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LG G 시리즈]][[분류:스마트 디바이스/2014년]] [include(틀:LG G 시리즈)] ||<-3> [[파일:LGG3Sc_1.jpg|width=100%]] || ||<-2> {{{#c7c7c7 '''블랙'''}}} || {{{#656460 '''화이트'''}}} || || {{{#ffffff '''G3 Screen'''}}} ||<-2> [[https://web.archive.org/web/20180203034840/http://webcache.googleusercontent.com/search?q=cache:T5hM5-mCCXsJ:www.lge.co.kr/lgekor/product/mobile/smart-phone/productDetail.do%3FcateId%3D0210%26prdId%3DEPRD.283046+&cd=1&hl=ko&ct=clnk&gl=kr|{{{#ffffff 한국 LG전자 G3 Screen 공식 사이트 - 구글 웹 캐시(아카이브)}}}]] || || {{{#ffffff '''L5000'''}}} ||<-2> [[https://web.archive.org/web/20180203034914/http://webcache.googleusercontent.com/search?q=cache:JPaRqJh8nlEJ:www.lge.co.kr/lgekor/product/mobile/smart-phone/productDetail.do%3FcateId%3D0210%26prdId%3DEPRD.302878+&cd=1&hl=ko&ct=clnk&gl=kr|{{{#ffffff 한국 LG전자 L5000 공식 사이트 - 구글 웹 캐시(아카이브)}}}]] || '''LG-F490L G3 Screen''' '''LG-F590 L5000''' [목차] == 개요 == [[LG전자]]가 2014년 5월에 공개한 [[LG G3]]의 파생 모델로, 2014년 10월에 출시한 [[안드로이드(운영체제)|안드로이드]] [[스마트폰]]. == 사양 == ||[[SoC|프로세서]]||'''[[LG Nuclun]] 7111''' [[SoC]]. [[ARM big.LITTLE]]↓, IT [[PowerVR]] G6430 440 MHz [[GPU]][br][[ARM Cortex-A15]] MP4 1.5 GHz [[CPU]] + [[ARM Cortex-A7]] MP4 1.2 GHz [[CPU]]|| ||[[메모리]]||2 GB LPDDR3 SDRAM(800Mhz), 32 GB eMMC 내장 메모리, micro SDXC (최대 2 TB 지원)|| ||[[디스플레이|디스]][br][[디스플레이|플레이]]||'''5.9'''인치 [[해상도/목록|FHD]](1920 x 1080) RGB 서브픽셀 방식의 [[LGD]] IPS TFT-LCD[br]멀티터치 지원 정전식 [[터치 스크린]]|| ||[[네트워크]]||[[LTE]][[-2CA]] Cat.6, [[4G|HSPA+]] 42Mbps, [[WCDMA|HSDPA & HSUPA & UMTS]], [[GSM|GSM & EDGE]]|| ||근접통신||[[Wi-Fi]] 1/2/3/4/5, [[블루투스]] 4.0+LE, [[NFC]]|| ||[[카메라]]||전면 210만 화소, 후면 OIS 기술[* [[LG전자]]는 여기에 관련 소프트웨어 기술을 적용해서 OIS 플러스라고 홍보하고 있다.] 탑재 1,300만 화소 [[레이저|LASER]] [[AF]] 및 [[LED]] [[플래시(카메라)|플래시]]|| ||[[배터리]]||Li-Ion 3000 mAh|| ||<|2>[[운영체제]]||[[안드로이드(운영체제)/버전|안드로이드]] 4.4 (KitKat) → 5.0 (Lollipop) / [[LG UX]] 3.0|| ||[[안드로이드(운영체제)/버전|안드로이드]] 5.1 (Lollipop) / [[LG UX]] 4.0|| ||규격||81.8 x 157.8 x 9.45 mm, 182 g|| ||색상[* 제품 공개 당시 같이 공개된 기본 색상에 볼드 처리]||'''블랙''', '''화이트'''|| ||단자정보||USB 2.0 micro Type-B x 1, 3.5 mm 단자 x 1|| ||기타||[[VoLTE]] 지원, 지상파 [[DMB]] 지원|| == 상세 == 2014년 [[LG전자]]의 플래그십 [[스마트폰]]이자 [[LG G 시리즈]]의 3세대 모델인 [[LG G3]]의 '''대화면 파생 모델'''이다. 