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LG전자가 2016년에 출시한 동명의 스마트폰, rd1=LG X5)] [include(틀:LG X 시리즈)] || [br] {{{+5 {{{#a50034,#fb5093 '''LG X5'''}}}}}} [br] {{{-3 {{{#a50034,#fb5093 '''LM-X510''' }}}}}} [br] [br] || || [[파일:LM_X510_Blue_LGkr.jpg|width=100%]] || || [[http://www.lge.co.kr/lgekor/product/mobile/smart-phone/productDetail.do?cateId=0210&prdId=EPRD.323049|{{{#ffffff 한국 LG전자 X5 공식 사이트}}}]][* 현재 한국 [[LG전자]] 공식 사이트에서 내려간 상태다. 그리고 [[LG전자]] 베스트샵에서 문의해본 결과 현재 단종되었다고 한다. 단종 이후 2021년 7월 31일, LG전자의 휴대전화 사업이 공식적으로 종료되어서 공식 사이트 자체가 사라졌다.] || [목차] == 개요 == [[LG전자]]가 2018년 6월에 공개한 [[안드로이드(운영체제)|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이다. == 사양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SoC|프로세서]]||[[MediaTek]] MT6750 [[SoC]].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구성 내용 확인 ] || [[CPU]] ||[[ARM Cortex-A53]] MP8 1.5 GHz [[CPU]] || || [[GPU]] ||[[ARM Mali]]-T860 MP2 520 MHz [[GPU]] || || NPU & DSP ||미탑재 || || Sensor Hub ||미탑재 || || 통신 모뎀 ||(파트넘버 불명) 내장 ||}}}}}}|| ||[[메모리]]||2 GB LPDDR3 SDRAM, 32 GB [[eMMC]] 5.1 규격 내장 메모리, [[Secure Digital|micro SDXC]] (2 TB 공식 지원)|| ||[[디스플레이|디스[br]플레이]]||5.5인치 16:9 비율 [[해상도/목록|HD]](1280 x 720) IPS TFT-LCD (-- ppi){{{#!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세부 정보 확인 ] || 공급사 || || || 픽셀배열 ||RGB 서브픽셀 방식 || || 패널정보 ||IPS TFT-LCD || || 부가정보 ||최대 주사율 60 Hz ||}}}}}}[br]멀티터치 지원 정전식 In-cell [[터치 스크린]]|| ||[[네트워크]]||{{{#!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4G Network ] [[LTE]] Cat.4 FDD[br][[VoLTE]] 지원}}}}}}{{{#!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3G Network ] [[4G|HSPA+]] 42Mbps, [[WCDMA|HSDPA & HSUPA & UMTS]][br]Wideband Audio 및 음성 통신 지원}}}}}}{{{#!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2G Network ] [[GSM|GSM & EDGE]][br]음성 통신 지원}}}}}}|| ||근접통신||[[Wi-Fi]] 1/2/3/4/5, [[블루투스]] 4.2, [[NFC]], [[LG 페이|WMC]]|| ||위성항법||[[GPS|GPS & A-GPS]], [[GLONASS]]|| ||[[카메라]]||전면 500만 화소 [[LED]] [[플래시(카메라)|플래시]], 후면 1,300만 화소 [[AF]] 및 [[LED]] [[플래시(카메라)|플래시]]|| ||[[배터리]]||내장형 Li-Ion 4500 mAh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충전 기술 정보 ] || 유선고속충전 ||[[미디어텍]] Pump Express+ (- W) ||}}}}}}|| ||[[운영체제]]||[[안드로이드(운영체제)/버전|안드로이드]] 8.0 (Oreo) → 9 (Pie)[br][[LG UX]] 6.0+ → 8.0|| ||규격||78.1 x 154.7 x 8.9 mm, 171 g|| ||색상[* 한국 출시 당시 기본 색상에 볼드 처리]||'''모로칸 블루''', 라벤더 바이올렛|| ||단자정보||USB 2.0 micro Type-B x 1, 3.5 mm 단자 x 1|| ||생체인식||[[지문인식]] - 