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LG전자 펫네임 적용 플래그십 스마트폰)] || [[LG전자|[[파일:LG 로고 화이트.svg|width=60]]]] || ||{{{#!wiki style="margin-bottom: -5px; margin-left: -10px; margin-right: -10px; margin-top: 5px; text-align: center" [[파일:LG_Rollable.png|height=150]]}}}{{{#!wiki style="margin: -10px -12px; text-align: center; word-break: keep-all" ||[[파일:1px 투명.svg|width=1&height=48]][[파일:LG_Rollable_logo_b.png|width=170&theme=light]][[파일:LG_Rollable_logo.png|width=170&theme=dark]][br]{{{-3 {{{#797979 '''LM-R910N'''}}}}}}||}}}|| >{{{+1 '''세계 최초의 롤러블폰을 드리며'''}}} >---- >이 폰은 혁신을 통한 창조, 꿈을 현실로 바꾸기 위해 >LG의 기술 역량을 집중하여 상상을 현실로 만든 >세계 최초의 롤러블폰이자 LG 스마트폰의 마지막 작품입니다. > >LG를 사랑하고 응원해 주신 귀한 분들께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자, >연구원들이 1,000여 개의 부품을 일일이 조립하고, >한정된 수량만 생산하여 이 폰을 드립니다. > >롤러블폰을 개발한 도전 정신과 혁신 역량은 LG의 전 사업 부문으로 이어져, >고객에게 더 나은 삶을 위한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할 것입니다. > >앞으로도 많은 애정과 관심으로 >LG와 함께해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목차] == 개요 == [[LG전자]]가 개발한 [[안드로이드(운영체제)|안드로이드]] [[롤러블 스마트폰]]이다. 개발 코드 네임은 '''i 프로젝트'''.[* 기존 B에서 i로 프로젝트 명이 바뀌었다. 특이하게도 b와 i 모두 과거에 LG전자가 코드명으로 사용한 전례가 있는데, b는 [[옵티머스 블랙]], i는 [[옵티머스 LTE]]의 코드명이었다.] 2021년 4월 5일, [[LG전자]]가 [[LG전자/MC사업본부|휴대폰 사업]] 종료를 발표하면서 출시가 무산되었다.[[https://live.lge.co.kr/lg-mobile-2021/|#]] 결과적으로 [[LG VELVET 2 Pro]]와 더불어 LG전자 최후의 스마트폰이자 LG전자 최후의 휴대전화로 기록되게 되었으며, 시장 출시가 무산된 제품이기에 일반 사용자에게는 판매되지 못한 채 시제품이 소량 제작되는 것으로 끝나게 되었다. == 유출된 정보 == === 예상되었던 사양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프로세서||<-2>[[퀄컴 스냅드래곤/8XX 라인업#s-3.14.1|퀄컴 스냅드래곤 888 SM8350 Platform.]] || ||[[메모리]]||<-2>12 GB LPDDR5 SDRAM, 256 GB [[UFS]] -.- 규격 내장 메모리|| ||[[디스플레이|디스[br]플레이]]||<-2>6.8-7.4인치 21:9-3:2 비율 [[해상도/목록#s-2.5|2400 x 1600]] 롤러블 디스플레이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M10 oled inline-block;" screen on body 94.2% {{{#!folding [ 세부 정보 확인 ] || 공급사 ||[[BOE]] || || 픽셀배열 ||<-2>다이아몬드 형태 RG-BG [[펜타일]] 서브픽셀 방식 || || 패널정보 ||<-2>- || || 부가정보 ||<-2>- [[HDR]]10+ 지원 ||}}}}}}멀티터치 지원 정전식 [[터치 스크린]]|| ||[[네트워크]]||<-2>{{{#!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5G Network ] || '''기본지원''' ||<-3> 없음 || || '''{{{#ffff00 선택지원}}}''' || [[NR]] Sub-6 FDD[br]SA & NSA 방식 || [[NR]] Sub-6 TDD[br]SA & NSA 방식 || [[NR]] mmWave TDD[br]SA & NSA 방식 ||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4G Network ] || '''기본지원''' ||<-2> 없음 || || '''{{{#ffff00 선택지원}}}''' || [[LTE]] Cat.24 FDD & [[TD-LTE|TDD]][br][[VoLTE]] 지원 || [[LTE]] Cat.19·18 FDD & [[TD-LTE|TDD]][br][[VoLTE]] 지원 ||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3G Network ] || '''기본지원''' || [[4G|HSPA+]] 42Mbps, [[WCDMA|HSDPA & HSUPA & UMTS]][br]Wideband Audio 및 음성 통신 지원 || || '''{{{#ffff00 선택지원}}}''' || 없음 ||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2G Network ] || '''기본지원''' || [[GSM|GSM & EDGE]][br]음성 통신 지원 || || '''{{{#ffff00 선택지원}}}''' || 없음 || }}}}}}|| ||근접통신||<-2>[[Wi-Fi]] [[802.11b|1]]/[[802.11a|2]]/[[802.11g|3]]/[[Wi-Fi 4|4]]/[[Wi-Fi 5|5]]/[[Wi-Fi 6|6]], [[블루투스]] -.