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LG X 시리즈)] ||<-2> [br] {{{+5 {{{#a50034,#fb5093 '''LG X500'''}}}}}} [br] {{{-3 {{{#a50034,#fb5093 '''LGM-X320''' }}}}}} [br] [br] || ||<-2> [[파일:LX500.png|width=100%]] || || {{{#4682b4 '''네이비'''}}} || {{{#756d5c,#a39b8a '''골드'''}}} || ||<-2> [[http://www.lge.co.kr/lgekor/product/mobile/smart-phone/productDetail.do?cateId=0213&prdId=EPRD.313125|{{{#ffffff 한국 LG전자 X500 공식 사이트}}}]] || [목차] == 개요 == [[LG전자]]가 '''X Power 2'''라는 정식 발매명으로 2017년 2월에 공개한 [[안드로이드(운영체제)|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이다. 한국에는 2017년 6월 9일에 '''X500'''으로 정식 발매명을 변경해 [[SK텔레콤]], [[KT]], [[LG U+]]를 통해 출시되었다. == 사양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SoC|프로세서]]||[[MediaTek]] MT6750 [[SoC]].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구성 내용 확인 ] || [[CPU]] ||[[ARM Cortex-A53]] MP8 1.5 GHz [[CPU]] || || [[GPU]] ||[[ARM Mali]]-T860 MP2 520 MHz [[GPU]] || || NPU & DSP ||미탑재 || || Sensor Hub ||미탑재 || || 통신 모뎀 ||(파트넘버 불명) 내장 || }}}}}}|| ||[[메모리]]||2 GB LPDDR3 SDRAM, 32 GB [[eMMC]] 5.1 규격 내장 메모리, [[Secure Digital|micro SDXC]] (2 TB 공식 지원)|| ||[[디스플레이|디스[br]플레이]]||5.5인치 16:9 비율 [[해상도/목록|HD]](1280 x 720) IPS TFT-LCD (-- ppi){{{#!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세부 정보 확인 ] || 공급사 || || || 픽셀배열 ||RGB 서브픽셀 방식 || || 패널정보 ||IPS TFT-LCD || || 부가정보 ||DINOREX T2X-1 강화 유리[* NEG의 [[http://www.neg.co.jp/glass_en/02.html|강화 유리 브랜드]]로 후면 카메라 모듈 커버에도 동일하게 적용되었다고 한다.] || }}}}}}[br]멀티터치 지원 정전식 In-cell [[터치 스크린]]|| ||[[네트워크]]||{{{#!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4G Network ] [[LTE]] Cat.4 FDD[br][[VoLTE]] 지원}}}}}}{{{#!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3G Network ] [[4G|HSPA+]] 42Mbps, [[WCDMA|HSDPA & HSUPA & UMTS]][br]Wideband Audio 및 음성 통신 지원}}}}}}{{{#!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2G Network ] [[GSM|GSM & EDGE]][br]음성 통신 지원}}}}}}|| ||근접통신||[[Wi-Fi]] 1/3/4, [[블루투스]] 4.2, [[NFC]]|| ||위성항법||[[GPS|GPS & A-GPS]], [[GLONASS]]|| ||[[카메라]]||전면 500만 화소 [[LED]] [[플래시(카메라)|플래시]], 후면 1,300만 화소 [[AF]] 및 [[LED]] [[플래시(카메라)|플래시]]|| ||[[배터리]]||내장형 Li-Ion 4500 mAh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충전 기술 정보 ] || 유선고속충전 ||[[미디어텍]] Pump Express+ (- W) || }}}}}}|| ||[[운영체제]]||[[안드로이드(운영체제)|안드로이드]] [[안드로이드 