에어리어 방식 별도 센서 탑재|| ||기타||DTS:X 음향 기술 탑재, 지상파 HD [[DMB]] 및 고화질 스마트 [[DMB]] 지원, [[FM#s-2]] [[라디오]] 지원|| ||<-2> '''한국 내수용 모델인 LM-X510S/K/L 이외 지역 하드웨어 사양'''{{{#!wiki style="margin: 0 -12px; border-right: 2px solid transparent; border-left: 2px solid transparent" {{{#181818,#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SoC|프로세서]] ||[[퀄컴 스냅드래곤 4]]25 MSM8917 [[SoC]].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구성 내용 확인 ] || [[CPU]] ||[[ARM Cortex-A53]] MP4 1.4 GHz [[CPU]] || || [[GPU]] ||[[퀄컴 Adreno]] 308 [[GPU]] || || NPU & DSP ||[[퀄컴]] Hexagon 536 DSP || || Sensor Hub ||DSP 대체 || || 통신 모뎀 ||[[Qualcomm Snapdragon X6 LTE Modem]] ||}}}}}} || ||[[메모리]] ||2 GB LPDDR3 SDRAM, 16 GB [[eMMC]] 5.1 규격 내장 메모리, [[Secure Digital|micro SDXC]] (2 TB 공식 지원) || ||[[디스플레이|디스[br]플레이]] ||5.5인치 16:9 비율 [[해상도/목록|HD]](1280 x 720) IPS TFT-LCD (-- ppi){{{#!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세부 정보 확인 ] || 공급사 || || || 픽셀배열 ||RGB 서브픽셀 방식 || || 패널정보 ||IPS TFT-LCD || || 부가정보 ||최대 주사율 60 Hz ||}}}}}}[br]멀티터치 지원 정전식 In-cell [[터치 스크린]] || ||[[네트워크]]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4G Network ] || '''기본지원''' || [[LTE]] Cat.4 FDD[br][[VoLTE]] 지원 || || '''{{{#ffff00 선택지원}}}''' || 없음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3G Network ] || '''기본지원''' || [[4G|HSPA+]] 42Mbps, [[WCDMA|HSDPA & HSUPA & UMTS]][br]Wideband Audio 및 음성 통신 지원 || || '''{{{#ffff00 선택지원}}}''' || 없음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2G Network ] || '''기본지원''' || [[GSM|GSM & EDGE]][br]음성 통신 지원 || || '''{{{#ffff00 선택지원}}}''' || 없음 ||}}}}}} || ||근접통신 ||[[Wi-Fi]] 1/3/4, [[블루투스]] 4.2, [[NFC]] || ||위성항법 ||[[GPS|GPS & A-GPS]], [[GLONASS]] || ||[[카메라]] ||전면 500만 화소 [[LED]] [[플래시(카메라)|플래시]], 후면 1,300만 화소 [[AF]] 및 [[LED]] [[플래시(카메라)|플래시]] || ||[[배터리]] ||내장형 Li-Ion 4500 mAh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충전 기술 정보 ] || 유선고속충전 ||퀄컴 퀵 차지 3.0 (- W) ||}}}}}} || ||[[운영체제]] ||[[안드로이드(운영체제)/버전|안드로이드]] 8.1 (Oreo)[br][[LG UX]] 7.0 || ||규격 ||78.1 x 154.7 x 8.9 mm, 171 g || ||색상[* 제품 공개 당시 같이 공개된 기본 색상에 볼드 처리] ||'''모로칸 블루''' || ||단자정보 ||USB 2.0 micro Type-B x 1, 3.5 mm 단자 x 1 || ||생체인식 ||[[지문인식]] - 에어리어 방식 별도 센서 탑재 || ||기타 ||DTS:X 음향 기술 탑재, [[FM#s-2]] [[라디오]] 지원 || }}}}}}}}} || }}} == 상세 == [[LG X 시리즈|X 시리즈]]의 2018년 타겟 스마트폰이자 대용량 배터리를 탑재 및 이를 강조한 스마트폰이다.[* 즉, 2016년에 공개된 [[LG X5|X5]]와는 크게 상관이 없다.] 전반적인 디자인은 기존 [[LG X 시리즈|X 시리즈]] [[스마트폰]]과 패밀리룩을 이루고 있다. 