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LG V50S ThinQ)] ||<-5> '''[[LG전자/플래그십 스마트 전자기기 브랜드|{{{#aaa LG G 시리즈}}}]]의 논란 및 문제점''' || || [[LG G8 ThinQ/논란 및 문제점|LG G8 ThinQ]] || → || '''LG G8X ThinQ''' || → || [[LG VELVET/논란 및 문제점|LG VELVET]] || ||<-5> '''[[LG전자/플래그십 스마트 전자기기 브랜드|{{{#aaa LG V 시리즈}}}]]의 논란 및 문제점''' || || [[LG V50 ThinQ/논란 및 문제점|LG V50 ThinQ]] || → || '''LG V50S ThinQ''' || → || [[LG V60 ThinQ#s-6]] || [목차] == 개요 == [[LG전자]]가 2019년 9월에 공개한 [[안드로이드(운영체제)|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인 [[LG V50S ThinQ|V50S ThinQ]]의 공개 이후 각종 논란 및 문제점에 대해 정리하는 문서이다. 여담으로, LG플래그쉽 스마트폰 중에서는 [[LG G8 ThinQ]]와 더불어 논란 및 문제점이 적은 기기다. == 상세 == * 본가 모델 중 하나인 [[LG V50 ThinQ]]와 동일하게 기본 색상으로 오로라 블랙 색상 하나만 공개되었다. 이 때문에 다양한 색상을 구비해야 한다며 아쉽다는 의견이 나오기도 했다.[* 그래도 오로라 블랙 컬러 자체는 상당히 잘 뽑힌 편이다. 문제는 컬러의 선택권이 없다는 것(...)] * 기기 무게가 192 g로 무거운 축에 속하고 있다. 특히, [[LG전자]]는 [[LG V30 ThinQ]]의 무게를 158 g, [[LG V40 ThinQ]]의 무게를 169 g에 맞췄던 전례가 있기 때문에 상당히 무거워졌다는 의견이 있다. 물론, 디스플레이 크기를 고려하면 비슷한 디스플레이 크기를 가진 경쟁 기기들의 무게들이 모두 무거워지는 방향으로 표준화가 된 상황이긴 하지만 디스플레이 크기 차이가 얼마 나지 않는 [[갤럭시 노트10]]이 168 g으로 상대적으로 가볍기 때문에 비판 의견이 있다.[* 다만 S펜과 램, 망원 렌즈을 제외하면 노트10 대비 V50S가 갖추고 있는 기능이 생각보다 많음은 고려해야 한다. LG V50S ThinQ는 [[갤럭시 노트10]]에 없는 SDXC 슬롯과 모듈, 3.5mm 이어폰 단자를 갖추고 있으며, 배터리도 500mAh 더 많다.] 게다가 듀얼 스크린까지 장착하면 총 무게가 무려 326 g에 달하기 때문에 휴대성이 현저히 떨어진다는 비판 의견이 있다.[* 그래도 무게 배분이 잘 되어 있어 체감 무게는 170g대 기기와 비슷하다는 평가도 있다. [[LG V40 ThinQ]]과 체감무게는 거의 차이가 나지 않는다는 의견도 있다.][* 같은 듀얼스크린 기기인 [[New 닌텐도 3DS]] XL과 비슷한 무게이다. 게임기와 스마트폰의 1:1 비교는 어렵지만 2개의 대형 화면을 장착한 기계치고는 선방한 편이다.] 다만 무게 배분이 잘 되어 있는 편이고, 같은 크기의 디스플레이와 비슷한 용량의 배터리를 탑재한 [[iPhone 11 Pro Max|아이폰 11 프로 맥스]]의 무게 '226g'에 비하면 훨씬 낫다. * [[퀄컴 스냅드래곤/8XX 라인업#s-3.9.1|퀄컴 스냅드래곤 855 SM8150]]의 내장 Wi-Fi 칩셋이 [[Wi-Fi 6]]를 지원 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지원하지 않아서 [[Wi-Fi]]의 최대 지원 규격이 [[Wi-Fi 5]]로 제한되었다. * [[디스플레이]] 패널 자체는 HDR10을 지원함에도 불구하고 정작 [[넷플릭스]] 등 서드파티 동영상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인증 절차를 밟지 않은 경우가 있기 때문에 해당 기능을 사용할 수 없다고 한다. * 본가 모델 중 하나인 [[LG V50 ThinQ]]보다 카메라 사양이 낮아졌다. [[LG V50 ThinQ]]는 전면 카메라는 듀얼 렌즈 구성으로 되어있었고 후면 카메라는 트리플 렌즈 구성으로 되어있었지만 이번에는 전면 카메라는 싱글 렌즈 구성으로 축소되었고 후면 카메라도 듀얼 렌즈 구성으로 축소되었다. 특히, 후면 카메라는 망원 카메라가 빠지면서 [[삼성전자]]나 [[Apple|애플]] 등 2019년 하반기 기준으로 망원 카메라를 탑재하지 않은 이례적인 [[스마트폰]]이 되었다. 