누가|7.0 (Nougat)]] → [[안드로이드 오레오|8.1 (Oreo)]][br][[LG UX]] 5.0+ → 6.0+|| ||규격||78.1 x 154.7 x 8.4 mm, 164 g|| ||색상[* 한국 출시 당시 기본 색상에 볼드 처리]||'''네이비''', '''골드'''|| ||단자정보||USB 2.0 micro Type-B x 1, 3.5 mm 단자 x 1|| ||생체인식||미지원|| ||기타||[[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대한민국/지상파|지상파 HD DMB]] 및 고화질 스마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지원|| ||<-2> '''한국 내수용 모델인 LGM-X320S/K/L 이외 지역 하드웨어 사양'''{{{#!wiki style="margin: 0 -12px; border-right: 2px solid transparent; border-left: 2px solid transparent" {{{#181818,#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SoC|프로세서]] ||<-2>[[MediaTek]] MT6750 [[SoC]].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구성 내용 확인 ] || [[CPU]] ||[[ARM Cortex-A53]] MP8 1.5 GHz [[CPU]] || || [[GPU]] ||[[ARM Mali]]-T860 MP2 520 MHz [[GPU]] || || NPU & DSP ||미탑재 || || Sensor Hub ||미탑재 || || 통신 모뎀 ||(파트넘버 불명) 내장 || }}}}}} || ||<|2>[[메모리]] ||1.5 GB LPDDR3 SDRAM, 16 GB [[eMMC]] 5.1 규격 내장 메모리 ||<|2>[[Secure Digital|micro SDXC]] (2 TB 공식 지원) || ||2 GB LPDDR3 SDRAM, 32 GB [[eMMC]] -.- 규격 내장 메모리 || ||[[디스플레이|디스[br]플레이]] ||<-2>5.5인치 16:9 비율 [[해상도/목록|HD]](1280 x 720) IPS TFT-LCD (-- ppi){{{#!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세부 정보 확인 ] || 공급사 || || || 픽셀배열 ||RGB 서브픽셀 방식 || || 패널정보 ||IPS TFT-LCD || || 부가정보 || || }}}}}}[br]멀티터치 지원 정전식 In-cell [[터치 스크린]] || ||[[네트워크]] ||<-2>{{{#!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4G Network ] || '''기본지원''' || [[LTE]] Cat.4 FDD[br][[VoLTE]] 지원 || || '''{{{#ffff00 선택지원}}}''' || 없음 ||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3G Network ] || '''기본지원''' || [[4G|HSPA+]] 42Mbps, [[WCDMA|HSDPA & HSUPA & UMTS]][br]Wideband Audio 및 음성 통신 지원 || || '''{{{#ffff00 선택지원}}}''' || 없음 ||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2G Network ] || '''기본지원''' || [[GSM|GSM & EDGE]][br]음성 통신 지원 || || '''{{{#ffff00 선택지원}}}''' || 없음 || }}}}}} || ||근접통신 ||<-2>[[Wi-Fi]] 1/3/4, [[블루투스]] 4.2, [[NFC]] || ||위성항법 ||<-2>[[GPS|GPS & A-GPS]], [[GLONASS]] || ||[[카메라]] ||<-2>전면 500만 화소 [[LED]] [[플래시(카메라)|플래시]], 후면 1,300만 화소 [[AF]] 및 [[LED]] [[플래시(카메라)|플래시]] || ||[[배터리]] ||<-2>내장형 Li-Ion 4500 mAh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충전 기술 정보 ] || 유선고속충전 ||[[미디어텍]] Pump Express+ (- W) || }}}}}} || ||[[운영체제]] ||<-2>[[안드로이드(운영체제)|안드로이드]] [[안드로이드 누가|7.0 (Nougat)]] → [[안드로이드 오레오|8.1 (Oreo)]][br][[LG UX]] 5.0+ → 6.0+ || ||규격 ||<-2>78.1 x 154.7 x 8.4 mm, 164 g || ||색상[* 제품 공개 당시 같이 공개된 기본 색상에 볼드 처리] ||<-2>'''블랙 티탄''', '''샤이니 티탄''', '''샤이니 골드''', '''샤이니 블루''' || ||단자정보 ||<-2>USB 2.0 micro Type-B x 1, 3.5 mm 단자 x 1 || ||생체인식 ||<-2>미지원 || ||기타 ||<-2>[[FM#s-2]] [[라디오]] 지원 || }}}}}}}}} || }}} == 상세 == X 시리즈의 2017년 타깃 스마트폰이자 대용량 배터리를 탑재 및 이를 강조한 [[스마트폰]]이었던 [[LG X Power|X Power]]의 정식 후속작이다. 전반적인 디자인은 기존 X 시리즈 [[스마트폰]] 및 전작인 [[LG X Power|X Power]]와 패밀리 룩을 이루고 있으나, 각져 있던 각 모서리의 곡률이 조금 완화되어 둥글둥글해졌다. 기본 색상은 블랙 티탄, 샤이니 티탄, 샤이니 골드, 샤이니 블루로 총 4종이다. 사양은 우선 AP로 [[미디어텍]] MT6750을 사용한다. [[ARM Cortex-A53]] 옥타코어 [[CPU]]와 [[ARM Mali]]-T860 듀얼코어 [[GPU]]를 사용한다. RAM은 LPDDR3 SDRAM 방식이며 1.5 GB와 2 GB로 이원화 되었다. [[eMMC]] 5.1 규격의 낸드 플래시를 사용하며 내장 메모리는 16 GB와 32 GB로 이원화 되었다. 또한, micro SD 카드로 용량 확장이 가능하다. 디스플레이는 5.5인치 HD 720p 해상도를 지원하며 패널 형식은 IPS TFT-LCD이다. 지원 [[LTE]] 레벨은 Cat.4로 다운로드 최대 150 Mbps, 업로드 최대 50 Mbps를 보장한다. 근접통신으로 Wi-Fi는 802.11b/g/n을 2.4 GHz 주파수에서 지원하나 802.11n의 경우 5 GHz 주파수는 지원하지 않는다. 배터리 용량은 내장형 4,500 mAh이다. 이는 전작인 [[LG X Power|X Power]]와 동일하게 내장형 배터리 구조를 적용한 것이다. 또한, [[미디어텍]] Pump Express+ 규격의 고속충전 기술을 지원한다. 후면 [[카메라]]는 1,300만 화소 [[카메라]]를 탑재했다. 전면 [[카메라]]는 500만 화소 [[카메라]]를 탑재했다. 특히, 셀피 촬영 강화를 위해 전면에도 [[LED]] [[플래시(카메라)|플래시]]를 탑재했다. 단자 규격은 일명 '5핀 단자'라 지칭되는 [[USB]] micro Type-B를 입출력 단자로 사용하며 전송 규격으로 최대 [[USB 2.0]]까지 지원한다. 그리고 사운드 출력을 위한 3.5 mm 단자가 탑재되었다. 기기 공개 당시 [[안드로이드 누가|안드로이드 7.0 누가]]를 기본으로 탑재했다. 구체적인 운영체제 버전은 7.0.0이다. == 출시 == === 한국 시장 === 2017년 5월 15일, [[http://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serial=1025135&g_menu=020800&rrf=nv|한국 시장에 출시될 것]]이라는 뉴스가 나왔다. 또한, 정식 발매명이 'X500'으로 변경될 것이라고 한다. 2017년 6월 4일, [[http://social.lge.co.kr/newsroom/lg_x500_0604/|한국 출시가 정식으로 발표]]되었다. [[SK텔레콤]], [[KT]], [[LG U+]]를 통해 2 GB RAM 및 32 GB 내장 메모리 탑재 모델로 출시되며 출고가는 319,000 원으로 책정되었다. 특이 사항으로, 출시 색상이 네이비, 골드[* 기본 색상인 샤이니 골드 색상과 동일한 것인지 아니면 별개의 것인지는 알려지지 않았다.]로 기기 공개 당시의 기본 색상과는 상이하다. 그런데, 정식 발매명이 'X500'으로 변경되었다. 이미 [[LG K 시리즈|K 시리즈]] 소속 [[스마트폰]]을 한국 시장에서 [[LG X 시리즈|X 시리즈]]로 이관해 출시하기 위한 [[http://www.edaily.co.kr/news/newspath.asp?newsid=02033606615798704|브랜드 통합 정책]]이 진행 중이긴 했으나, 애당초 태생이 [[LG X 시리즈|X 시리즈]] 소속 [[스마트폰]] 임에도 모종의 이유[* 이미 2017년에 [[LG X300|X300]]과 [[LG X400|X400]]이 출시되었기 때문에 정식 발매명을 통일하기 위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런데, 브랜드 통합 정책을 시행한다 밝히면서 기존 라인업은 그대로 유지한다고 했었기 때문에 구체적인 이유는 확인되지 않았다.]