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LG V 시리즈)] ||<-2> [br]{{{+5 {{{#c30452,#fb5093 '''LG V35'''}}}}}}{{{-1 {{{#c30452,#fb5093 '''^^ThinQ^^''' }}}}}} [br] {{{-1 {{{#c30452,#fb5093 '''LM-V350''' }}}}}} [br]{{{-1 {{{#c30452,#fb5093 '''알아서 생각하고 실감나게 들려주고 제대로 보여준다.''' }}}}}}[br] [br] || ||<-2>[[파일:LM_V350_All_LGus.jpg|width=100%]]|| || {{{#e6e6fa '''뉴 오로라 블랙'''}}} || {{{#c0c0c0 '''뉴 플래티넘 그레이'''}}} || ||<-2><:>[[http://www.lge.co.kr/lgekor/product/mobile/smart-phone/productDetail.do?cateId=0210&prdId=EPRD.328451|{{{#FFFFFF --한국 LG전자 V35 ThinQ 공식 사이트--}}}]]|| [목차] == 개요 == [[LG전자]]가 2018년 5월에 공개한 [[안드로이드(운영체제)|안드로이드]] [[스마트폰]]으로, 2017년 8월에 공개한 [[LG V30 ThinQ]]의 파생 모델이다. == 사양 == * 특별판 모델인 SIGNATURE Edition에 해당하는 부분에 '''{{{#ffe08c 노란색 바탕}}}'''으로 표기. {{{#!wiki style="word-break: keep-all" ||프로세서||<-3>[[퀄컴 스냅드래곤 8]]45 SDM845 Platform.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구성 내용 확인 ] ||<|2> [[CPU]] ||[[ARM big.LITTLE]]↓ || ||[[퀄컴/마이크로아키텍처#Kryo 3XX|Qualcomm Kryo 385]] Gold Quad-Core 2.8 GHz [[CPU]][br][[퀄컴/마이크로아키텍처#Kryo 3XX|Qualcomm Kryo 385]] Silver Quad-Core 1.7 GHz [[CPU]] || || [[GPU]] ||[[퀄컴 Adreno]] 630 710 MHz [[GPU]] || || NPU & DSP ||[[퀄컴]] Hexagon 685 DSP || || Sensor Hub ||DSP 대체 || || 통신 모뎀 ||[[Qualcomm Snapdragon X20 LTE Modem]] ||}}}}}}|| ||<|2>[[메모리]]||<|2>6 GB LPDDR4X SDRAM||64 GB [[UFS]] 2.1 규격 내장 메모리||<|2>[[Secure Digital|micro SDXC]] (2 TB 공식 지원)|| ||256 GB [[UFS]] 2.1 규격 내장 메모리|| ||[[디스플레이|디스[br]플레이]]||<-3>6.0인치 18:9 비율 [[해상도/목록|2880 x 1440]] OLED FullVision (537 ppi){{{#!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세부 정보 확인 ] || 공급사 ||[[LG디스플레이]] || || 픽셀배열 ||다이아몬드 형태 RG-BG [[펜타일]] 서브픽셀 방식 || || 패널정보 ||Plastic 소재의 [[AMOLED]] || || 부가정보 ||최대 주사율 60 Hz, 고릴라 글래스 5, [[HDR]]10 지원 ||}}}}}}[br]멀티터치 지원 정전식 [[터치 스크린]]|| ||[[네트워크]]||<-3>{{{#!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4G Network ] [[LTE]] Cat.18·13 FDD & [[TD-LTE|TDD]][br][[VoLTE]] 지원}}}}}}{{{#!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3G Network ] [[4G|HSPA+]] 42Mbps, [[WCDMA|HSDPA & HSUPA & UMTS]][br]Wideband Audio 및 음성 통신 지원}}}}}}{{{#!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2G Network ] [[GSM|GSM & EDGE]][br]음성 통신 지원}}}}}}|| ||근접통신||<-3>[[Wi-Fi]] 1/2/3/[[Wi-Fi 4|4]]/[[Wi-Fi 5|5]], [[블루투스]] 5.0 / [[aptX]] HD Codec, [[NFC]], [[LG 페이|WMC]]|| ||위성항법||<-3>[[GPS|GPS & A-GPS]], [[GLONASS]]|| ||[[카메라]]||<-3>전면 800만 화소[br]{{{#!folding [ 후면 카메라 정보 - 듀얼 렌즈 구성 ] ||기본 ||[[OIS]] 지원 || 1,600만 화소|| [[위상차 검출 AF]]||<|2>[[레이저|LASER]] [[AF]] 및 [[LED]] [[플래시(카메라)|플래시]] || ||광각 || || 1,600만 화소|| ||}}}|| ||[[배터리]]||<-3>내장형 Li-Ion 3300 mAh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충전 기술 정보 ] ||<-2> 유선고속충전 ||퀄컴 퀵 차지 3.0 (16.2 W) || ||<|2> 무선[br]충전 || 고속 ||Qi(WPC 1.2.4) (9 W) || || 일반 ||Qi(WPC 1.2.4) (5 W) ||}}}}}}|| ||[[운영체제]]||<-3>[[안드로이드(운영체제)/버전|안드로이드]] 8.0 (Oreo) → 9 (Pie) → 10[br][[LG UX]] 7.0 → 9.0 → 9.0 [[LG UX#s-2.9.1|VELVET UI]]|| ||<|2>규격||<-3>75.4 x 151.7 x 7.3 mm, 157 g|| ||<-3>75.4 x 151.7 x 7.6 mm, 187 g|| ||<|2>색상[* 한국 출시 당시 기본 색상에 볼드 처리]||<-3>'''뉴 오로라 블랙'''|| ||<-3>'''블랙''', '''화이트'''|| ||단자정보||<-3>[[USB 3.0|USB 3.1 Gen1]] Type-C x 1, 3.5 mm 단자 x 1|| ||생체인식||<-3>[[지문인식]] - 에어리어 방식 별도 센서 탑재[br]얼굴인식 - 전면 카메라 인식 방식[br]음성인식 - 내장 마이크 인식 방식|| ||<|2>기타||<|2><-2> IP68 등급 [[방수]] 방진 지원 및 MIL-STD-810G 인증 취득[br]DTS:X 음향 기술 탑재[br]지상파 HD [[DMB]] 및 고화질 스마트 [[DMB]] 지원, [[FM#s-2]] [[라디오]] 지원 || - || ||[[뱅 앤 올룹슨|B&O]] 튜닝 및 기술 탑재|| ||<-4> '''한국 내수용 모델인 LM-V350N 이외 지역 하드웨어 사양'''{{{#!wiki style="margin: 0 -12px; border-right: 2px solid transparent; border-left: 2px solid transparent" {{{#181818,#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프로세서 ||[[퀄컴 스냅드래곤 8]]45 SDM845 Platform.