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파일:LGVolt_1.jpg|width=100%]] || || {{{#c7c7c7 '''티탄'''}}} || {{{#9f9e9f '''화이트'''}}} || {{{#c7c7c7 '''골드'''}}} || ||<-3> [[https://web.archive.org/web/20180203034328/http://webcache.googleusercontent.com/search?q=cache:ATdAxgaU71IJ:www.lge.co.kr/lgekor/product/media/tv/productDetail.do%3FcateId%3D0210%26prdId%3DEPRD.288438+&cd=1&hl=ko&ct=clnk&gl=kr|{{{#ffffff 한국 LG전자 Volt 공식 사이트 - 구글 웹 캐시(아카이브)}}}]] || '''LG Volt / LG-F540''' [목차] == 개요 == [[LG전자]]가 '''[[LG Spirit|Spirit]]'''라는 정식 발매명으로 2015년 2월, [[MWC]] 2015에서 공개한 [[안드로이드(운영체제)|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이다. 한국에는 2015년 4월 17일에 '''Volt'''로 정식 발매명을 변경해 [[SK텔레콤]], [[KT]] 그리고 [[LG U+]]를 통해 출시되었다. == 사양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SoC|프로세서]]||[[퀄컴 스냅드래곤 4]]10 MSM8916 [[SoC]].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구성 내용 확인 ] || [[CPU]] ||[[ARM Cortex-A53]] MP4 1.2 GHz [[CPU]] || || [[GPU]] ||[[퀄컴 Adreno]] 306 450 MHz [[GPU]] || || NPU & DSP ||[[퀄컴]] Hexagon QDSP6 V5 DSP || || Sensor Hub ||DSP 대체 || || 통신 모뎀 ||[[Qualcomm Snapdragon X5 LTE Modem|Qualcomm Gobi MDM9x25]] ||}}}}}}|| ||[[메모리]]||1 GB LPDDR3 SDRAM, 8 GB [[eMMC]] 4.5 규격 내장 메모리, [[Secure Digital|micro SDHC]] (최대 32 GB 지원)|| ||[[디스플레이|디스[br]플레이]]||4.7인치 16:9 비율 [[해상도/목록|HD]](1280 x 720) TFT-LCD (312 ppi){{{#!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세부 정보 확인 ] || 공급사 || || || 픽셀배열 ||RGB 서브픽셀 방식 || || 패널정보 ||TFT-LCD || || 부가정보 || ||}}}}}}[br]멀티터치 지원 정전식 In-cell [[터치 스크린]]|| ||[[네트워크]]||{{{#!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4G Network ] [[LTE]] Cat.4 FDD[br][[VoLTE]] 지원}}}}}}{{{#!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3G Network ] [[4G|HSPA+]] 42Mbps, [[WCDMA|HSDPA & HSUPA & UMTS]][br]Wideband Audio 및 음성 통신 지원}}}}}}{{{#!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2G Network ] [[GSM|GSM & EDGE]][br]음성 통신 지원}}}}}}|| ||근접통신||[[Wi-Fi]] 802.11a/b/g/n, [[블루투스]] 4.1, [[NFC]]|| ||[[카메라]]||전면 100만 화소, 후면 800만 화소 [[AF]] 및 [[LED]] [[플래시(카메라)|플래시]]|| ||[[배터리]]||Li-Ion 2100 mAh|| ||[[운영체제]]||[[안드로이드(운영체제)/버전|안드로이드]] 5.0 (Lollipop)[br][[LG UX]] 3.0|| ||규격||66.1 x 133.3 x 9.9 mm, 119 g|| ||단자정보||USB 2.0 micro Type-B x 1, 3.5 mm 단자 x 1|| ||기타|| || ||<-2> '''한국 내수용 모델인 LG-F540S/K/L 이외 지역 하드웨어 사양'''{{{#!wiki style="margin: 0 -12px; border-right: 2px solid transparent; border-left: 2px solid transparent" {{{#181818,#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2>[[SoC|프로[br]세서]] || '''{{{#008000,#7fff7f GSM}}}''' ||<-2>[[MediaTek]] MT6582 [[SoC]].