로 인해 정식 발매명이 변경되었다. 동급 기준 최대 배터리 용량인 4,500 mAh와 고속충전 기술 탑재, 5.5인치의 대화면 디스플레이와 전면 광각 카메라 등을 앞세워서 한국 시장에는 아웃도어 타겟 스마트폰으로 홍보하고 있다. 다만, 방수 방진 및 내구도 강화 인증 등 실질적인 아웃도어 및 러기드 기능을 위한 설계가 이루어지지는 않았기에 완전한 아웃도어 타겟 스마트폰으로 사용하는 것은 어려운 편이다. === 한국 시장 이외 === [[LG전자]]가 진출한 국가 및 지역에 적절하게 출시되었다. == 소프트웨어 지원 == === 제조사 공식 === ==== [[안드로이드 누가|7.0 / 7.1 누가]] 마이너 업데이트 ==== 2017년 6월 22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LGM-X320S/K/L의 안드로이드 7.0 누가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7.0.0이며 빌드 버전은 v10e이다. 2017년 7월 17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LGM-X320S/K/L의 안드로이드 7.0 누가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7.0.0이며 빌드 버전은 v10f이다. 2017년 10월 경, 한국 내수용 모델인 LGM-X320S/K/L의 안드로이드 7.0 누가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7.0.0이며 빌드 버전은 v10m이다. 2018년 3월 13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LGM-X320S/K/L의 안드로이드 7.0 누가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7.0.0이며 빌드 버전은 v10p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8년 2월 1일이다. 2018년 8월 14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LGM-X320S/K/L 기준, 안드로이드 8.1 오레오 업그레이드가 예정되어 있기는 하지만 약 5개월 동안 펌웨어 업데이트가 단 한 차례도 진행되지 않았다. 이후 동년 10월 16일, 안드로이드 8.1 오레오 업그레이드가 실시되면서 펌웨어 업데이트가 재개되었다. ==== [[안드로이드 오레오|8.0 / 8.1 오레오]] ==== [[구글]]의 안드로이드 엔터프라이즈에 글로벌 모델인 LG-M320F의 안드로이드 8.1 오레오 안내 이미지가 추가되었다. 이로 인해 안드로이드 8.1 오레오 업그레이드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한국 내수용 모델인 LGM-X320S/K/L도 안드로이드 8.1 오레오 업그레이드가 실시되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2018년 8월 초 경, 글로벌 싱글심 모델인 LG-M320N의 안드로이드 8.1 오레오 소스 코드가 공개된 것이 확인되었다. 이 때문에 안드로이드 엔터프라이즈에 추가된 것과 더불어서 글로벌 싱글심 모델인 LG-M320N의 안드로이드 8.1 오레오 업그레이드가 사실상 확정된 것으로 보인다. 2018년 8월 1일, [[LG전자]]가 공식 사이트를 통해 [[http://www.lge.co.kr/lgekor/contents/mobile/swUpgradeDetail.do?swSeq=47|안드로이드 8.0 오레오 업그레이드 대상 기기 목록]]을 공개하면서 2018년 하반기 중에 실시됨을 예고했다. 2018년 8월 17일, 글로벌 싱글심 모델인 LG-M320N의 안드로이드 8.1 오레오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최초 운영체제 버전은 8.1.0이며 빌드 버전은 M32020A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8년 7월 1일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LG UX]] 6.0+로 업데이트 되었고 소프트 키에 숨김 버튼이 추가되었다. OTA를 통한 무선 업그레이드와 LG Bridge를 통한 유선 업그레이드 모두 지원한다. 