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LG전자가 2019년에 한국 시장에 출시한 동명의 스마트폰, rd1=LG X2(2019))] [include(틀:LG K 시리즈)] [include(틀:LG X 시리즈)] ||<-3> [br] {{{+5 {{{#a50034,#fb5093 '''LG X2'''}}}}}} [br] {{{-3 {{{#a50034,#fb5093 '''LM-X210''' }}}}}} [br] [br] || ||<-3> [[파일:LM_X210_All_LGkr-LGus-LGmx.jpg|width=100%]] || || {{{#8e9091 '''오로라 블랙'''}}} || {{{#2b68a7 '''모로칸 블루'''}}} || {{{#d8b8af,#503027 '''테라 골드'''}}} || ||<-3> [[http://www.lge.co.kr/lgekor/product/mobile/smart-phone/productDetail.do?cateId=0213&prdId=EPRD.325831|{{{#ffffff 한국 LG전자 X2 공식 사이트}}}]] || [목차] == 개요 == [[LG전자]]가 '''2018년형 K8'''이라는 정식 발매명으로 2018년 2월에 공개한 [[안드로이드(운영체제)|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이다. 한국에는 2018년 6월 28일에 '''X2'''로 정식 발매명을 변경해 [[MVNO]] 통신사를 통해 출시되었다. == 사양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SoC|프로세서]]||[[퀄컴 스냅드래곤 2]]12 MSM8909AA [[SoC]].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구성 내용 확인 ] || [[CPU]] ||[[ARM Cortex-A7]] MP4 1.3 GHz [[CPU]] || || [[GPU]] ||[[퀄컴 Adreno]] 304 [[GPU]] || || NPU & DSP ||[[퀄컴]] Hexagon 536 DSP || || Sensor Hub ||DSP 대체 || || 통신 모뎀 ||[[Qualcomm Snapdragon X5 LTE Modem]] ||}}}}}}|| ||[[메모리]]||2 GB LPDDR3 SDRAM, 16 GB [[eMMC]] 4.5 규격 내장 메모리, [[Secure Digital|micro SDXC]] (2 TB 공식 지원)|| ||[[디스플레이|디스[br]플레이]]||5.0인치 16:9 비율 [[해상도/목록|HD]](1280 x 720) IPS TFT-LCD (277 ppi){{{#!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세부 정보 확인 ] || 공급사 || || || 픽셀배열 ||RGB 서브픽셀 방식 || || 패널정보 ||IPS TFT-LCD || || 부가정보 ||최대 주사율 60 Hz ||}}}}}}[br]멀티터치 지원 정전식 [[터치 스크린]]|| ||[[네트워크]]||{{{#!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4G Network ] [[LTE]] Cat.4 FDD[br][[VoLTE]] 지원}}}}}}{{{#!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3G Network ] [[4G|HSPA+]] 42Mbps, [[WCDMA|HSDPA & HSUPA & UMTS]][br]Wideband Audio 및 음성 통신 지원}}}}}}{{{#!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2G Network ] [[GSM|GSM & EDGE]][br]음성 통신 지원}}}}}}|| ||근접통신||[[Wi-Fi]] 1/3/4, [[블루투스]] 4.2|| ||위성항법||[[GPS|GPS & A-GPS]], [[GLONASS]]|| ||[[카메라]]||전면 500만 화소, 후면 800만 화소 [[AF]] 및 [[LED]] [[플래시(카메라)|플래시]]|| ||[[배터리]]||착탈식 Li-Ion 2500 mAh|| ||[[운영체제]]||[[안드로이드(운영체제)/버전|안드로이드]] [[안드로이드 누가|7.1 (Nougat)]][br][[LG UX]] 6.0|| ||규격||71.9 x 144.8 x 