと共にお楽しみください。 > ---- > 안녕하세요. SHIKI라고 합니다. > > BOF2004 우승팀의 리더로 팀의 발목을 잡았으며 > 빚을 갚기 위해 4년 넘는 비원을 걸고 3 작품 노력했습니다. > > 상당히 자신만의 음악을 만들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 아름다운 BGA와 함께 즐길 수 있습니다. == 차분 == |||||||||||||| [[발광 BMS]] 난이도 체계 || || 차분명 || 발광 난이도 || 노트 수 || 판정 || 차분 제작자 || 참고 || || Another+ || ★2 || 1725 || {{{#orange NORMAL}}} || air || || || FRIDAY || ★9 || 2001 || {{{#green EASY}}} || JEYSON || || || A⇒Side [Maniac7] || ▼14 || 2178 || {{{#orange NORMAL}}} || siokaze || 제2발광 || || [[Arcaea/수록곡#s-3.2|World Extend]] || sl10 || 2244 || {{{#green EASY}}} || nozomi || Satellite || || ATLATIA || ◆9 || 1400 || {{{#orange NORMAL}}} || vese || LN || || LN Exclusive || ◆◆3 || 1500 || {{{#orange NORMAL}}} || exclusion || LN || || A⇒Side [kuso14A] || ★7 || 2186 || {{{#green EASY}}} || *[[Hu∑eR|8284]]* || DP || || BLUE CORE || ★10 || 1845 || {{{#orange NORMAL}}} || Mr.egg || DP || [youtube(UPlA8hzJk6s)] ★2 [Another+] 전형적인 지력계열이며 노멀 판정도 있어서 판정까지 연습하기 딱 좋은 구성이다. air의 차분을 입문하려고 한다면 이곡으로 꼭 입문 하자. [youtube(aco-GqOQ2so)] ★9 [FRIDAY] Another+를 강화한것으로 엇박 스크래치와 한곳으로 몰아친 배치가 특징이다. 이로 인해 Another+와 다르게 연습용으로는 부적절하는 평이 있다. [youtube(KO4-ev2Wr5g)] ▼14 A⇒Side [Maniac7] 기존의 다른 Lapis 지력계 차분과 다르게 곡이 어레인지 되어있는 것이 특징이다. 초반에는 발광급에 못미치지만 중반부부터 시작해서 후반부에는 트릴과 유사한 배치로 깎아먹는 식으로 나간다. [youtube(Z-ZgiXAePo0)] sl10 [World Extend] 초반에 푸른 벽부터 시작해서 끊어치기 겸 축 위주로 나오며 끊어치기 도중에 32비트가 섞인배치도 간간히 나와 판정 파기 어렵게 만든다. == [[CHUNITHM]] == [youtube(ZBD3gbkpxHQ)] Master 난이도 All Justice 영상. 2016년 6월 23일자로 [[CHUNITHM PLUS]]에 수록되었다. == [[Arcaea]] == [include(틀:Arcaea/채보/빛, 곡명=Lapis, 영명=, 작곡링크=SHIKI, 작곡표기=SHIKI, BPM=146, 단독제작=CERiNG, PST레벨=2, PRS레벨=6, FTR레벨=9, PST세부레벨=2.0, PRS세부레벨=6.0, FTR세부레벨=9.4, PST노트=391, PRS노트=520, FTR노트=920, 월드=, 배경=Binary Enfold, 확장자=)] [include(틀:Arcaea/Extend Archive)] [include(틀:Arcaea/Nintendo Switch/Arcaea)] ---- 모바일에서는 2020년 10월 30일 수록되었으며, 스위치에서는 2021년 9월 16일에 수록되었다. [* 9월 16일에 패치된 곡 중에서는 이곡이 제일 오래되었다.] === 채보 === ==== Past ==== ==== Present ==== ==== Future ==== [youtube(MytUQGkYrzE)] '''MAX SCORE (이론치)''' 영상. 플레이어는 [[ヒグルース]]. 원핸드 스카이 도약이 주가 되는 패턴이다. 그 외에는 9렙 중간 정도 되는 무난한 9렙이다. == [[KALPA]] == === 원곡 === === Lapis (Ice Respect Remix) === [[분류:BOF/수록곡]][[분류:CHUNITHM의 수록곡]][[분류:Arcaea의 수록곡]] 리믹서는 [[Ice(작곡가)|Ice]], 기타 피쳐링으로 [[Godspeed|Mashiro 'Godspeed' Aoki]]가 참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