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구성 내용 확인 ] || [[CPU]] ||[[ARM Cortex-A7]] MP4 1.3 GHz [[CPU]] || || [[GPU]] ||[[ARM Mali]]-400 MP2 500 MHz [[GPU]] || || NPU & DSP ||미탑재 || || Sensor Hub ||미탑재 || || 통신 모뎀 ||(파트넘버 불명) 내장 ||}}}}}} || || '''{{{#ffa500 LTE}}}''' ||<-2>[[퀄컴 스냅드래곤 4]]10 MSM8916 [[SoC]].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구성 내용 확인 ] || [[CPU]] ||[[ARM Cortex-A53]] MP4 1.2 GHz [[CPU]] || || [[GPU]] ||[[퀄컴 Adreno]] 306 450 MHz [[GPU]] || || NPU & DSP ||[[퀄컴]] Hexagon QDSP6 V5 DSP || || Sensor Hub ||DSP 대체 || || 통신 모뎀 ||[[Qualcomm Snapdragon X5 LTE Modem|Qualcomm Gobi MDM9x25]] ||}}}}}} || ||<-2>[[메모리]] ||<-2>1 GB LPDDR3 SDRAM, 8 GB [[eMMC]] 4.5 규격 내장 메모리, [[Secure Digital|micro SDHC]] (최대 32 GB 지원) || ||<-2>[[디스플레이]] ||<-2>4.7인치 16:9 비율 [[해상도/목록|HD]](1280 x 720) TFT-LCD (312 ppi){{{#!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세부 정보 확인 ] || 공급사 || || || 픽셀배열 ||RGB 서브픽셀 방식 || || 패널정보 ||TFT-LCD || || 부가정보 || ||}}}}}}[br]멀티터치 지원 정전식 In-cell [[터치 스크린]] || ||<-2>[[네트워크]] ||<-2>{{{#!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4G Network ] || '''기본지원''' || 없음 || || '''{{{#ffff00 선택지원}}}''' || [[LTE]] Cat.4 FDD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3G Network ] || '''기본지원''' ||<-3> 없음 || || '''{{{#ffff00 선택지원}}}''' || [[4G|HSPA+]] 42Mbps || [[4G|HSPA+]] 21Mbps || [[WCDMA|HSDPA & HSUPA & UMTS]][br]Wideband Audio 및 음성 통신 지원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2G Network ] || '''기본지원''' ||<-2> 없음 || || '''{{{#ffff00 선택지원}}}''' || [[GSM|GSM & EDGE]][br]음성 통신 지원 || [[CDMA2000|CDMA & EV-DO Rev. A]][br]음성 통신 지원 ||}}}}}} || ||<-2>근접통신 ||<-2>[[Wi-Fi]] 802.11a/b/g/n, [[블루투스]] 4.1, [[NFC]][* 지원 기기 추가 지원.] || ||<|2><-2>[[카메라]] ||<|2>전면 100만 화소 ||후면 800만 화소 [[AF]] 및 [[LED]] [[플래시(카메라)|플래시]] || ||후면 500만 화소 [[AF]] 및 [[LED]] [[플래시(카메라)|플래시]] || ||<-2>[[배터리]] ||<-2>Li-Ion 2100 mAh || ||<-2>[[운영체제]] ||<-2>[[안드로이드(운영체제)/버전|안드로이드]] 5.0 (Lollipop)[br][[LG UX]] 3.0 || ||<|2><-2>규격 ||<|2>66.1 x 133.3 x 9.9 mm ||119 g || ||124.4 g || ||<-2>단자정보 ||<-2>USB 2.0 micro Type-B x 1, 3.5 mm 단자 x 1[br]일부 모델 듀얼심 지원 || ||<-2>기타 ||<-2>일부 모델 [[FM#s-2]] [[라디오]] 혹은 [[원세그]] TV 지원 || }}}}}}}}} || }}} == 상세 == [[LG전자]]가 중급형 라인업인 [[LG F 시리즈|F 시리즈]]와 [[LG L 시리즈|L 시리즈]]를 해체하고 [[LG G 시리즈|G 시리즈]]의 사용자 환경을 이식한 새로운 중급형 [[스마트폰]] 중 중상위권 모델이다. [[MWC]] 2015를 앞둔 [[http://social.lge.co.kr/mwc_2015_0223/|2015년 2월 23일에 선 공개]]되었고, 실제 공개는 [[MWC]] 2015에서 이루어진다고 한다. 