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구성 내용 확인 ] ||<|2> [[CPU]] ||[[ARM big.LITTLE]]↓ || ||[[퀄컴/마이크로아키텍처#Kryo 3XX|Qualcomm Kryo 385]] Gold Quad-Core 2.8 GHz [[CPU]][br][[퀄컴/마이크로아키텍처#Kryo 3XX|Qualcomm Kryo 385]] Silver Quad-Core 1.7 GHz [[CPU]] || || [[GPU]] ||[[퀄컴 Adreno]] 630 710 MHz [[GPU]] || || NPU & DSP ||[[퀄컴]] Hexagon 685 DSP || || Sensor Hub ||DSP 대체 || || 통신 모뎀 ||[[Qualcomm Snapdragon X20 LTE Modem]] ||}}}}}} || ||[[메모리]] ||6 GB LPDDR4X SDRAM, 64 / 128 GB [[UFS]] 2.1 규격 내장 메모리, [[Secure Digital|micro SDXC]] (2 TB 공식 지원) || ||[[디스플레이|디스[br]플레이]] ||6.0인치 18:9 비율 [[해상도/목록|2880 x 1440]] OLED FullVision (537 ppi){{{#!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세부 정보 확인 ] || 공급사 ||[[LG디스플레이]] || || 픽셀배열 ||다이아몬드 형태 RG-BG [[펜타일]] 서브픽셀 방식 || || 패널정보 ||Plastic 소재의 [[AMOLED]] || || 부가정보 ||최대 주사율 60 Hz, 고릴라 글래스 5, [[HDR]]10 지원 ||}}}}}}[br]멀티터치 지원 정전식 [[터치 스크린]] || ||[[네트워크]]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4G Network ] || '''기본지원''' || [[LTE]] Cat.18·13 FDD & [[TD-LTE|TDD]][br][[VoLTE]] 지원 || || '''{{{#ffff00 선택지원}}}''' || 없음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3G Network ] || '''기본지원''' || [[4G|HSPA+]] 42Mbps, [[WCDMA|HSDPA & HSUPA & UMTS]][br]Wideband Audio 및 음성 통신 지원 || || '''{{{#ffff00 선택지원}}}''' || 없음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2G Network ] || '''기본지원''' || [[GSM|GSM & EDGE]][br]음성 통신 지원 || || '''{{{#ffff00 선택지원}}}''' || 없음 ||}}}}}} || ||근접통신 ||[[Wi-Fi]] 1/2/3/4/5, [[블루투스]] 5.0 / [[aptX]] HD Codec, [[NFC]] || ||위성항법 ||[[GPS|GPS & A-GPS]], [[GLONASS]] || ||[[카메라]] ||전면 800만 화소[br]{{{#!folding [ 후면 카메라 정보 - 듀얼 렌즈 구성 ] ||기본 ||[[OIS]] 지원 || 1,600만 화소|| [[위상차 검출 AF]]||<|2>[[레이저|LASER]] [[AF]] 및 [[LED]] [[플래시(카메라)|플래시]] || ||광각 || || 1,600만 화소|| ||}}} || ||[[배터리]] ||내장형 Li-Ion 3300 mAh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충전 기술 정보 ] ||<-2> 유선고속충전 ||퀄컴 퀵 차지 3.0 (16.2 W) || ||<|2> 무선[br]충전 || 고속 ||Qi(WPC 1.2.4) (9 W) || || 일반 ||Qi(WPC 1.2.4) (5 W) ||}}}}}} || ||[[운영체제]] ||[[안드로이드(운영체제)/버전|안드로이드]] 8.0 (Oreo) → 9.0 (Pie) → 10[br][[LG UX]] 7.0 → 9.0 → 9.0 [[LG UX#s-2.11.1|VELVET UI]] || ||규격 ||75.4 x 151.7 x 7.3 mm, 157 g || ||색상[* 제품 공개 당시 같이 공개된 기본 색상에 볼드 처리] ||'''뉴 오로라 블랙''', '''뉴 플래티넘 그레이''' || ||단자정보 ||[[USB 3.0|USB 3.1 Gen1]] Type-C x 1, 3.5 mm 단자 x 1 || ||생체인식 ||[[지문인식]] - 에어리어 방식 별도 센서 탑재[br]얼굴인식 - 전면 카메라 인식 방식[br]음성인식 - 내장 마이크 인식 방식 || ||기타 ||IP68 등급 [[방수]] 방진 지원 및 MIL-STD-810G 인증 취득[br]DTS:X 음향 기술 탑재, [[FM#s-2]] [[라디오]] 지원 || }}}}}}}}} || }}} == 상세 == 2015년 [[LG V10|V10]]을 시작으로, 프리미엄 [[스마트폰]] 라인업 강화 목적으로 공개된 [[LG전자]]의 [[안드로이드(운영체제)|안드로이드]] 플래그십 [[스마트폰]] 시리즈인 [[LG V 시리즈|V 시리즈]]의 2017년도 모델이자 세 번째 모델인 [[LG V30 ThinQ|V30 ThinQ]]의 성능 강화형 파생 모델이다. 여기에 [[LG전자]]의 인공지능 기술 브랜드인 [[LG ThinQ 시리즈|ThinQ 시리즈]]에도 포함되었다. 전반적인 디자인은 본가 모델인 [[LG V30 ThinQ|V30 ThinQ]]부터 내려오는 패밀리룩을 이루고 있으며 본가 모델인 [[LG V30 ThinQ|V30 ThinQ]]와 동일하며 기기 규격까지 동일하다.[* 다만, 완전히 동일하지는 않다. 후면 카메라 모듈 부분과 지문인식 센서의 위치가 [[LG V30 ThinQ|V30 ThinQ]]보다 미묘하게 아래로 배치되었다.] 따라서 본가 모델인 [[LG V30 ThinQ|V30 ThinQ]]과 동일하게 18:9 비율의 [[디스플레이]]를 탑재해 기기의 전면 면적 대부분을 [[디스플레이]]가 차지하고 있다. 기본 색상은 뉴 오로라 블랙, 뉴 플래티넘 그레이로 총 2종이다. 사양은 우선 AP로 [[퀄컴 스냅드래곤 8]]45 SDM845를 사용한다. [[퀄컴/마이크로아키텍처#Kryo 3XX|Qualcomm Kryo 385]] Gold 쿼드코어 [[CPU]]와 [[퀄컴/마이크로아키텍처#Kryo 3XX|Qualcomm Kryo 385]] Silver 쿼드코어 [[CPU]]에 [[ARM big.LITTLE 솔루션|big.LITTLE 솔루션]]을 적용한 HMP 모드 지원 옥타코어 [[CPU]]와 [[퀄컴 Adreno]] 630 [[GPU]]를 사용한다. 