프랑스부터 실시되었다. 2018년 8월 30일, [[LG전자]]가 공식 사이트를 통해 [[https://www.lge.co.kr/lgekor/contents/mobile/swUpgradeDetail.do?swSeq=181|2018년 3분기 OS 업그레이드 목록을 게시]]하면서 한국 내수용 모델인 LGM-X320S/K/L의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업그레이드를 동년 9월 중에 실시될 것을 예고했다. 그러나 동년 9월 30일 기준, 한국 내수용 모델인 LGM-X320S/K/L의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업그레이드는 실시되지 않아서 사실상 9월 중 실시는 지켜지지 않았다. 2018년 9월 14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LGM-X320S/K/L의 안드로이드 8.1 오레오의 [[http://opensource.lge.com/osSch/list?types=ALL&search=LGMX320|소스 코드]]가 공개되었다. 2018년 10월 1일, [[LG전자]]가 공식 블로그를 통해 [[https://social.lge.co.kr/newsroom/lg_smartphone_sw_1001/|2018년 4분기 OS 업그레이드 계획을 게시]]하면서 한국 내수용 모델인 LGM-X320S/K/L의 안드로이드 8.1 오레오 업그레이드를 동년 10월 중에 실시할 것을 예고했다. 2018년 10월 16일, 한국 내수용 중 [[KT]] 모델인 LGM-X320K의 안드로이드 8.1 오레오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최초 운영체제 버전은 8.1.0이며 빌드 버전은 v20a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8년 9월 1일이다. 해당 업그레이드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LG UX]] 6.0+로 업데이트 되었다. 이후 동년 10월 17일, 한국 내수용 중 [[SK텔레콤]] 모델인 LGM-X320S의 안드로이드 8.1 오레오 업그레이드가 동일한 내용으로 실시되고 동년 10월 25일, 한국 내수용 중 [[LG U+]] 모델인 LGM-X320L의 안드로이드 8.1 오레오 업그레이드가 동일한 내용으로 실시되었다. 2019년 1월 16일, 캐나다 내수용 모델인 LG-M320G의 안드로이드 8.1 오레오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8.1.0이며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8년 12월 1일이다. 2019년 3월 13일, 한국 내수용 중 [[LG U+]] 모델인 LGM-X320L의 안드로이드 8.1 오레오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8.1.0이며 빌드 버전은 v20e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9년 2월 1일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GPS]]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서 [[미디어텍]] 칩셋의 오류 문제가 개선되었다. 이후 동년 3월 18일, 한국 내수용 중 [[SK텔레콤]] 모델인 LGM-X320S의 안드로이드 8.1 오레오 마이너 업데이트가 동일한 내용으로 실시되었고 동년 3월 20일, 한국 내수용 중 [[KT]] 모델인 LGM-X320K의 안드로이드 8.1 오레오 마이너 업데이트가 동일한 내용으로 실시되었다. 2019년 7월 4일, 캐나다 내수용 모델인 LG-M320G의 안드로이드 8.1 오레오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8.1.0이며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9년 6월 1일이다. == 논란 및 문제점 == * [[LG K10|K10]] 등 [[LG전자]]의 중급형 및 보급형 [[스마트폰]]과 유사하게 디스플레이 밝기가 어두운 편이라고 한다. 