8.2 mm, 152 g|| ||색상[* 한국 출시 당시 기본 색상에 볼드 처리]||'''오로라 블랙'''|| ||단자정보||USB 2.0 micro Type-B x 1, 3.5 mm 단자 x 1|| ||생체인식||미지원|| ||기타||[[FM#s-2]] [[라디오]] 지원|| ||<-2> '''한국 내수용 모델인 LM-X210S/K/L 이외 지역 하드웨어 사양'''{{{#!wiki style="margin: 0 -12px; border-right: 2px solid transparent; border-left: 2px solid transparent" {{{#181818,#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2><-2>[[SoC|프로세서]] ||<-2>[[퀄컴 스냅드래곤 2]]12 MSM8909AA [[SoC]].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구성 내용 확인 ] || [[CPU]] ||[[ARM Cortex-A7]] MP4 1.3 GHz [[CPU]] || || [[GPU]] ||[[퀄컴 Adreno]] 304 [[GPU]] || || NPU & DSP ||[[퀄컴]] Hexagon 536 DSP || || Sensor Hub ||DSP 대체 || || 통신 모뎀 ||[[Qualcomm Snapdragon X5 LTE Modem]] ||}}}}}} || ||<-2>[[퀄컴 스냅드래곤 4]]25 MSM8917 [[SoC]].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구성 내용 확인 ] || [[CPU]] ||[[ARM Cortex-A53]] MP4 1.4 GHz [[CPU]] || || [[GPU]] ||[[퀄컴 Adreno]] 308 [[GPU]] || || NPU & DSP ||[[퀄컴]] Hexagon 536 DSP || || Sensor Hub ||DSP 대체 || || 통신 모뎀 ||[[Qualcomm Snapdragon X6 LTE Modem]] ||}}}}}} || ||<|2> [[메모리|메[br]모[br]리]] || '''기본''' ||2 GB LPDDR3 SDRAM, 16 GB [[eMMC]] 4.5 규격 내장 메모리 ||<|2>[[Secure Digital|micro SDXC]] (2 TB 공식 지원) || || '''{{{#ff0000,#ff0000 일본}}}''' ||3 GB LPDDR3 SDRAM, 32 GB [[eMMC]] 5.1 규격 내장 메모리 || ||<-2>[[디스플레이|디스[br]플레이]] ||<-2>5.0인치 16:9 비율 [[해상도/목록|HD]](1280 x 720) IPS TFT-LCD (277 ppi){{{#!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세부 정보 확인 ] || 공급사 || || || 픽셀배열 ||RGB 서브픽셀 방식 || || 패널정보 ||IPS TFT-LCD || || 부가정보 ||최대 주사율 60 Hz ||}}}}}}[br]멀티터치 지원 정전식 [[터치 스크린]] || ||<-2>[[네트워크]] ||<-2>{{{#!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4G Network ] || '''기본지원''' || [[LTE]] Cat.4 FDD[br]일부 모델 [[VoLTE]] 지원 || || '''{{{#ffff00 선택지원}}}''' || [[WiBro Evolution]]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3G Network ] || '''기본지원''' || 없음 || || '''{{{#ffff00 선택지원}}}''' || [[4G|HSPA+]] 42Mbps, [[WCDMA|HSDPA & HSUPA & UMTS]][br]Wideband Audio 및 음성 통신 지원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2G Network ] || '''기본지원''' ||<-2> 없음 || || '''{{{#ffff00 선택지원}}}''' || [[GSM|GSM & EDGE]][br]음성 통신 지원 || [[CDMA2000|CDMA & EV-DO Rev. A]][br]음성 통신 지원 ||}}}}}} || ||<-2>근접통신 ||<-2>[[Wi-Fi]] 1/3/4, [[블루투스]] 4.2 || ||<-2>위성항법 ||<-2>[[GPS|GPS & A-GPS]], [[GLONASS]] || ||<|2><-2>[[카메라]] ||<|2>전면 500만 화소 ||후면 800만 화소 [[AF]] 및 [[LED]] [[플래시(카메라)|플래시]] || ||후면 1,300만 화소 [[위상차 검출 AF]] 및 [[LED]] [[플래시(카메라)|플래시]] || ||<-2>[[배터리]] ||<-2>Li-Ion 2500 mAh || ||<-2>[[운영체제]] ||<-2>[[안드로이드(운영체제)/버전|안드로이드]] [[안드로이드 누가|7.1 (Nougat)]] → 8.1 (Oreo)[*O 2019년 1월 14일 기준, 일부 모델은 기본 탑재로 출시되었고 OS 업그레이드는 미국 내수용 중 [[US 셀룰러]] 모델인 LM-X210ULM만 실시.] → 9 (Pie)[*P 2019년 11월 11일 기준, 일본 내수용 모델인 LGV36만 실시.][br][[LG UX]] 6.0 → 7.0[*O] → 8.0[*P] || ||<|2>규[br]격 || '''기본''' ||<-2>71.9 x 144.8 x 8.2 mm, 152 g || || '''{{{#ff0000,#ff0000 일본}}}''' ||<-2>71.9 x 144.8 x 8 mm, 140 g || ||<-2>색상[* 제품 공개 당시 같이 공개된 기본 색상에 볼드 처리] ||<-2>'''오로라 블랙''', '''모로칸 블루''', '''테라 골드''', 펄 화이트, 메탈릭 레드 || ||<-2>단자정보 ||<-2>USB 2.0 micro Type-B x 1, 3.5 mm 단자 x 1 || ||<-2>생체인식 ||<-2>미지원 || ||<-2>기타 ||<-2>[[FM#s-2]] [[라디오]] 지원 || }}}}}}}}} || }}} == 상세 == [[LG K 시리즈|K 시리즈]]의 2018년 타겟 [[안드로이드(운영체제)|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이자 [[LG X300|2017년형 K8]]의 정식 후속작이다. 이를 구분하기 위해, 정식 발매명에 '2018년형'이 접두된다. 전반적으로 기존 [[LG K 시리즈|K 시리즈]] 및 [[LG X 시리즈|X 시리즈]]와 패밀리룩을 이루고 있다. 기본 색상은 오로라 블랙, 모로칸 블루, 테라 골드로 총 3종이다. 사양은 우선 AP로 [[퀄컴 스냅드래곤 2]]12 MSM8909를 사용한다. [[ARM Cortex-A7]] 쿼드코어 [[CPU]]와 [[퀄컴 Adreno]] 304 [[GPU]]를 사용한다. RAM은 LPDDR3 SDRAM 방식이며 2 GB다. 내장 메모리는 [[eMMC]] 4.5 규격의 낸드 플래시를 사용하며 16 GB 단일 모델이다. 또한, micro SD 카드로 용량 확장이 가능하다. 디스플레이는 5.0인치 HD 720p 해상도를 지원하며 패널 형식은 IPS TFT-LCD이다. 지원 [[LTE]] 레벨은 Cat.4로 다운로드 최대 150 Mbps, 업로드 최대 50 Mbps를 보장하며 20 MHz 대역폭의 광대역이 구축된 [[LTE]]에서 정상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배터리 용량은 착탈식 2,500 mAh이며 배터리 최소 용량은 2,410 mAh이다. 후면 [[카메라]]는 800만 화소 [[카메라]]를 탑재했다. 전면 [[카메라]]는 500만 화소 [[카메라]]를 탑재했다. 단자 규격은 일명 '5핀 단자'라 지칭되는 [[USB]] micro Type-B를 입출력 단자로 사용하며 전송 규격으로 최대 [[USB 2.0]]까지 지원한다. 그리고 사운드 출력을 위한 3.5 mm 단자가 탑재되었다. 기기 공개 당시 안드로이드 7.1 누가를 기본으로 탑재했다. 구체적인 운영체제 버전은 7.1.2이다. === 기능 === * 오토 샷 기본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에서 셔터를 누르지 않아도 자동으로 얼굴을 인식해 촬영하는 기능이다. * 퀵 쉐어 사진을 촬영한 이후 바로 [[SNS]] [[애플리케이션]]에 업로드할 수 있는 기능이다. == 출시 == === 한국 시장 === 2018년 6월 28일, [[https://social.lge.co.kr/newsroom/lg_x2_0628/|한국 출시가 정식으로 발표]]되었다. 