전반적인 디자인은 [[LG G3|G3]]와 패밀리룩을 이루고 있으나, 3000R 곡률의 커브드 디자인을 넣은 것이 특징이다. 이는 [[삼성전자]]의 [[갤럭시 S#s-2.4|갤럭시 S Advance]] 혹은 [[넥서스 S]]와 [[갤럭시 넥서스]]와 같은 형태이다. 기본 색상은 티탄, 화이트, 골드로 총 3종이다. 사양은 우선 AP로 [[퀄컴 스냅드래곤 4]]10 MSM8916과 [[미디어텍]] MT6582를 지원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선택해 사용한다. 전자의 경우 [[ARM Cortex-A53]] 쿼드코어 [[CPU]]와 [[퀄컴 Adreno]] 306 [[GPU]]를 사용하며 후자의 경우 [[ARM Cortex-A7]] 쿼드코어 [[CPU]]와 [[ARM Mali]]-400 듀얼코어 [[GPU]]를 사용한다. RAM은 LPDDR3 SDRAM 방식이며 1 GB다. 내장 메모리는 [[eMMC]] 4.5 규격의 낸드 플래시를 사용하며 8 GB 단일 모델로 micro SD 카드로 용량 확장이 가능하다. 디스플레이는 4.7인치 HD 720p 해상도를 지원하며 패널 형식은 TFT-LCD이다. 또한, [[터치 스크린]] 패널을 In-cell 방식으로 [[디스플레이]]와 일체화했다고 한다. 지원 이동통신의 경우, [[LTE]] Cat.4와 [[LTE]] 미지원 3G 모델이 있다. [[LTE]] 모델의 경우, 업로드 속도는 최대 50 Mbps이며 다운로드 속도는 최대 150 Mbps이다. 배터리 용량은 착탈식 2,100 mAh이며 배터리 최소 용량은 2,020 mAh이다. 후면 [[카메라]]는 800만 화소 [[카메라]]와 500만 화소 [[카메라]]를 지역에 따라 취사선택하여 탑재했다. 전면 [[카메라]]는 100만 화소 [[카메라]]를 탑재했다. 단자 규격은 일명 '5핀 단자'라 지칭되는 [[USB]] micro Type-B를 입출력 단자로 사용하며 전송 규격으로 최대 [[USB 2.0]]까지 지원한다. 그리고 사운드 출력을 위한 3.5 mm 단자가 탑재되었다. 기기 공개 당시 안드로이드 5.0 롤리팝을 기본으로 탑재했다. 구체적인 운영체제 버전은 5.0.1이다. == 출시 == === 한국 시장 === 2015년 4월 7일, [[http://rra.go.kr/ko/license/A_b_popup.jsp?app_no=201517100000064337|SK텔레콤 모델]], [[http://rra.go.kr/ko/license/A_b_popup.jsp?app_no=201517100000064253|KT 모델]] 그리고 [[http://rra.go.kr/ko/license/A_b_popup.jsp?app_no=201517100000064302|LG U+ 모델]]이 동시에 각각 전파인증을 통과했다. 2015년 4월 15일, [[http://social.lge.co.kr/volt_0415/|한국 LG전자 공식 블로그]]를 통해 정식으로 공개되었다. [[SK텔레콤]], [[KT]] 그리고 [[LG U+]] 모두 출시되며 기본 색상 중 티탄과 화이트만 2015년 4월 17일에 출시되며 출고가는 297,000 원으로 책정되었다. === 한국 시장 이외 === [[브라질]]을 시작으로 여러 나라에 출시되었다. 다만, 정식 발매명은 공개 당시 명칭인 Spirit과 Volt를 지역 시장 상황에 따라 취사선택하여 사용한다. 미국에는 [[AT&T]]와 크리켓 와이어리스를 통해 Escape 2로, US셀룰러를 통해 Logos로, 부스트 모바일을 통해 Volt 2로 정식 발매명이 변경되어 출시되었다. == 소프트웨어 지원 == === OS 업그레이드 === 중보급형 [[스마트폰]]이라 그런지 펌웨어 업데이트가 지지부진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메이저 업그레이드의 경우 2016년 4월 기준으로 단 한 차례도 진행되지 않았다. 사용자들이 지속적으로 고객센터에 관련 내용을 문의했으나, '지금은 모른다'는 매크로 답변만 받았다고 한다. ~~그래도 [[LG F70|얘]]랑은 달리 안한다고는 안했다~~ 2016년 11월 17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LG-F540S/K/L의 안드로이드 5.0 롤리팝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펌웨어 버전은 5.0.2이며 안드로이드 보안 수준은 2016년 8월 1일이다. == 논란 및 문제점 == 최적화가 엉망이다. 분명 [[퀄컴 스냅드래곤 4]]10 MSM8916을 탑재한 [[스마트폰]]이지만, [[퀄컴 스냅드래곤 2]]00 MSM8212를 탑재한 [[모토로라 모토 E#s-2.2|모토 E 2세대]]보다 느리다는 [[http://underkg.co.kr/quick_review/792111|평가]]를 일부에서 받고있다. [[LG전자]]의 자체 전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딜레이가 있고 [[SK텔레콤]]의 T전화를 켜면 미세하게 더 긴 딜레이가 있다고 한다.