이는 본가 모델인 [[LG V30 ThinQ|V30 ThinQ]]에 탑재된 [[퀄컴 스냅드래곤 8]]35 MSM8998의 후속 모바일 AP이며 [[LG G7 ThinQ|G7 ThinQ]]에 탑재된 것과 동일한 모바일 AP이다. RAM은 LPDDR4X SDRAM 방식이며 6 GB다. 내장 메모리는 [[UFS]] 2.1 규격의 낸드 플래시를 사용하며 64 GB와 128 GB로 이원화되었다. 또한, micro SD 카드로 용량 확장이 가능하다. 디스플레이는 6.0인치 18:9 비율의 2880 x 1440 해상도를 지원하며 패널 형식은 Plastic [[AMOLED]] 방식의 OLED FullVision이다. 16:9 비율인 WQHD 해상도에 비해 세로 부분이 확장된 해상도로, [[LG전자]]는 이를 Quad HD+라고 명명해서 홍보하고 있다. 지원 [[LTE]] 레벨은 Cat.18·13으로 다운로드는 Cat.18를 적용해 최대 1.2 Gbps를 보장하고 업로드는 Cat.13을 적용해 최대 150 Mbps를 보장한다. 배터리 용량은 내장형 3,300 mAh이다. 또한, 퀄컴 퀵 차지 3.0 규격의 고속충전 기술을 지원하며 Qi 규격의 자기유도 방식인 [[무선충전]] 기술 및 고속 [[무선충전]] 기술을 지원한다. 후면 [[카메라]]는 [[OIS]] 기술이 적용된 [[소니 엑스모어]] RS IMX351 센서의 카메라 모듈에 1,600만 화소 [[카메라]]를 71도의 화각으로 설정해 기본 카메라로 탑재하고 별도로 [[소니 엑스모어]] RS IMX351 센서의 1,600만 화소 [[카메라]]를 107도의 화각으로 설정해 광각 카메라로 탑재하여 이 둘로 듀얼 렌즈를 구성했다. 이는 본가 모델인 [[LG V30 ThinQ|V30 ThinQ]]와 비교할 때 광각 카메라의 화소수가 [[LG G7 ThinQ|G7 ThinQ]]와 동일하게 높아졌으나 120도 였던 화각이 줄어들었다. 그리고 기본 카메라는 [[위상차 검출 AF]]를 지원하며 추가적으로 [[레이저|LASER]] [[AF]] 센서가 탑재되었다. 또한, 센서 크기는 기본 [[카메라]]와 광각 [[카메라]] 모두 1/3.09인치이며 조리개값은 기본 카메라가 F/1.6이고 광각 카메라가 F/1.9이다. 전면 [[카메라]]는 옴니비전 OV8858 센서의 800만 화소 [[카메라]]를 80도의 화각으로 설정해 탑재했다. 이는 본가 모델인 [[LG V30 ThinQ|V30 ThinQ]]보다 화소수가 높아진 것이다. 또한, 조리개값은 F/1.9이다. 단자 규격은 [[USB]] Type-C를 입출력 단자로 사용하며 전송 규격으로 최대 [[USB 3.0|USB 3.1 Gen1]]까지 지원한다. 그리고 사운드 출력을 위한 3.5 mm 단자가 탑재되었다. 에어리어 방식의 [[지문인식]] 센서가 후면 전원 버튼에 탑재되어 있다. 그리고 방수 방진을 지원한다. 등급은 IP68로, 이는 방진 등급은 최고레벨이지만, 방수 등급은 IPX9K 등급보다 1단계 낮다. 여기에 미국 육군의 MIL-STD-810G 인증을 받았다. 기기 공개 당시 안드로이드 8.0 오레오를 기본으로 탑재했다. 구체적인 운영체제 버전은 8.0.0이다. === 기능 === * [[LG 페이]] WMC 모듈이 기기 후면에 [[NFC]] 센서와 같이 중앙부에 내장되어 있으며 일부 국가 및 지역 출시 기기에 탑재했다고 한다. 또한, [[Q보이스]]를 이용해서 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 * [[Always On Display]] 디스플레이가 꺼진 상태에서 전원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낮은 밝기로 디스플레이가 켜져 있으며 시계와 알림을 보여준다. 시계 외에 특정 텍스트로 바꾸는 것도 가능하다. 전면 상단에 위치한 조도 센서로 기기 주변의 밝기를 인지하여 [[Always On Display]]의 밝기를 변경하며 이를 아예 가려버리면 기능 활성화 유무와는 상관없이 디스플레이가 꺼진다. 이에 대해 기기가 사용자의 주머니 안에 있거나 바닥에 기기가 뒤집혀 있는 등 디스플레이를 직접 볼 수 없는 상황에서 전력 소모를 낭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으로 보인다. 또한, 18:9 비율의 디스플레이 적용으로 탑재되지 못한 세컨드 스크린의 기능을 보완해주고 있다. * 고속 [[무선충전]] 기술 Qi 규격의 [[무선충전]] 기술을 지원하며 본가 모델인 [[LG V30 ThinQ|V30 ThinQ]]와 동일하게 Extended Power Profile를 지원해 9 W의 최대 입력을 가지면서 Qi 규격의 고속 [[무선충전]] 기술을 지원한다. * [[LG ThinQ 시리즈#s-2.1.2|AI 기능 강화]] [[구글 어시스턴트|어시스턴트]] 기반 및 [[Q보이스]] 보조로 구성되었다. SFFVR 기술이 적용되면서 최대 5 m 떨어진 곳에서도 음성 명령을 인식할 수 있고 주변 소음과 음성 명령을 분리해서 인식할 수 있다고 한다.[* 이를 이용해서 AI 스피커와 유사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 * 구글 렌즈 스마트폰 카메라를 사용하여 주변 상황에 대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이 역시 Q렌즈[* [[LG전자]]가 자체 개발한 기능으로 구글 렌즈와 유사하게 카메라 촬영 후 피사체의 정보, 관련 제품 쇼핑, QR 코드 분석을 해준다.]가 보조 역할로 사용된다. * Q링크 [[LG전자]]가 출시한 가전 기기를 포함한 여러 IoT 전자기기를 통합 관리하는 기능이다. 다만, 가전 기기역시 스마트폰에서 제어받는 기능을 지원해야 한다. 특히, 최초 등록 시 복잡한 절차 없이 자동으로 탐색해 등록해준다고 한다. * 생체인식 잠금해제 생체인식 기술을 이용해 기기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지문인식 센서를 이용한 것을 포함해 사용자 편의성을 위한 얼굴인식 잠금해제 기능을 별도로 탑재했다. * 사운드 강화 [[LG G7 ThinQ|G7 ThinQ]]와 동일하게 DTS:X 음향 기술을 탑재했으며 Hi-Fi를 위한 쿼드 DAC인 [[ESS]]의 Sabre ES9218P를 외장 DAC 형태로 추가 탑재되었다. 하지만 [[LG G7 ThinQ|G7 ThinQ]]와 마찬가지로 본가 모델인 [[LG V30 ThinQ|V30 ThinQ]]와는 다르게 [[뱅 앤 올룹슨]]의 기술은 적용되지 않았다. * 슈퍼 브라이트 카메라 저조도 촬영 시 동일한 기능이 탑재되어 있는 [[LG G7 ThinQ|G7 ThinQ]] 기준으로 [[LG G6|G6]]보다 약 4배 가량 더 밝게 촬영할 수 있게 해준다고 한다. 특히, [[LG ThinQ 시리즈#s-2.1.2|AI 기능]]을 이용해 기기가 자동으로 설정을 변경해준다고 한다. * 핑거 터치 안드로이드 9 파이 업그레이드를 통해 정식으로 지원한다. 