다만 전면 카메라는 화소수가 높아졌고 동시에 일명 '물방울 노치'라 불리는 카메라 부분만 남기는 형태의 [[노치 디자인]]이 적용되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었을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후면 카메라의 경우 광각 카메라의 화각이 136도로 본가 모델 중 하나인 [[LG V50 ThinQ]]의 107도보다 더 넓어졌지만 대신 화소 수가 1,600만에서 1,300만으로 줄어들었고, 망원 카메라가 빠지는 등 변화를 겪었기 때문에 여러 의견이 나오고 있다. * 기기와 듀얼 스크린 간의 해상도 차이가 있어서 비판 의견이 있었던 본가 모델 중 하나인 [[LG V50 ThinQ]]와는 다르게 이번에는 기기와 듀얼 스크린 간의 해상도가 일치되었다. 이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동일한 것을 탑재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가 모델 중 하나인 [[LG V50 ThinQ|V50 ThinQ]]의 해상도인 3120 x 1440 해상도가 아니라 2340 x 1080 해상도로 낮아졌다. 즉, 듀얼 스크린의 디스플레이가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맞춰진 것이 아니라 기기의 디스플레이가 듀얼 스크린의 디스플레이에 맞춰진 것이다. 이 때문에 본가 모델 중 하나인 [[LG V50 ThinQ]]보다 해상도가 낮아지게 됨에 따라 비판 의견이 나오기도 했다.[* 여담으로, 삼성전자의 [[갤럭시 S21+]]와 [[갤럭시 노트20]] 또한 [[갤럭시 S20+]]의 3200 × 1440에서 2400 × 1080으로 낮아졌다. 이때문에 화소밀도 역시 [[갤럭시 S20+]]는 물론 [[LG V50S ThinQ]]보다도 떨어지는 394ppi가 되면서 비슷한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두 회사 모두 해상도를 낮추는 것을 보면 스마트폰 수준에서 QHD와 FHD의 차이가 거의 안 난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오히려 두 회사 모두 FHD로 다운그레이드하면서 선예도를 향상시켰고 배터리 타임과 성능에서 이점을 많이 챙겼다.][* 참고로 V50S의 후계기인 V60 역시 FHD+ 해상도만을 지원한다. 화면이 커진 만큼(6.4인치 → 6.8인치) 화소밀도 역시 줄어들었으나 세로 픽셀이 120픽셀 증가하면서 403ppi에서 395ppi로 그렇게 많이 줄지는 않았다.] 다만 역시나 V50에 비해선 선예도가 줄어든 게 육안으로도 체감된다. * 본가 모델 중 하나인 [[LG G8 ThinQ]]와 비교할 때 소프트웨어 기능들이 삭제된 경우가 많다. 대표적으로 얼굴인식 잠금해제 기능이 있고 이외에도 트루 뷰 기능[* 애플의 트루톤 디스플레이 기능과 유사하게 주변 밝기에 따라 자동으로 자연스럽게 디스플레이의 색감이 조정되는 기능이다.] 등이 삭제되었다. * 일부 환경에서 드래그 동작을 수행할 때 간헐적으로 끊기면서 터치 동작으로 인식하는 문제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 듀얼 스크린이 악세사리 취급이라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휴대전화 보험의 대상이 아닌데, 웃기게도 LG전자 공식 스토어에서 판매하지 않는다. 듀얼 스크린에 문제가 생겨서 구하고 싶다면 오픈마켓에 풀린 물량이나 중고로 밖에 구할 수가 없다.[* 단 수리는 가능하다.] [[LG V50 ThinQ]]가 그러하듯 LG V50S ThinQ의 듀얼 스크린도 다른 제품과 호환할 계획이 없어서 그런게 아닌가 싶은 점이다. * 본체인 전화와 달리 듀얼 스크린은 방수가 되지 않는다. 듀얼 스크린이 가장 큰 특징인 제품인데도 불구하고, 듀얼 스크린을 별도로 구매할 수 없는 점과 겹쳐서 곤란해질 수도 있으니 구매할 의사가 있다면 주의해야 한다. * 안드로이드 12 업데이트가 되고 나서도 HEIF 촬영을 지원하지 않는다. 갤럭시는 안드로이드 10부터 지원하던 기능이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LG V50S ThinQ, version=247)] [[분류:LG G 시리즈]][[분류:LG V 시리즈]][[분류:LG의 기기별/논란 및 문제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