[* 딜레이는 첫 실행 시에만 적용되고 RAM에 상주하는 순간부터 없어진다. 문제는 RAM 누수로 인해 안그래도 적은 용량의 RAM이 이를 버티지 못해 [[애플리케이션]]을 리프레시 시켜버린다.] [[구글 크롬]]을 통해 웹 서핑을 하다 RAM 누수 현상으로 인해 [[구글 크롬]]이 리프레시되어 제멋대로 튕긴 다음 홈 화면으로 되돌아가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게다가 애플리케이션을 오래 실행했다가 홈으로 되돌아올 때 렉이 걸리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때도 대부분 딜레이가 생긴다. 음악을 들을때도 저질같은 RAM 성능 때문에 게임같은 고사양 애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실행시키면 음악이 끊긴다. 내장 메모리는 시스템 파티션이 6 GB 가까이 먹고 있고, 일부 기본 [[애플리케이션]]을 삭제할 수 없다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다.[* 사실, 한국 기준으로 관련 법이 바뀌면서 이동통신사의 [[통신사 앱|선 탑재]] [[애플리케이션]]은 최소화하고 나머지는 지울 수 있게 제도가 마련된 상황이다. 즉, 이건 Volt만 해당되는 이야기가 아니라 2014년 4월 이후로 한국에 출시된 모든 [[안드로이드(운영체제)|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이 해당된다. 다만, Volt의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내장 메모리가 너무 적기 때문에 더욱 부각된 측면이 크다.] 이렇게되면 RAM에 상주하는 [[애플리케이션]] 숫자를 최소화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루팅]] 등의 작업으로 이를 해결하지 않을 경우에는 micro SD 카드의 사용은 필수가 되어진다. 설령 micro SD 카드가 있다고 하더라도 내장 메모리가 어느정도 충분해야 애플리케이션 설치가 가능한데 이게 충분치 않다보니 구글 플레이 등 애플리케이션 ESD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때 용량 부족 경고창이 허구한 날 뜬다. 게다가 일부 기기에서 [[LG G 시리즈|G 시리즈]] [[스마트폰]]에서 발생하는 무한 부팅 문제가 동일하게 발생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여기에 1년 이상 장기간 사용할 때 Wi-Fi 데이터 스왑시 무한정 왔다갔다 반복이 일어나는 증상이 있다고 한다. 이는 이동통신사 [[애플리케이션]]을 전부 실행차단으로 돌려도 반복된다고 한다. 특히, 사용자가 필요한 [[애플리케이션]]만 놔둔다 하더라도 동작이 둔하고 끊김이 생긴다고 한다. 가끔식 메모리 오류인지 원인은 알 수 없으나 기기가 스스로 재부팅되는 문제는 덤으로 발생한다. 여기에 [[McAfee]]는 차단하면 아예 기기가 부팅하지도 않는다고 한다. 또한, [[NFC]]가 작동 불능 상태가 된다는 보고도 존재하며 [[USB]] micro Type-B 단자가 쉽게 망가진다는 보고도 있다. 또한, 후면 버튼 부분에 유격이 잘 발생한다고 한다. 이와 관련하여 후면 전원버튼 접촉 불량현상이 있어 전원을 켜고 끄는 데 불편이 있다. 또한 여기에 [[LG 쿼드비트 시리즈]]와 호환성 문제를 겪고 있다는 주장도 존재한다. 더욱이, [[SK텔레콤]]에서 동급 사양에 [[LG G 시리즈|G 시리즈]]의 주요 콘텐츠인 [[레이저|LASER]] [[AF]]를 탑재한 [[LG band Play|band Play]]라는 [[스마트폰]]을 2015년 6월 25일에 출시했기에 판매할 생각이 있냐는 소리까지 듣고있다.[* 특히, band Play와의 차이는 내장 메모리 용량이 16 GB로 두 배 가량 증가한 것을 제외하면 하드웨어 사양이 완전히 동결되었다.] 다만, LG UX 4.0가 공개될 당시, [[LG전자]]는 LG UX 4.0은 최적화를 중시했다며 안드로이드 롤리팝 5.1 기반의 LG UX 4.0이 업데이트 될 경우 개선이 있을 수 있다. 또한, 구글이 자체적으로 안드로이드 5.1 롤리팝의 개선 버전에서 RAM 누수를 잡겠다고 했기 때문에 기다려볼 여지는 조금 있다. 그러나 2019년 2월 기준, 안드로이드 5.1 롤리팝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지 않으면서 개선되지 못했다. == 기타 == * 여타 중급형 [[스마트폰]]들과 비슷하게 USB OTG를 지원하지 않는다. [[분류:스마트폰(안드로이드)/LG]][[분류:스마트 디바이스/2015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