후면 카메라 하단에 위치한 [[지문인식]] 센서를 이용해 기기의 잠금 해제 뿐만이 아니라 기기 상단바를 내리거나 올리는 제스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 출시 == [[LG G7 ThinQ|G7 ThinQ]]와 마찬가지로 저용량 모델을 __기본형 모델__로 취급하고 고용량 모델을 {{{#ff7f00 플러스 모델}}}로 취급한다.[* 해당 기기로 2018년 5월 기준, 64 GB 내장 메모리 모델을 지칭하고 고용량 모델은 128 GB 내장 메모리 모델을 지칭한다.] === 한국 시장 === 2018년 5월 10일, 국립전파연구원에서 한국 내수용 모델로 추정되는 기기인 LM-V350N이 [[http://rra.go.kr/ko/license/A_b_popup.do?app_no=201817210000104844|전파인증을 통과]]했다. [[LG G7 ThinQ|G7 ThinQ]]와 마찬가지로 본가 모델인 [[LG V30 ThinQ|V30 ThinQ]]와는 다르게 단일 기기로 전파인증을 통과하면서 [[SK텔레콤]], [[KT]] 그리고 [[LG U+]]를 통해 동일한 하나의 기기만 공급되는 것으로 보인다. 2018년 7월 5일, [[https://social.lge.co.kr/newsroom/lg_v35-thinq_0705/|한국 출시가 정식으로 발표]]되었다. [[SK텔레콤]], [[KT]] 그리고 [[LG U+]]를 통해 출시되며 [[단말기 자급제]]로도 출시된다. __기본형 모델__이 출시되고 뉴 오로라 블랙만 출시되며 출고가는 1,048,300 원으로 책정되었다. 이는 본가 모델인 [[LG V30 ThinQ|V30 ThinQ]]의 {{{#ffbb00 '''기능 강화 모델'''}}} 중 __기본형 모델__과 동일한 출고가로 책정된 것이다. 그리고, 2018년 10월 24일 이후 기기 구매자들을 대상으로 [[LG V40 ThinQ|V40 ThinQ]]와 동일하게 [[https://www.lgecare.co.kr/lcp/main.do|보상 프로모션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 VS [[LG V30 ThinQ|V30 ThinQ]] ==== 본가 모델인 [[LG V30 ThinQ|V30 ThinQ]]는 이미 2018년 1분기에 파생 모델로 [[LG V30S ThinQ|V30S ThinQ]]가 출시된 전례가 있을 정도[* 단, [[LG V30S ThinQ|V30S ThinQ]]는 [[LG V30 ThinQ|V30 ThinQ]]와 기기 설계 및 행정적으로 아무런 차이가 없다. 단적으로, 한국 출시를 하려면 국립전파연구원을 통해서 전파인증을 받아야 하는데 [[LG V30S ThinQ|V30S ThinQ]]는 [[LG V30 ThinQ|V30 ThinQ]]와 완전히 동일하기 때문에 전파인증 자체를 받지 않았다.]로 자신과 동급 내지 동급 이상의 성능을 가진 파생 모델들이 출시되고 있다. 이는 [[LG전자]]의 [[http://news.newsway.co.kr/news/view?tp=1&ud=2018012417401086861|기존 기기들의 플랫폼 및 모듈화를 통해 수익 구조를 개편]]하기 위한 전략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즉, 새로운 기기를 개발하는데 잘 만든 기기를 기반으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개선을 중점을 두고 이를 통해 원가 절감 및 사후지원의 난이도를 낮추겠다는 것이다. 다만, 이러한 정책으로 인해 비슷한 콘셉트를 가지고 소프트웨어상 큰 차이점이 없는 기기들이 단 기간 내로 다양하게 출시되면서 수요 잠식이 발생해 서로 경쟁아닌 경쟁을 펼치고 있다. 우선, V35 ThinQ가 우위에 있는 요인은 다음과 같다. * [[퀄컴 스냅드래곤 8]]45 SDM845를 모바일 AP로 탑재함. * [[LG V30 ThinQ|V30 ThinQ]] & [[LG V30S ThinQ|V30S ThinQ]]는 [[퀄컴 스냅드래곤 8]]35 MSM8998을 탑재했었음. * RAM 용량이 4 GB에서 6 GB로 증가. * [[LG V30S ThinQ|V30S ThinQ]]의 RAM 용량은 6 GB였음. * [[LG G7 ThinQ|G7 ThinQ]]와 동일한 카메라 탑재로 인한 후면 카메라 중 광각 카메라와 전면 카메라의 카메라 화소수가 수치상 각각 300만 화소 씩 증가. * 안드로이드 8.0 오레오를 기본으로 탑재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역시 [[LG UX]] 7.0를 기본으로 탑재. * LG전자 공식 발표에 의해 안드로이드 9 파이 업그레이드 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LG UX]] 8.0로 업데이트 되기 때문에 사실상 무의미해졌음. * 안드로이드 10 업그레이드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LG UX]] 9.0으로 업데이트 되었기에 다시 우위를 차지함. 반면, [[LG V30 ThinQ|V30 ThinQ]] & [[LG V30S ThinQ|V30S ThinQ]]이 우위에 있는 요인은 다음과 같다. * [[뱅 앤 올룹슨]] 기술 탑재. * [[LG V30S ThinQ|V30S ThinQ]]에 한정해서 내장 메모리 옵션에 256 GB가 존재. * 참고로 V35 ThinQ 역시 내장 메모리가 128 GB인 {{{#ff7f00 플러스 모델}}}이 존재하지만 한국 시장에는 출시되지 않았다. * 듀얼 렌즈 구성의 후면 카메라 중 광각 카메라의 화각이 120도로 설정됨. * 참고로 V35 ThinQ의 듀얼 렌즈 구성의 후면 카메라 중 광각 카메라의 화각은 107도이다. * 출고가가 인하되어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구매가가 형성됨. === 한국 시장 이외 === LG V35 ThinQ는 원래 LG전자의 라인업 계획 상에는 없었으나 [[AT&T]]의 요구에 따라 출시된 기기이다. 따라서 2018년 6월 중, AT&T를 통해서 미국에서 __기본형 모델__만 [[http://www.lgnewsroom.com/2018/05/lg-v35-thinq-a-faster-smarter-v-series-phone/|가장 먼저 출시]]되었다. 이는 [[AT&T]]가 [[LG G7 ThinQ|G7 ThinQ]]를 출시하지 않는 대신 V30의 상위형 모델을 납품받기로 결정했기 때문이다. 한국 시장과는 달리 미국 시장에는 [[LG G7 ThinQ|G7 ThinQ]]가 2018년 6월 2일에 출시되었다. 