- / [[aptX]] Codec, [[NFC]], ANT+, [[LG 페이|WMC]]|| ||위성항법||<-2>-|| ||[[카메라]]||<-2>전면 280만 화소 듀얼 픽셀 [br]{{{#!folding [ 후면 카메라 정보 - 듀얼 렌즈 구성 ] ||기본 ||[[OIS]] 지원 || 6400만 화소||- || [[위상차 검출 AF]]||- || -°||<|3>[[LED]] [[플래시(카메라)|플래시]] || ||망원 ||- || 1200만 화소|| || [[위상차 검출 AF]]||- || -|| ||광각 || || -|| || || || -°||}}}|| ||[[배터리]]||<-2>내장형 Li-Ion 4500 mAh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충전 기술 정보 ] ||<-2> 유선고속충전 ||퀄컴 퀵 차지 5 (-- W) || ||<|2> 무선[br]충전 || 고속 ||- || || 일반 ||Qi(WPC -.-.-) (5 W), AirFuel -.- (- W) ||}}}}}}|| ||[[운영체제]]||<-2>[[안드로이드(운영체제)/버전|안드로이드]] 11 [br][[LG UX]] 10.0 || ||<|2>규격||169.5 x 75.7 x 10.5mm (닫힌 상태)||<|2>285g|| ||169.5 x 109.4 x 10.5 (열린 상태)|| ||색상||<-2>- || ||단자정보||<-2>[[USB 3.0|USB 3.1 Gen2]] Type-C x 1 ([[DisplayPort]] -.- 지원)|| ||생체인식||<-2>[[지문인식]] - 에어리어 방식 별도 센서 탑재|| ||기타||<-2>-- 등급 [[방수]] 방진 지원, [[FM#s-2]] [[라디오]] 지원,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기타 탑재 센서 정보 ] || ||}}}}}}||}}} === 정보 === * LG전자에서 업로드한 [[LG WING]] 온라인 공개행사의 영상 마지막 부분에서 롤러블 스마트폰의 [[https://www.youtube.com/watch?v=jN5aIyF8Vf0,start=1954|티저 영상]]이 공개되었다. * 2020년 9월, LG전자 롤러블 스마트폰의 특허가 특허청 키프리스에 등록되었다. [[https://news.joins.com/article/23863844|#]] * 2020년 11월 2일, 유럽연합 지식재산청(EUIPO)에 'LG Rollable'이라는 상표를 출원하였다. [[https://m.kbench.com/?q=node/215594|보도자료]] * 2020년 11월 12일, LG전자의 새로운 상표, '''LG Rollable'''이 등록되었다. [[https://news.joins.com/article/23919119|보도자료]] * 2020년 12월 2일, LG전자 롤러블 스마트폰의 구동 모습이 안드로이드 개발자 사이트에서 공개되었다. [[https://n.news.naver.com/mnews/hotissue/article/016/0001760346?cid=1087343|보도자료]] * 2021년 1월, CES 2021에서 LG전자 임원이 제품 실물을 선보일 것이라는 관측이 있었다. 다만 CES 2021에서는 티징 수준으로, 롤러블 스마트폰에 대한 기대를 높이고 이후 별도의 행사를 통해 세부 사양을 공개한 뒤 출시할 것이라고 했다. * 구동 모습을 보면, 사용자가 손으로 화면을 펼치는 방식이 아닌, 3:2 비율의 생산성 모드[* [[아이패드]]의 화면비를 보면 이해하기 쉽다.], 16:9 비율의 영상 모드, 20:9 비율의 휴대폰 모드로 전동 모터로 자동 조절되는 모습이었다. * 2021년 1월 11일, CES 2021에서 잠깐 앞면이 등장했으며, 'LG Rollable'이란 이름이 공개되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3ZJ0NG3GzwQ|LG CES일부분]] * 충전 기술은 퀄컴 퀵차지 5가 들어갈 가능성이 높으며, 4000mAh를 5분 안에 50% 이상 충전할 수 있게 될 전망이었다.[* 단, 퀵차지 5가 적용된 PD충전기는 5만 원 이상의 고가이기 때문에 동봉되지는 않았을 것이다. 더구나 LG도 같은 해에 출시 예정이던 [[LG VELVET 2 Pro]]에서 삼성, 애플 기기들 처럼 충전기를 빼려고 했었던 터라...] * 예상되던 가격으로는 CES 2021 이후 260만 원으로 예상되고 있는 상황으로 [[갤럭시 Z 폴드2]]보다 높지만 [[화웨이 Mate X(제품군)#s-3.3|화웨이 메이트 X2]]보다는 낮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만약 정식 출시에 성공했어도 [[갤럭시 Z 폴드3]]가 가격을 대폭 내린 상황이라 승산이 있었을지는 의문이었겠지만 말이다.