기본 색상은 모로칸 블루 단일 색상이다. 사양은 우선 AP로 [[미디어텍]] MT6750을 사용한다. [[ARM Cortex-A53]] 옥타코어 [[CPU]]와 [[ARM Mali]]-T860 듀얼코어 [[GPU]]를 사용한다. RAM은 LPDDR3 SDRAM 방식이며 2 GB다. 내장 메모리는 [[eMMC]] 5.1 규격의 낸드 플래시를 사용하며 32 GB 단일 모델로 micro SD 카드로 용량 확장이 가능하다. 디스플레이는 5.5인치 HD 720p 해상도를 지원하며 패널 형식은 IPS TFT-LCD이다. 지원 [[LTE]] 레벨은 Cat.4로 다운로드 최대 150 Mbps, 업로드 최대 50 Mbps를 보장하며 20 MHz 대역폭의 광대역이 구축된 [[LTE]]에서 정상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배터리 용량은 내장형 4,500 mAh이다. 이는 공개일인 2018년 6월 7일 기준, 한국 시장에 출시된 [[스마트폰]] 중 가장 고용량의 배터리를 탑재한 것[* 정확히 말하면 2017년에 공개된 [[LG X500|X Power 2]]와 배터리 용량이 같다.]이다. 또한, [[미디어텍]] Pump Express+ 규격의 고속충전 기술을 지원한다. 후면 [[카메라]]는 1,300만 화소 [[카메라]]를 탑재했다. 전면 [[카메라]]는 500만 화소 [[카메라]]를 120도의 화각으로 설정해 탑재했다. 특히, 셀피 촬영 강화를 위해 전면에도 [[LED]] [[플래시(카메라)|플래시]]를 탑재했다. 단자 규격은 일명 '5핀 단자'라 지칭되는 [[USB]] micro Type-B를 입출력 단자로 사용하며 전송 규격으로 최대 [[USB 2.0]]까지 지원한다. 그리고 사운드 출력을 위한 3.5 mm 단자가 탑재되었다. 에어리어 방식의 [[지문인식]] 센서가 후면 카메라 모듈 하단에 탑재되어 있다. 기기 공개 당시 안드로이드 8.0 오레오를 기본으로 탑재했다. 구체적인 운영체제 버전은 8.0.0이다. === 기능 === * [[LG 페이]] WMC 모듈이 기기 후면에 [[NFC]] 센서와 같이 중앙부에 내장되어 있으며 일부 국가 및 지역 출시 기기에 탑재했다고 한다. * DTS:X 음향 기술 [[LG G7 ThinQ|G7 ThinQ]]와 동일하게 탑재되었다. == 출시 == === 한국 시장 === 2018년 6월 7일, [[https://social.lge.co.kr/newsroom/lg_x5_0607/|한국 출시가 정식으로 발표]]되었다. [[SK텔레콤]], [[KT]] 그리고 [[LG U+]]를 통해 출시되며 출고가는 363,000 원으로 책정되었다. 이는 거의 동일한 하드웨어를 탑재했으나 2017년에 출시된 [[LG X500|X500]]의 출고가보다 약 5만 원 가량 비싸진 것이다. 이후, 시기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추가 색상으로 라벤더 바이올렛 색상이 출시되었다. === 한국 시장 이외 === 캐나다에 출시되었다. 모바일 AP가 [[퀄컴 스냅드래곤 4]]25 MSM8917로 변경되었고 내장 메모리 용량이 16 GB로 줄어들었다. 다만, 기본으로 탑재된 운영체제가 안드로이드 8.1 오레오로 업그레이드 되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LG UX]] 7.0을 탑재했다. 또한, 정식 발매명이 'X Power 3'로 변경되었다.[* 한국에서는 이미 [[LG X Power|X Power]]라는 첫 번째 모델이 2016년에 나왔었고, 2017년에 X Power 2라는 모델이 국내에서는 [[X500]]으로 이름이 바뀌였다. 실질적인 후속모델이다.] == 소프트웨어 지원 == === 제조사 공식 === ==== [[안드로이드 오레오|8.0 / 8.1 오레오]] 마이너 업데이트 ==== 2018년 7월 27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LM-X510S/K/L의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8.0.0이며 빌드 번호는 v10g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8년 7월 1일이다. 2018년 10월 23일, 한국 내수용 중 [[SK텔레콤]] 모델인 LM-X510S의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8.0.0이며 빌드 번호는 v10j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8년 10월 1일이다. 