즉, 시기적으로 두 기기가 일주일 차이를 두고 동시에 출시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여기서 한 이동통신사가 형제 모델로 칭할 수 없을 정도로 성격이 전혀 다르지만 비슷한 성능을 가진 두 개의 기기를 동시에 출시할 경우 화력 분산으로 인한 수요 잠식이 일어날 문제가 있기 때문에 둘 중 하나를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이후 아시아 시장과 중동 시장 그리고 아프리카 시장 중 한정된 국가 혹은 지역에만 출시된다고 밝혔다. 실제로 [[일본]]에는 출시되지 않았다. 이는 [[LG전자]]의 2018년 플래그십 [[스마트폰]]이자 상반기 공략 [[스마트폰]]이 [[LG G7 ThinQ|G7 ThinQ]]이기 때문에 수요 잠식을 피하기 위한 것으로 추정된다. === 특별판 모델 === ==== SIGNATURE Edition ==== || [[파일:LM_V350-SIGNATURE_1_LGSocial.jpg|width=100%]] || || [[http://www.lge.co.kr/lgekor/product/mobile/smart-phone/productDetail.do?cateId=0210&prdId=EPRD.331636|{{{#ffffff 한국 LG전자 SIGNATURE Edition 공식 사이트}}}]] || 2018년 7월 29일, [[LG전자]]가 가전 기기 시장에서 [[LG전자]]만의 플래그십 브랜드 확충을 위해 공개한 [[LG전자]]의 프리미엄 가전 기기 브랜드인 [[LG 시그니처|SIGNATURE 시리즈]]와 연계해 공개한 특별판 모델로 [[LG V30 ThinQ|V30 ThinQ]] 기반으로 공개된 [[LG V30 ThinQ#s-4.3.1|SIGNATURE Edition]]의 후속작이다.[* 다만, 정식 발매명은 동일하다. '2' 같은 그 흔한 수사어나 '2018 에디션' 같은 단어들을 접미시키지 않았다. ~~시그니처 '''에디션''' 2018 '''에디션''' 하면 이상하니까~~ [[https://social.lge.co.kr/newsroom/lg_signature_ph_0729/|공식 보도자료]]에서도 두 번째 스마트폰으로만 지칭할 뿐 정식 발매명은 그대로이다.] 애시당초 기반이 되는 기기가 [[LG V30 ThinQ|V30 ThinQ]]의 파생 모델이기 때문에 전작인 [[LG V30 ThinQ#s-4.3.1|SIGNATURE Edition]]과 디자인 면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다만 듀얼 렌즈 구성의 후면 카메라에서 카메라 모듈 사이 간격이 조금 줄어들었고 일명 '카툭튀' 디자인도 사라졌다.] 전작인 [[LG V30 ThinQ#s-4.3.1|SIGNATURE Edition]]과 동일하게 후면에는 특수 가공한 [[지르코늄]][* 마모와 부식에 강한 금속으로 독성이 없고 인체 친화도가 높다.] 세라믹 소재를 사용해 긁힘 및 흠집이 잘 생기지 않는다고 한다. 또한, [[뱅 앤 올룹슨]]의 튜닝 및 기술이 추가로 들어가며 내장 메모리 용량 역시 256 GB라고 한다. 여기에 [[뱅 앤 올룹슨]]의 베오플레이 H9i를 추가로 제공한다. 2018년 8월 13일에 [[https://social.lge.co.kr/newsroom/lg_signature_ph_0729/|한국 시장에 출시]]되고 이동통신사를 통해서 출시되지 않으며 [[단말기 자급제]]로만 출시된다고 한다. 또한, 전작인 [[LG V30 ThinQ#s-4.3.1|SIGNATURE Edition]]과 동일하게 300 대 한정 판매로만 출시되고 A/S 시 전담 상담 요원이 배치되며 사용자가 원할 시 기기 후면에 사용자의 이름을 레이저로 새겨주는 서비스도 함께 제공된다고 한다. 출고가는 전작인 [[LG V30 ThinQ#s-4.3.1|SIGNATURE Edition]]과 동일하게 '''1,999,800 원'''으로 책정되었다. 다만, 전작인 [[LG V30 ThinQ#s-4.3.1|SIGNATURE Edition]]과 동일하게 한국 시장에서만 한정적으로 판매될 것이라 밝힘에 따라 한국 외 국가 혹은 지역 시장에는 출시가 진행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 소프트웨어 지원 == === 제조사 공식 === 안드로이드 8.0 오레오를 기본으로 탑재한 [[스마트폰]]이며 안드로이드 8.0 오레오의 기능 중 하나인 [[안드로이드 트레블|Treble]]이 기본적으로 적용되어 있다. ==== [[안드로이드 오레오|8.0 / 8.1 오레오]] 마이너 업데이트 ==== 2018년 7월 11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LM-V350N의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8.0.0이며 빌드 번호는 v10i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4K UHD 60 fps 동영상 촬영을 지원하게 되었다. 2018년 8월 8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LM-V350N의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8.0.0이며 빌드 번호는 v10l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8년 7월 1일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4K UHD 60 fps 동영상 촬영 시 일부 모드에서 노이즈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개선되었고 음성 통화 시 소리가 끊기는 현상과 USB Type-C 입출력 단자에 물기나 이물질이 감지될 때 해결 방법에 대한 안내가 나오도록 개선되었다. 2018년 9월 5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LM-V350N의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8.0.0이며 빌드 번호는 v10n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8년 8월 1일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음성 통화 시 소리가 끊겨서 들리는 현상이 개선되었다. 2018년 10월 17일, [[LG전자]]가 공식 사이트를 통해 [[https://www.lge.co.kr/lgekor/contents/mobile/swUpgradeDetail.do?swSeq=381|2018년 10월 펌웨어 업데이트 계획 목록]]을 게시하면서 한국 내수용 모델인 LM-V350N의 2018년 10월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업데이트를 실시할 것을 예고했다. 