기기 분류에 따른 기기명으로 볼 때 [[SK텔레콤]], [[KT]] 그리고 [[LG U+]]를 통해 출시되는 형태를 가지고 있으나, 정작 출시는 [[MVNO]] 통신사인 SK텔링크, KTM 모바일, [[CJ헬로비전]] 그리고 U+ 알뜰모바일 등을 통해 출시되며 오로라 블랙 색상만 출시된다. 또한, [[LG전자]]의 한국 시장 내 [[http://www.edaily.co.kr/news/newspath.asp?newsid=02033606615798704|브랜드 통합 정책]]을 적용받아 소속된 브랜드가 [[LG K 시리즈|K 시리즈]]에서 [[LG X 시리즈|X 시리즈]]로 이관되면서 정식 발매명이 'X2'로 변경되었다. 출고가는 198,000 원으로 책정되었다. === 한국 시장 이외 === [[LG전자]]가 진출한 국가 및 지역에 적절하게 출시되었다. 일부 국가 및 지역에는 정식 발매명이 'K9'로 변경되었다. 미국에는 [[버라이즌 와이어리스]], [[T-모바일]] US 그리고 [[US 셀룰러]] 뿐만이 아니라 다양한 [[MVNO]] 통신사들을 통해 출시[* 특히, TracFone으로는 운영체제가 안드로이드 8.1 오레오 업그레이드 되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LG UX]] 7.0을 탑재했다.]되었다. 또한, 모바일 AP가 [[퀄컴 스냅드래곤 4]]25 MSM8917로 변경되었고 일부 모델은 후면 [[카메라]]가 1,300만 화소 [[카메라]]로 업그레이드 되었다. 여담으로, 정식 발매명이 'K8+', 'Aristo 2', 'Aristo 2 Plus'[* 정식 발매명이 [[https://www.lg.com/us/cell-phones/lg-X212TAL-aristo-2-plus|실제]]로 이렇게 명명되었다.(...)], 'Risio 3', 'Fortune 2', 'Zone 4' 등으로 변경되었다. 반대로 말하면 정식 발매명이 다양하게 변경되었어도 동일 기기이기 때문에 내부 전산에서는 동일한 기기로 취급된다.[* 전산 코드명이 cv1으로 등록되어 있으며 다양한 미국 내수용 모델들 뿐만이 아니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LM-X210S/K/L 역시 cv1으로 등록되었다.] 일본에는 [[KDDI]] 계열[* 직접 운용 브랜드인 au, [[MVNO]] 통신사인 [[UQ 모바일]] 그리고 합자회사이자 지역 이동통신사인 오키나와 셀룰러 등이 있다.]을 통해 출시되었다. 모바일 AP가 [[퀄컴 스냅드래곤 4]]25 MSM8917로 변경되었고 RAM 용량과 내장 메모리 용량이 각각 3 GB와 32 GB로 증가했으며 기기 규격이 소폭 변경되어 무게가 감소했다. 그리고 기본 색상 중에서 모로칸 블루 색상과 기본 색상에 포함되지 않았던 펄 화이트와 메탈릭 레드 색상이 함께 출시되었다. 다만, [[NFC]]를 탑재하지 않아서 [[FeliCa]]를 지원하지 않는다. 여담으로, 정식 발매명이 '[[https://www.lg.com/jp/mobile-phone/lg-LGV36|it]]'으로 변경되었다. 인도에는 정식 발매명이 '[[https://www.lg.com/in/mobile-phones/lg-K9-LMX210IMW|Candy]]'로 변경[* 단, [[LG전자]]는 공식 사이트 기준으로 'K9'을 병기하고 있다.]되었다. === 특별판 모델 === ==== 효도의 신 스마트폰 ==== 2019년 2월 18일, SK텔링크를 통해 [[LG전자]]의 [[LG 폴더|폴더]]에 이어서 노인 수요층에게 특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부가기능이 탑재된 [[https://www.sk7mobile.com/shop/mobile/phonListDetail.do?eqtMdlNm=%28MVNO%29LM-X210S_SKTL&salePlcyCd=0000324774|효도의 신 스마트폰]]이 출시되었다. == 소프트웨어 지원 == === 제조사 공식 === ==== [[안드로이드 누가|7.1 누가]] 마이너 업데이트 ==== 2018년 7월 9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LM-X210S/K/L의 안드로이드 7.1 누가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7.1.2이며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8년 6월 1일이다. 2018년 9월 14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LM-X210S/K/L의 