이후 동년 11월 1일, 한국 내수용 중 [[KT]] 모델인 LM-X510K의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마이너 업데이트가 동일한 내용으로 실시되었고 동년 11월 5일, 한국 내수용 중 [[LG U+]] 모델인 LM-X510L의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마이너 업데이트가 동일한 내용으로 실시되었다. 2018년 12월 19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LM-X510S/K/L의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8.0.0이며 빌드 번호는 v10k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8년 12월 1일이다. 2019년 3월 13일, 한국 내수용 중 [[KT]] 모델과 [[LG U+]] 모델인 LM-X510K/L의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8.0.0이며 빌드 번호는 v10m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9년 3월 1일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GPS]]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서 [[미디어텍]] 칩셋의 오류 문제가 개선되었다. 이후 동년 3월 18일, 한국 내수용 중 [[SK텔레콤]] 모델인 LM-X510S의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마이너 업데이트가 동일한 내용으로 실시되었다. 2019년 5월 2일, 한국 내수용 중 [[LG U+]] 모델인 LM-X510L의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8.0.0이며 빌드 번호는 v10n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9년 4월 1일이다. 이후 동년 5월 10일, 한국 내수용 중 [[SK텔레콤]] 모델인 LM-X510S의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마이너 업데이트가 동일한 내용으로 실시되었고 동년 5월 15일, 한국 내수용 중 [[KT]] 모델인 LM-X510K의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마이너 업데이트가 동일한 내용으로 실시되었다. 2019년 7월 16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LM-X510S/K/L의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8.0.0이며 빌드 번호는 v10o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9년 6월 1일이다. 2019년 9월 27일, 한국 내수용 중 [[SK텔레콤]] 모델과 [[KT]] 모델인 LM-X510S/K의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8.0.0이며 빌드 번호는 v10q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9년 8월 1일이다. 이후 동년 10월 7일, 한국 내수용 중 [[LG U+]] 모델인 LM-X510L의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마이너 업데이트가 동일한 내용으로 실시되었다. 2019년 11월 13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LM-X510S/K/L의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8.0.0이며 빌드 번호는 v10s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9년 10월 1일이다. ==== [[안드로이드 파이|9 파이]] ==== 2019년 1월 17일, [[LG전자]]의 공식 [[애플리케이션]]인 퀵 헬프를 통해 한국 시장에서의 안드로이드 9 파이 업그레이드 대상 기기 목록을 공개하면서 2019년 4분기 중에 실시됨을 예고했다. 2019년 6월 15일, [[LG전자]] MC사업부 산하 SW업그레이드센터가 한국 시장에서 주최한 LG모바일 고객초청 행사에서 이석무 센터장이 안드로이드 9 파이 업그레이드 대상 기기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한 [[LG UX]] 8.0로 업데이트할 것이라고 밝혔다. 2019년 10월 9일, 구글의 안드로이드 엔터프라이즈에 한국 내수용 모델인 LM-X510S/K/L의 안드로이드 9 파이 안내 이미지가 추가되었다.