그러나 동년 10월 31일 기준, 한국 내수용 모델인 LM-V350N의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마이너 업데이트는 실시되지 않아서 사실상 10월 중 실시는 지켜지지 않았다. 2018년 10월 31일, [[LG전자]]가 공식 사이트를 통해 [[https://www.lge.co.kr/lgekor/contents/mobile/swUpgradeDetail.do?swSeq=461|2018년 11월 펌웨어 업데이트 계획]]을 게시하면서 한국 내수용 모델인 LM-V350N의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마이너 업데이트를 4분기 중 실시할 것을 예고했다. [[LG G7 ThinQ|G7 ThinQ]]와 동일하게 기본 캘린더 [[애플리케이션]]에 날짜 구분선 추가와 기본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에 스마트 도구 기능 추가를 예고했다. 2018년 11월 7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LM-V350N의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8.0.0이며 빌드 번호는 v10p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8년 10월 1일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음성통화 품질이 향상되었고 기본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에 스마트 도구 기능이 추가되었다. 다만, 알 수 없는 이유로 [[SK텔레콤]]과 [[KT]]를 통해서만 우선적으로 실시되었다. 2018년 11월 27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LM-V350N의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8.0.0이며 빌드 번호는 v10q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8년 10월 1일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일부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진 표시 시 오류가 발생하는 현상이 개선되었다. 여담으로, 직전 펌웨어 업데이트가 실시되지 않은 [[LG U+]]를 통해서는 직전 펌웨어의 변경 내역도 함께 적용되었다. 다만, 알 수 없는 이유로 [[단말기 자급제]]로 판매된 기기는 실시되지 않았다. 이후 동년 12월 3일, [[단말기 자급제]]로 판매된 기기의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마이너 업데이트가 동일한 내용으로 실시되었다. 2019년 2월 12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LM-V350N의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8.0.0이며 빌드 번호는 v10s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9년 1월 1일이다. 다만, 알 수 없는 이유로 [[KT]]를 통해서는 실시되지 않았다. 여담으로,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HDMI]]를 통한 유선 미러링을 비공식적으로 지원한다. 이후 동년 2월 14일, [[KT]]를 통해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마이너 업데이트가 동일한 내용으로 실시되었다. ==== [[안드로이드 파이|9 파이]] ==== 2019년 1월 17일, [[LG전자]]의 공식 [[애플리케이션]]인 퀵 헬프를 통해 한국 시장에서의 안드로이드 9 파이 업그레이드 대상 기기 목록을 공개하면서 2019년 1분기 중에 실시됨을 예고했다. 2019년 3월 27일, [[LG전자]]가 [[https://www.lge.co.kr/lgekor/contents/mobile/swUpgradeDetail.do?swSeq=1066|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조정 계획을 공지]]하면서 한국 시장에서의 안드로이드 9 파이 업그레이드가 기존 일정 보다 최소 1개월 가량 지연되어 동년 4월에 실시됨을 예고했다. 2019년 3월 31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LM-V350N의 안드로이드 9 파이의 [[http://opensource.lge.com/osSch/list?types=ALL&search=LMV350N|소스 코드]]가 공개되었다. 2019년 4월 23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LM-V350N의 안드로이드 9 파이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최초 운영체제 버전은 9.0.0이며 빌드 번호는 v20c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9년 4월 1일이다. 2019년 9월 17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LM-V350N의 안드로이드 9 파이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9.0.0이며 빌드 번호는 v20e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9년 9월 1일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녹음 등 내장 마이크가 동작하지 않던 현상이 개선되었고 ZRAM 압축 기술을 다시 지원하도록 정책이 변경되었다. 다만, 알 수 없는 이유로 [[LG U+]]를 통해서만 우선적으로 실시되었다. 이후 동년 9월 18일, [[SK텔레콤]]을 통해서도 동일한 내용으로 실시되었고 동년 9월 24일, [[KT]]와 [[단말기 자급제]] 출시 기기를 통해서도 동일한 내용으로 실시되었다. 2019년 11월 19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LM-V350N의 안드로이드 9 파이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9.0.0이며 빌드 번호는 v20f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9년 10월 1일이다. 2020년 1월 7일, [[LG전자]]가 공식 [[애플리케이션]] 퀵헬프를 통해 2020년 1분기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계획을 공지하면서 블루투스 연결 호환성 개선을 예고했다. 2020년 1월 28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LM-V350N의 안드로이드 9 파이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9.0.0이며 빌드 버전은 v20g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20년 1월 1일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가로 모드시 상단바 알림을 통해서 바로 답장하는 기능이 동작하지 않는 현상과 특정 블루투스 기기와의 연결 호환성이 개선되었다. 