안드로이드 7.1 누가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7.1.2이며 빌드 버전은 v10e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8년 8월 1일이다. 2018년 10월 31일, 한국 내수용 중 [[SK텔레콤]] 모델인 LM-X210S의 안드로이드 7.1 누가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7.1.2이며 빌드 버전은 v10g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8년 10월 1일이다. 2018년 12월 13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LM-X210S/K/L의 안드로이드 7.1 누가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7.1.2이며 빌드 버전은 v10i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8년 11월 1일이다. 여담으로, 직전 펌웨어 업데이트가 실시되지 않은 [[KT]]와 [[LG U+]]를 통해서는 직전 펌웨어의 변경 내역도 함께 적용되었다. 2019년 5월 23일, 한국 내수용 중 [[SK텔레콤]] 모델인 LM-X210S의 안드로이드 7.1 누가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7.1.2이며 빌드 버전은 v10j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9년 5월 1일이다. ==== [[안드로이드 오레오|8.0 / 8.1 오레오]] ==== [[구글]]의 안드로이드 엔터프라이즈에 글로벌 모델인 LM-X210EM의 안드로이드 8.1 오레오 안내 이미지가 추가되었다. 이로 인해 안드로이드 8.1 오레오 업그레이드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한국 내수용 모델인 LM-X210S/K/L도 안드로이드 8.1 오레오 업그레이드가 실시되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특히, 한국 내수용 모델인 LM-X210S/K/L의 리눅스 커널 버전은 3.10.49이라 안드로이드 8.0 오레오의 최소 리눅스 커널 버전을 충족시키지 못한다. 따라서, 안드로이드 8.1 오레오 업그레이드는 커녕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업그레이드조차도 실시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물론, [[LG전자]]가 리눅스 커널의 버전을 올리면서 새롭게 펌웨어를 빌드한다면 불가능한 것도 아니다. 그래서 불가능하다고 단정지을 수 없다. 다만, 이 과정은 OS 업그레이드라기 보다는 [[스마트폰]] 하나를 새롭게 기획하고 개발하는 것과 맞먹기 때문에 난이도가 상승해버리기 때문에 [[LG전자]] 전략상 중요한 위치에 있지 않은 해당 기기의 OS 업그레이드 가능성은 매우 떨어지게 된다. 여담으로, [[LG전자]] 전략상 플래그십 [[스마트폰]] 위치에 있었던 [[옵티머스 2X]]의 안드로이드 4.0 아이스크림 샌드위치 업그레이드를 위해 리눅스 커널을 처음부터 개발했던 전례가 있었다. 당시에는 권장 리눅스 커널 버전만 있었고 최소 리눅스 커널 버전같은 제한사항은 없었지만 모바일 AP 제조사인 [[엔비디아]]에서 안드로이드 4.0 아이스크림 샌드위치에 맞는 리눅스 커널을 제대로 지원하지 않아서 [[LG전자]]가 처음부터 다시 개발할 수 밖에 없었다. 같은 문제를 가지고 있었던 [[삼성전자]]의 [[NVIDIA Tegra|엔비디아 Tegra]] 2 AP20H 탑재 [[스마트폰]]들은 기기 기획 당시부터 [[엔비디아]]의 리눅스 커널 지원을 받지않고 자체적으로 리눅스 커널을 빌드함에 따라 해당 문제를 피할 수 있었다. 이 때문에 관련 커뮤니티에서는 [[삼성전자]]의 [[NVIDIA Tegra|엔비디아 Tegra]] 2 AP20H의 리눅스 커널을 [[옵티머스 2X]]에 이식하는 커스터마이징이 진행되기도 했다. 또한 유사한 사례로서, [[LG Stylus 2|Stylus 2]]는 일부 부품에 대한 드라이버 호환성 문제가 발생했지만 커스텀 드라이버를 직접 개발해서 안드로이드 7.0 누가 업그레이드를 실시하기도 했었다. 