[* 그런데, 이미지로 [[LG X500|X500]]의 렌더링 이미지가 업로드 되었다. 이는 구글은 해당 기기를 아예 [[LG X500|X500]]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2019년 11월 27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LM-X510S/K/L의 안드로이드 9 파이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최초 운영체제 버전은 9.0.0이며 빌드 번호는 v20b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9년 11월 1일이다. 해당 업그레이드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LG UX]] 8.0으로 업데이트 되었다. 2020년 2월 18일, 한국 내수용 중 [[SK텔레콤]] 모델과 [[KT]] 모델인 LM-X510S/K의 안드로이드 9 파이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9.0.0이며 빌드 번호는 v20c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20년 1월 1일이다. 이후 동년 2월 19일, 한국 내수용 중 [[LG U+]] 모델인 LM-X510L의 안드로이드 9 파이 마이너 업데이트가 동일한 내용으로 실시되었다. 2020년 4월 22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LM-X510S/K/L의 안드로이드 9 파이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9.0.0이며 빌드 번호는 v20d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20년 4월 1일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특정 서드파티 [[애플리케이션]]에서 게시글에 파일을 첨부할 때 저작권 보호 파일은 파일 목록에 제공되지 않도록 개선되었고 [[KT]] 투폰 서비스에서 번호 변경 요청 후에도 기존 번호가 표시되는 현상이 수정되었다. == 논란 및 문제점 == === [[SK텔레콤]] [[T전화]] 사용불가 문제 === 일부 기기에서 기기를 변경하면 [[T전화]]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T전화]]의 경우 [[LG전자]]가 개발에 관여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아니지만 해당 문제가 발생하는 원인이 기기 변경 시 LG 모바일 스위치 [[애플리케이션]]으로 저장된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 T전화 통화가 데이터 백업으로 분류되어서 이후 [[T전화]] 실행 시 충돌 현상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즉, [[LG전자]] 공식 [[애플리케이션]]에 의해서 서드파티 [[애플리케이션]] 작동이 불가능해져버린다. 이에 대해 2018년 9월 1일 기준, [[LG전자]]나 [[SK텔레콤]]의 정식 해결 방안은 없는 상황이지만 LG 모바일 스위치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 T전화 통화를 제외하거나 이미 해당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T전화 통화를 직접 제거한 후 재설치하면 사용이 가능하다고 한다. 이후 2018년 9월 5일, [[SK텔레콤]]이 T전화 [[애플리케이션]] 업데이트를 실시하고 다음 날인 동년 9월 6일, [[LG전자]]도 LG 모바일 스위치 [[애플리케이션]] 업데이트를 실시하면서 해당 문제들이 해결되었다. === 그 외 문제점 === * 전반적인 사양이 전작인 [[LG X500|X500]]과 다를게 없다. WMC 모듈, [[지문인식]] 센서 그리고 DTS:X 음향 기술이 적용된 것 외에는 재탕 수준의 하드웨어를 가지고 있는데 출고가는 약 5만 원 가량 차이가 나서 비판을 받고 있다. 다만, 경쟁 기기인 [[삼성전자]]의 [[갤럭시 A6]]가 하드웨어 사양은 상대적으로 낮으면서 출고가는 높게 책정되면서 기능을 추가한 것 자체는 재평가를 받고 있다. * 모바일 AP가 64-bit를 지원하고 안드로이드 역시 64-bit에 대응하지만 정작 운영체제가 [[https://browser.geekbench.com/v4/cpu/search?q=LM-X510S|32-bit로 작동]]하고 있다고 한다. * 고질적인 액정 불량 현상 상단 하단부 유막현상. 1년 정도 사용하다보면 대부분 생기는 불량. 