밝기를 100%로 설정해 놓아도 여름철 맑은 날 낮 시간대에서 디스플레이를 볼 때 시인성이 좋지 않다고 한다. 다만, 유별나게 좋지 않은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일반적인 사용에서는 지장이 없고 의식조차 못한 채 사용할 수도 있다고 한다. * 기기마다 편차가 존재할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일명 '설탕 액정' 현상이 발생한다고 한다. 디스플레이 패널의 내구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강화 유리는 멀쩡해도 그 안에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파손될 수도 있다고 한다. * 고속충전 기술을 사용하는 것보다 일반 유선 충전을 할 때 더욱 배터리가 빨리 닳는다고 한다. * 디스플레이의 저온 잔상 현상이 타 기기들보다 심하다고 한다. 재로딩을할 때 나오는 .gif 파일에 잔상이 약 0.1초씩 생긴다고 한다. * 64-bit를 지원하는 [[ARM Cortex-A53]]을 [[CPU]]로 탑재한 [[미디어텍]] MT6750을 모바일 AP로 탑재했음에도 운영체제가 32-bit로 작동하고 있다고 한다. 이는 안드로이드 8.1 오레오 업그레이드 이후에도 동일하다고 한다. == 기타 == * 고속충전 기술을 이용해 완전 충전까지 약 2시간 40분이 걸린다고 [[LG전자]]가 밝히고 있으나, 실제로 완전 충전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약 1시간 40분 정도라고 한다. 이 때문에 [[LG전자]]가 공식 사이트에 오타를 남긴 것이 아니냐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여담으로, 번들 충전기는 [[미디어텍]]과 아무런 연관이 없는 [[LG V30|V30]][* [[LG V30|V30]]은 [[퀄컴 스냅드래곤 8]]35 MSM8998을 모바일 AP로 탑재해 퀄컴 퀵 차지 3.0 규격 및 그 이하 규격의 퀄퀌 퀵 차지 고속충전 기술을 지원한다.]과 동일한 것이라고 한다. 이는 해당 번들 충전기가 퀄컴 퀵 차지 3.0 규격과 [[미디어텍]] Pump Express+ 규격을 전부 지원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다만, 한국 시장에서는 [[미디어텍]] Pump Express+ 규격의 고속충전 기술을 지원하는 [[스마트폰]]이 사실상 [[LG전자]]의 [[스마트폰]] 이외에는 드물기 때문에 [[미디어텍]] Pump Express+ 규격을 지원하는 서드파티 고속충전기 역시 구하기 어렵다. 따라서 잃어버렸다거나 여분이 필요하는 등 고속충전기를 구매해야할 경우 그냥 [[LG전자]] 공식 채널을 통해 구매가는 조금 높더라도 번들 충전기를 구매하는게 편하다. * 4,500 mAh의 배터리 용량답게 배터리 타임이 매우 길다. 화면 밝기와 음성 크기 100% 상태에서 Wi-Fi로 연결해서 유튜브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동영상 재생을 진행한 다음 약 12시간 이후에 배터리 잔량이 6%만 남은 [[https://youtu.be/LQZqG-9-_Ps|사설 테스트]]도 존재한다. * 내장형 배터리 구조를 적용했기 때문에, [[SIM]] 카드 슬롯과 micro SD 카드 슬롯이 기기 측면에 존재한다. 따라서, 기기 박스 패키지에 포함되는 핀[* 동그란 손잡이가 달린 핀이다.]을 사용해서 빼내야 한다. * [[LG X400|X400]]과 달리 지문인식 센서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지문인식]] 센서가 전원 버튼과 통합되어 후면 카메라 하단에 탑재된 [[LG X400|X400]]과 달리 전원 버튼이 측면에 위치하고 있다. * 기기 두께와 무게를 제외하면 기기 크기 자체는 [[LG X5(2018)|X5]]와 동일하기 때문에 케이스 액세서리가 서로 호환된다고 한다. [각주]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LG X 시리즈, version=228, paragraph=2.2.1)] [[분류:LG X 시리즈]][[분류:스마트 디바이스/2017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