2020년 4월 16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LM-V350N의 안드로이드 9 파이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9.0.0이며 빌드 버전은 v20h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20년 4월 1일이다. ==== [[안드로이드 10|10]] ==== 2020년 1월 29일, [[LG전자]]의 공식 [[애플리케이션]]인 퀵 헬프를 통해 한국 시장에서의 안드로이드 10 업그레이드 대상 기기 목록을 공개하면서 동년 2분기 중에 실시됨을 예고했다. 2020년 5월 14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LM-V350N의 안드로이드 10의 [[http://opensource.lge.com/osSch/list?types=ALL&search=V350N|소스 코드]]가 공개되었다. 2020년 5월 19일, 미국 내수용 중 [[AT&T]] 모델인 LM-V350AWM의 안드로이드 10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최초 운영체제 버전은 10이며 빌드 번호는 v30c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20년 4월 1일이다. 해당 업그레이드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LG UX]] 9.0으로 업데이트 되었다. 2020년 6월 9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LM-V350N의 안드로이드 10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최초 운영체제 버전은 10이며 빌드 번호는 v30a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20년 5월 1일이다. 해당 업그레이드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LG UX 9.0으로 업데이트 되었다. 2020년 7월 7일, [[LG전자]]의 공식 애플리케이션인 퀵 헬프를 통해 2020년 3분기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공지를 게시하면서 포인트 색상 선택 기능 추가, 볼륨 버튼을 누를 때 볼륨 조절 바 디자인 변경, 통화 팝업 크기가 더 작게 개선되는 등 [[LG VELVET|VELVET]] UI 적용 가능 여부를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여담으로, 포인트 색상 선택 기능은 [[안드로이드 11|(가칭) 안드로이드 R]] 프리뷰에 추가된 기능이다. 2020년 7월 8일, [[LG전자]]의 공식 블로그인 Social LG전자 보도자료를 통해 [[LG VELVET|VELVET]] UI를 안드로이드 10이 적용된 프리미엄 스마트폰 6개 제품으로 확대 적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020년 10월 19일, LG전자의 공식 미디어 플랫폼인 Live LG [[https://live.lge.co.kr/?p=180488|보도자료]]를 통해 [[LG UX#s-2.9.1|VELVET UI]]를 연말까지 적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020년 11월 16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LM-V350N의 안드로이드 10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10이며 빌드 번호는 v30b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20년 10월 1일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변경된 점은 다음과 같다. * 화면 설정에 포인트 색상 선택 기능 추가 * 볼륨 버튼을 누를 때 화면에 제공되는 볼륨 조절 바 디자인 개선 * 통화 팝업 크기가 더 작게 개선 * 휴대폰 자동 재시작 기능에 요일별 설정 추가 * [[RCS(메시지 전송 방식)|RCS]] 채팅+ 메시지 예약 전송 기능 추가 * 제스처 내비게이션 바 디자인 개선 2021년 2월 23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LM-V350N의 안드로이드 10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10이며 빌드 번호는 v30c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21년 1월 1일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변경된 점은 다음과 같다. * [[RCS(메시지 전송 방식)|RCS]] 채팅+에 기업용 메시지 서비스 추가 2021년 10월 말, 한국 내수용 모델인 LM-V350N의 안드로이드 10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10이며 빌드 번호는 v30d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21년 1월 1일이다. == 논란 및 문제점 == ||<-5> '''[[LG전자/플래그십 스마트 전자기기 브랜드|{{{#aaa LG V 시리즈}}}]]의 논란 및 문제점''' || || [[LG V30 ThinQ/논란 및 문제점|LG V30 ThinQ]] || → || '''LG V35 ThinQ''' || → || [[LG V40 ThinQ/논란 및 문제점|LG V40 ThinQ]] || === [[SK텔레콤]] [[T전화]] 사용불가 문제 === 일부 기기에서 기기를 변경하면 [[T전화]]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T전화]]의 경우 [[LG전자]]가 개발에 관여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아니지만 해당 문제가 발생하는 원인이 기기 변경 시 LG 모바일 스위치 [[애플리케이션]]으로 저장된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 T전화 통화가 데이터 백업으로 분류되어서 이후 [[T전화]] 실행 시 충돌 현상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즉, [[LG전자]] 공식 [[애플리케이션]]에 의해서 서드파티 [[애플리케이션]] 작동이 불가능해져버린다. 