하지만 리눅스 커널 문제 때문에 안 된다고 단정지을 수 없는 것이 [[넥서스 5X]] 사례가 있기 때문이다. 리눅스 커널 버전을 3.10 계열을 유지하면서 안드로이드 8.1 오레오 업그레이드까지 진행되었다.] 2019년 1월 14일, 미국 내수용 중 [[US 셀룰러]] 모델인 LM-X210ULM의 안드로이드 8.1 오레오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최초 운영체제 버전은 8.1.0이며 빌드 버전은 v20a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8년 12월 1일이다. 해당 업그레이드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LG UX]] 7.0으로 업데이트되었다. 2019년 7월 7일 기준, 여전히 한국 내수용 모델인 LM-X210S/K/L의 안드로이드 8.1 오레오 업그레이드 여부는 알려지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대해 미국 시장과 일본 시장에는 모바일 AP 자체가 [[퀄컴 스냅드래곤 4]]25 MSM8917로 사양이 높아짐에 따라 실시된 것이고 반대로 한국 내수용 모델인 LM-X210S/K/L을 비롯한 미국 시장과 일본 시장 이외의 국가 및 지역에 출시된 기기는 추가적인 OS 업그레이드가 진행되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이 많아지고 있다. ==== [[안드로이드 파이|9 파이]] ==== 2018년 10월 17일, 일본 내수용 모델인 LGV36의 안드로이드 9 파이 업그레이드가 [[https://www.au.com/information/topic/mobile/2018-079/|확정]]되었다. 2019년 8월 23일, 구글의 안드로이드 엔터프라이즈에 일본 내수용 모델인 LGV36의 안드로이드 9 파이 안내 이미지가 추가되었다. 2019년 10월 4일, 일본 내수용 모델인 LGV36의 안드로이드 9 파이의 [[http://opensource.lge.com/osSch/list?types=ALL&search=LGV36|소스 코드]]가 공개되었다. 2019년 11월 11일, 일본 내수용 모델인 LGV36의 안드로이드 9 파이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최초 운영체제 버전은 9.0.0이며 빌드 번호는 v20f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9년 10월 1일이다. 해당 업그레이드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LG UX]] 8.0으로 업데이트 되었다. 2020년 2월 3일, 일본 내수용 모델인 LGV36의 안드로이드 9 파이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9.0.0이며 빌드 번호는 v20h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20년 1월 1일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노크온 기능을 통해 잠금 화면으로 종료하거나 활성화할 수 없었던 오류가 수정되었다. 2020년 4월 7일, 일본 내수용 모델인 LGV36의 안드로이드 9 파이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9.0.0이며 빌드 번호는 v20i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20년 3월 1일이다. 2020년 6월 4일, 일본 내수용 모델인 LGV36의 안드로이드 9 파이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9.0.0이며 빌드 번호는 v20j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20년 5월 1일이다. 2020년 8월 20일, 일본 내수용 모델인 LGV36의 안드로이드 9 파이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9.0.0이며 빌드 번호는 v20n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20년 8월 1일이다. 2020년 11월 10일, 일본 내수용 모델인 LGV36의 안드로이드 9 파이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9.0.0이며 빌드 번호는 v20o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20년 10월 1일이다. == 논란 및 문제점 == === 전작 대비 떨어지는 하드웨어 === [[LG X300|2017년형 K8]]의 후속작이지만 [[옵티머스 LTE III|하드웨어 사양이 오히려 하향]]되었다. 