중고 시장에서 자주 이런 폰을 볼 수 있으며 당장 거래 사이트에서 B급이라 나오는 매물들 대부분이 이렇다. 일부 사용자만 이런 것이 아닌게 구체적인 증거으로 LG 서비스 센터 방문시 일부 엔지니어들이 이미 이 불량현상을 잘 알고 있으며 과거 피처폰 시절 때 저가형 일체형 패널을 사용하면 어쩌다가 생기는 유막 현상인데 이것이 생기는 이유는 액정이 패널기판과 일체형이기 때문에 사용하면 노후화로 이격이 생김과 그 틈에 이물질이 쌓여서 빈 공간에 기름막(유막)이 생기는 불량 현상. [[파일:253A72BA55C37B8FF35EA207EC234E853306CC7A97DDB5D4596BCB7A439A8C9B.jpg]] LG 측에 문의를 넣은 결과 해당 현상이 있으면 액정 교체를 20~30% 할인 해준다고 한다. 돈이 문제가 아니라 교체를 해도 같은 현상이 계속 생기니 영원히 해결되지 않는다. 약 68,000원(액정 교체비용 97,000원), 중고폰 신품급이나 A급이 보통 3~4만원 한다. 현상이 생기면 그냥 버티고 쓰거나 버리는게 답이다. 추가로 왜 생기는가 직접 조사 결과 배터리가 부풀어 오르면서 같이 문제가 생기는게 공통점이다. == 기타 == * 2016년에 출시된 [[LG X5|X5]]와 정식 발매명이 동일하지만 [[LG X5|X5]]와는 연관성이 없는 별개의 기기이다.[* 화면 크기가 같기는 하지만, 5.5인치라는 크기가 더 이상 큰 사이즈는 아니기 때문에 화면 크기를 강조하지는 않는다.] 이에 대해 2017년에 [[LG X400|2017년형 K10]]이 한국 시장에 [[LG X400|X400]]이라는 정식 발매명으로 출시되고 [[LG X500|X Power 2]]가 [[LG X500|X500]]으로 출시된 상황에서 2018년에 [[LG X400|2017년형 K10]]의 후속작인 [[LG X4|2018년형 K10]]이 한국 시장에 [[LG X4|X4]]라는 정식 발매명으로 출시되면서 이쪽은 [[LG X500|X Power 2]]의 후속작이 출시되면서 정식 발매명을 맞춘 것이 아니냐는 의견이 있다. * 출시 시기가 [[LG Q7|Q7]]과 대략 일주일 정도 차이가 나는데, [[안드로이드 오레오|안드로이드 8.0 오레오]]와 [[LG UX]] 6.0+를 탑재했다. 게다가 한국 시장에 출시된 [[LG전자]] [[스마트폰]] 중 [[미디어텍]]의 모바일 AP가 탑재된 기기에 OS 업그레이드를 받은 경우가 없어서 소프트웨어 사후지원에서 불리한 위치에 놓이게 되었다는 의견이 있다. 다만 2018년 11월 3일 기준, [[LG전자]]가 [[미디어텍]] MT6750을 모바일 AP로 탑재한 [[LG X400|X400 & X401]]과 [[LG X500|X500]]의 안드로이드 8.1 오레오 업그레이드를 실시했기 때문에 이쪽도 한 차례 정도는 OS 업그레이드가 실시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OS 업그레이드가 아닌 마이너 업데이트는 해당되지 않는다. 마이너 업데이트는 나름대로 진행이 되고 있다.] 그리고 2019년 1월 17일, 안드로이드 9.0 파이 업그레이드를 확정지으면서 적어도 1차례의 OS 업그레이드는 진행할 수 있게 되었다. * 일부 구글 [[애플리케이션]] 등에서는 아예 [[LG X500|X500]]로 인식한다. 이 때문에 [[LG X500|X500]]의 후속작이 아닌 리프레시 모델이 아니냐는 의견까지 나오고 있다. 다만, [[지문인식]] 센서 탑재 및 [[Wi-Fi]] [[802.11n]]을 5 GHz 주파수에서 지원하는 등 하드웨어 면에서 차이점이 존재해서 완전히 동일 기기로 취급되지 않는다.[* 리프레시 모델의 대한 사례로는 [[삼성전자]]의 [[갤럭시 탭 S2 8.0]] 및 [[갤럭시 탭 S2 9.7|9.7]]이 존재한다. 한국 시장 기준으로 기본 모델과 리프레시 모델이 모두 출시되었으나 정식 발매명이 변경되지는 않았다.] 그래도 기기 두께와 무게를 제외하면 기기 크기 자체는 [[LG X500|X500]]과 동일하기 때문에 케이스 액세서리가 서로 호환된다고 한다. * 뽑기 커플 유튜버 [[고니두욘몬]]이 이 기기를 [[뽑기기계]]에서 [[https://youtu.be/hRm54w4bJTk|뽑은 적이 있다.]] 뽑은 X5가 중고제품이고 뽑기가 어렵게 기계가 세팅되었으나 스마트폰 단가를 생각한다면 가게 사장님이 파격적으로 경품을 건 셈. * 동일년도 타겟 하위모델인 X4(+)와는 달리 밀스펙은 탑재되지 않았다 [[분류:LG X 시리즈]][[분류:스마트 디바이스/2018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