이에 대해 2018년 9월 1일 기준, [[LG전자]]나 [[SK텔레콤]]의 정식 해결 방안은 없는 상황이지만 LG 모바일 스위치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 T전화 통화를 제외하거나 이미 해당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T전화 통화를 직접 제거한 후 재설치하면 사용이 가능하다고 한다. 이후 2018년 9월 5일, [[SK텔레콤]]이 T전화 [[애플리케이션]] 업데이트를 실시하고 다음 날인 동년 9월 6일, [[LG전자]]도 LG 모바일 스위치 [[애플리케이션]] 업데이트를 실시하면서 해당 문제들이 해결되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LG X5(2018), version=49, paragraph=6.1)] === 그 외 문제점 === * 출고가가 너무 비싸게 책정된 것이 아니냐는 의견이 있다. 한국 시장 기준으로 [[갤럭시 S9+]] 중 256 GB 모델의 출고가와 약 3만 원 밖에 차이가 나지 않으면서 [[갤럭시 S9]]에 비해서 이쪽이 가진 이점도 거의 없기 때문이다. 특히, [[LG V30 ThinQ|V30 ThinQ]]의 성능 강화형 파생 모델이기는 하지만 리프레시 모델의 성격까지 지니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더더욱 높은 출고가는 이해하기 어렵다는 의견이 있다. 리프레시 과정에서 [[뱅 앤 올룹슨]]과의 협력관계가 종료[* 다만, 특별판 모델인 SIGNATURE Edition에는 [[뱅 앤 올룹슨]]의 튜닝 및 기술이 들어간 것으로 보아 협력관계가 종료되었다기 보다는 단순히 인증 비용을 줄이기 위해 원가절감을 한 것이라는 의견이 있다.] 되었고 번들 이어폰 역시 [[LG G6|G6]]와 동일한 물건으로 바뀌면서 원가절감이 된 모습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출시 시점에서 시간이 지난 2018년 11월 10일 기준, [[SK텔레콤]]과 [[LG U+]]에서 공시 지원금을 출시 당시보다 상향 조정하면서 실제 구매가가 낮아진 상황이다. * 디스플레이 패널에 마치 모래알이 박힌 것처럼 보이는, 일명 '모래알 현상이 발생한다, 본가 모델인 [[LG V30 ThinQ|V30 ThinQ]]와 비교할 때 한지 현상은 개선되었지만 전반적인 디스플레이 품질이 비슷한 출고가를 가지고 있는 [[삼성전자]]의 [[갤럭시 노트9]]에 비해 떨어진다고 한다. * 본가 모델인 [[LG V30 ThinQ|V30 ThinQ]]와 동일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탑재했기 때문에 플리커링 현상이 있다고 한다. 다만, 플리커링은 눈의 피로도를 증가시킨다는 단점이 있지만 [[AMOLED]] 디스플레이의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한 방안이다보니 어쩔 수 없다는 의견도 있다.[* 해당 논란은 [[삼성전자]]의 [[AMOLED]] [[디스플레이]] 탑재 [[스마트폰]]들도 동일하게 겪은 바 있다.] * [[LG G7 ThinQ|G7 ThinQ]]와 동일하게 3.5 mm 단자로 사운드 출력을 할 때 끝에서 두번째 극인 라이트 극이 심하게 갈려 마모되는 현상이 발생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문제는 기기 사용자의 규모가 적어서 공론화되지 않고 있으며 2018년 12월 기준으로도 개선된 부품이 나오지 않았다고 한다. * 한국 내수용 모델인 LM-V350N 기준, 안드로이드 9 파이 업그레이드 이후 ZRAM 압축 기술을 더 이상 지원하지 않게 되었다. RAM의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한 기술 중 하나로 사용자가 일정 수준 이상 RAM 용량을 가용하면 기존에 점유하던 데이터를 가상 영역으로 옮겨 압축해서 가용 RAM 용량을 확보하는 기술인데 [[LG전자]]는 안드로이드 9 파이 펌웨어 개발 도중에 ZRAM 압축 기술이 없어도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판단해서 ZRAM 압축 기술을 미지원하도록 정책을 변경했다고 한다. 문제는 실제 사용 환경에서 가용 RAM 용량이 확보되지 않으니 애플리케이션 리프레시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많은 사용자들이 비판 의견을 제기했다. 사실, 이는 본가 모델인 [[LG V30 ThinQ|V30 ThinQ]]도 동일하게 겪고 있는 문제인데 비판 의견이 많아지자 [[LG전자]]는 [[LG V30 ThinQ|V30 ThinQ]]에 대해서 ZRAM 압축 기술 재지원이 포함된 펌웨어 업데이트를 2019년 8월 말에 실시할 것이라 밝혔다. 그러나 이쪽은 별도로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어서 더더욱 비판을 받고 있다. 이후 2019년 8월 30일, [[LG전자]]는 이쪽 역시 ZRAM 압축 기술 재지원이 포함된 펌웨어 업데이트를 실시할 것이라고 밝혔고 실제로 펌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해결되었다. * 2021년 8월 27일, [[구글]] 애플리케이션이 업데이트 된 이후, SKT/KT 통신사에 한해 전화 수발신이 되지 않는 버그가 생겼다. 해결법은 구 버전으로 내리면 된다. == 기타 == * 본가 모델인 [[LG V30 ThinQ|V30 ThinQ]]와 미묘하게 후면 카메라 위치가 달라서 서드파티 케이스 중에서 호환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 현재까지 나온 V시리즈 스마트폰 중에서 절대적인 무게 면에서는 최경량이다.[* 배터리 용량까지 고려하면 [[LG VELVET 2 Pro]]가 더 가볍다. 참고로 최중량은 [[LG V60 ThinQ]]의 214g.] * LG전자 스마트폰 중 몇 안 되게 저장공간이 256GB인 스마트폰이다. == [[/공개 전 루머|공개 전 루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LG V35 ThinQ/공개 전 루머)] [[분류:LG V 시리즈]][[분류:인공지능 디바이스(LG ThinQ 시리즈)]][[분류:스마트 디바이스/2018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