우선 모바일 AP가 [[퀄컴 스냅드래곤 4]]25 MSM8917에서 [[퀄컴 스냅드래곤 2]]12 MSM8909로 하향되었다. 그리고 USB OTG를 지원하지 않으며 탑재된 모바일 AP의 한계로 인해 카메라 성능이 떨어졌고 기기 무게도 증가하는 등 전반적으로 후속작이라 하기 어려울정도로 하드웨어 사양이 퇴보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모바일 AP의 하향화로 인해 어느 정도 가볍게 사용하기에는 문제 없었던 전작인 [[LG X300|2017년형 K8]]에 비해서 확연히 성능이 낮아졌다.[* 모바일 AP의 성능도 떨어지는 마당에 소프트웨어 최적화 역시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해서 음성 통화나 문자메시지 등 휴대 전화로서의 기본적인 기능들 조차도 버벅이고 튕긴다.] [[LG전자]]도 이를 의식했는지 전례를 따르면 [[LG X4|X4]]처럼 이쪽의 정식 발매명을 'X3'으로 명명되었어야 했지만 'X2'로 명명해서 일종의 차별화를 취한 것으로 보이며 출고가도 한국 시장 기준으로 약 6만 원 가량 낮춰졌다. 사실 이 부분은 [[LG K 시리즈|K 시리즈]]보다 상위 브랜드[* 한국 시장에는 [[LG X 시리즈|X 시리즈]]로 편입되어 출시되었기 때문에 인지하기 어려우나, 이렇게 편입되어 출시된 [[스마트폰]]들의 OS 업그레이드 정책이나 내부 분류 기준은 원 소속 브랜드의 기준을 따른다. 쉽게 말해서 [[LG K 시리즈|K 시리즈]]에서 [[LG X 시리즈|X 시리즈]]로 파견을 간 것이기 때문에 인사 권한은 [[LG K 시리즈|K 시리즈]]에 있다.]인 [[LG Q 시리즈|Q 시리즈]]의 하드웨어 사양이 어중간했기 때문에 발생한 일로 [[LG Q6|Q6]]가 [[퀄컴 스냅드래곤 4]]35 MSM8940를 탑재해버리니 하위 브랜드의 모바일 AP 선택권이 좁아져버렸고 [[LG X4|2018년형 K10]]의 존재도 있었기 때문에 수요 잠식 등을 고려하면 [[퀄컴 스냅드래곤 2]]12 MSM8909를 선택할 수 밖에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다만, 미국 시장과 일본 시장에는 [[퀄컴 스냅드래곤 4]]25 MSM8917를 잘만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즉, 한국 시장을 포함한 다른 국가 및 지역들에 하향된 사양이 공급된 것이 아니라 미국 시장과 일본 시장에서는 하드웨어 사양이 상향된 것이다. 정리하면, [[LG X300|2017년형 K8]]의 후속작으로 공개되면서 하드웨어 사양을 낮췄는데 이를 미국 시장과 일본 시장에 출시할 때 도로 사양을 올려서 [[LG X300|2017년형 K8]]과 비교하면 ±0가 되어버렸다.] [[LG Q 시리즈|Q 시리즈]] 때문이라 하더라도 굳이 전체적인 하드웨어 사양을 낮출 필요성이 있었는지는 의문이다. === 그 외 문제점 === * 나침반 센서가 탑재되어 있지 않아서 지도 [[애플리케이션]] 사용에 지장이 있다. == 기타 == * 사양이 워낙 낮다 보니 순정 상태에서도 체감 성능이 매우 떨어진다. 각종 애니메이션 사용을 하지 않고 MLT 중지, 불필요한 애플리케이션 삭제, 기본 홈 런처가 아닌 가벼운 서드파티 홈 런처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해야지 그나마 사용할 수 있는 수준이다. * [[LG X300|X300]]과 배터리가 서로 호환된다. [각주]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LG K 시리즈, version=179)] [[분류:LG K 시리즈]][[분류:LG X 시리즈]][[분류:스마트 디바이스/2018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