[* 다만 그것과 별개로 시름시름하던 LG전자 MC사업부의 분위기를 크게 반전시킬 발판이 되었을 가능성은 있다.] == 출시 취소 == * 2021년 초, 개발이 일시 중단되었다는 기사가 올라왔지만, 금방 내려갔다. * 2021년 1월 20일, 더벨에서 프리미엄 스마트폰을 포기한다는 기사가 올라오면서 롤러블 출시에 비상이 걸렸다. [[http://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1191150079920106757&svccode=00&page=1&sort=thebell_check_time|#]] 반면 롤러블을 비롯한 프리미엄 스마트폰의 개발은 유지한다는 기사도 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21&aid=0002457508&viewType=pc|#]] 어떤 기사는 모바일 사업부를 철수한다는 소문 자체가 사실이 아니라는 기사도 있다. [[http://naver.me/GsT8DWWy|##]] 기사마다 내용이 제각각이기 때문에 LG전자 MC사업부의 운명에 대한 공식 발표가 나오기 전에는 롤러블폰의 출시가 무산되었는지를 판단하기에 시기상조인 듯 하다. 사실, IoT 기술의 핵심이 스마트폰임을 감안하면 플래그쉽 모델을 계속 출시할 가능성도 높다. 다만 2월이 되도록 공식발표가 나오지 않으면서 불확실성이 여전히 남아있기는 하다. * 2021년 2월 15일, 롤러블 폰 관련 프로젝트가 전면 중단돼 디스플레이를 공급할 예정이던 중국 BOE도 생산을 안하기로 했다는 기사가 떴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366&aid=0000669329|#]] 이에 따라 LG전자 스마트폰 사업부는 이대로 철수할 것으로 높아졌다. * 2021년 2월 22일, LG 대변인발 기사가 나왔는데 내용인 즉, 롤러블 스마트폰에 대한 출시일이 변경되었을 뿐 발매 보류나 취소되지 않고 2021년내 발매를 하겠다는 소식인데 전에도 대변인을 통하여 언론에 발표하였던 내용과 정반대의 사업전환 발표를 한적이 있어 외부적인 상황과 정반대 상황의 발표라 앞으로 지켜봐야 진의여부를 알 수 있을 것 같다. [[https://www.theverge.com/2021/2/22/22296298/lg-rollable-denial-not-on-hold-or-cancelled|#]] * 2021년 3월 21일, LG전자에서 스마트폰 사업을 아예 철수할 수도 있다는 기사가 나와 LG 롤러블 출시는 알 수 없게 되었다.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10321/106003359/1|#]] * 2021년 4월 5일, [[LG전자 MC사업부|LG전자의 휴대폰 사업]] 종료로 '''공식적으로 출시가 무산되었다.''' [[https://live.lge.co.kr/lg-mobile-2021/|#]] * 2021년 4월 5일, LG전자의 사업 종료와는 별개로 국립전파연구원의 전파인증이 통과되었다. 아무래도 [[SK텔레시스]]의 [[W WYNN 2]]와 [[KT테크]]의 [[테이크 LTE]] 2가 그랬던 것처럼 사내용으로만 한정된 수량을 생산 및 판매할 것으로 보인다. [[https://www.rra.go.kr/ko/license/A_b_popup.do?app_no=202117210000438564|#]] * 2021년 5월 24일, 언론 보도에 따르면 내부 시제품으로 수백 대를 제작한다고 한다. [[https://www.chosun.com/economy/tech_it/2021/05/24/2SLMNKCJD5HWDIOB37IYIVKRWY/|#]] 다만 [[LG VELVET 2 Pro]] 와는 달리 사내 판매는 하지 않고, 간부급 등 일부 임원들에게만 증정될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임원들에게도 증정되지 않았으며, 시제품은 현재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연구용으로 보관중이라고 한다. * [[LG VELVET 2 Pro]]와 비슷하게 개발 완료 후 한정수량[* 해당 제품들은 연구원들이 일일이 손으로 모두 조립했다고 한다.]으로 생산하여 특별한 인물들에게만 증정하였다. 나름 박스 패키지까지 모두 디자인되어있다. == 여담 == * 2022년 8월 20일, 중고나라에 LG Rollable이 500만원이라는 가격에 올라왔었다. 원본 게시글은 삭제되었고 [[https://cafe.naver.com/develoid/992706|일부가 캡쳐된 이미지만 남아 있다.]] 블라인드에선 퇴사자가 올린 것 아니겠냐는 추측이 많았다. LG Rollable도 [[LG VELVET 2 Pro]]처럼 엄격한 유통 관리가 적용되지 않을 리 없기 때문이다. 다만 뻘짓연구소의 영상에서 공개한 언박싱을 보면 벨벳 2 프로와는 달리 별다른 문구가 없었던 것으로 보아 엄격한 유통 관리는 적용되지 않은 듯. * 8월 21일, LG Rollable의 실제 구동 영상이 올라왔다. [[https://cafe.naver.com/optimuslteuser/914315|#]] * 9월 20일, 유튜버 [[뻘짓연구소]]가 구독자의 LG Rollable 기기를 대여해 리뷰했다. [youtube(UOLgPM6BQn8)] * 2023년 7월 6일(끌올기준), 당근마켓에 530만원에 LG Rollable이 올라왔다. [[https://www.daangn.com/articles/548797655|판매완료]] [[분류:스마트폰(안드로이드)/LG]][[분류:베이퍼웨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