기존에 존재하던 [[LG G 시리즈]]의 대화면 [[스마트폰]] 하위 라인업인 [[옵티머스 G Pro|G Pro]] [[LG G Pro 2|시리즈]]와 연관성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디스플레이 크기나 출시된 형태를 보면 승계 내지는 대체되었다는 인상이 강한 편이다. 다만 [[LG G3]]의 하드웨어 사양이 G Pro 시리즈의 컨셉을 위협하는 수준[* G Pro 라인업이 G 시리즈의 하위 라인업이긴 하지만, 하드웨어 사양은 대응하는 G 시리즈 스마트폰보다 좋았다. ~~하지만 이 녀석의 AP는 아마추어 급(...)~~]이기 때문에 남는 요소는 디스플레이 크기 뿐이라 스크린으로 명명된 것으로 보인다. 전반적인 디자인은 본가 모델인 [[LG G3]]와 패밀리룩을 이루고 있다. 기본 색상은 블랙, 화이트로 총 2종이다. 사양은 우선 AP로 [[LG전자]]가 자체적으로 설계한 [[스마트폰]] 타겟의 첫 번째 모바일 AP인 [[LG Nuclun]] 7111을 사용한다. [[ARM Cortex-A15]] 쿼드코어 [[CPU]]와 [[ARM Cortex-A7]] 쿼드코어 [[CPU]]에 [[ARM big.LITTLE 솔루션|big.LITTLE 솔루션]]을 적용한 HMP 모드 지원 옥타코어 [[CPU]]와 이매지네이션 테크놀러지 [[PowerVR]] G6430 [[GPU]]를 사용한다. 사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통틀어서 본가 모델인 [[LG G3]]를 비롯해 다른 [[스마트폰]]과 가장 차별화되는 유일한 요소이기도 하다. RAM은 LPDDR3 SDRAM 방식이며 2GB다. 내장 메모리는 32 GB 단일 용량이며 micro SD 카드로 용량 확장이 가능하다. 디스플레이는 5.9인치 Full-HD 해상도를 지원하며 패널은 IPS TFT-LCD를 사용한다. 일단, [[LG G Pro 2]]와 동일한 [[디스플레이]] 사양이다. 통신 모뎀칩은 [[인텔]]의 [[인텔/통신 모뎀 솔루션 모델#s-3.3.4|XMM 7260]]을 별도 칩으로 탑재했다. 같이 내장된 타 AP가 아닌 자체 AP를 사용했는데다가, LG가 자체적으로 모뎀 칩을 만든 적이 없어서 외부로부터 공급받을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삼성전자]], [[퀄컴]], [[하이실리콘]]의 선택지가 있었지만, 삼성, 화웨이의 모뎀 칩은 자사 AP에만 사용하는 목적이 크고, [[퀄컴]]은 당시 4G LTE Cat.6 지원 모뎀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퀄컴 스냅드래곤/8XX 라인업#s-3.4|퀄컴 스냅드래곤 808 MSM8992]]를 무조건 사용해야 한다는 조건[* 이는 당시 해당 통신 모뎀 솔루션이 퀄컴의 최신 라인업이었기 때문이다. 이후 해당 통신 모뎀 솔루션이 구형이 되면서 외부 판매가 개시되었다.]이 있어서, 결국 할 수 없이 인텔 모뎀칩을 사용했다고 한다. 배터리 용량은 착탈식 3000 mAh를 사용한다. 이는 본가 모델인 [[LG G3]]와 동일한 사양이다. 후면 [[카메라]]의 경우, 1,300만 화소에 OIS 기술[* [[LG전자]]는 여기에 관련 소프트웨어 기술을 적용해서 '''OIS 플러스'''라고 홍보하고 있다.]을 탑재했으며 본가 모델의 주요 콘텐츠 중 하나인 [[레이저|LASER]] [[AF]]를 지원한다. [[LG G2|G2]]와 비교할 때 하드웨어 면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 부분 중 하나다. 안드로이드 4.4 킷캣을 기본으로 탑재했다. 공개 당시 펌웨어 버전은 4.4.4이다. == 추가 기능 및 주변기기 == 기본적인 기능들은 모두 본가 모델인 [[LG G3]]와 동일하다. 자세한 내용은 [[LG G3#s-4|해당 문서]] 참조. == 출시 == 2014년 10월 24일, [[LG U+]]를 통해서 출시되며 출고가는 803,000 원으로 책정되었다. 다만, [[SK텔레콤]]과 [[KT]] 그리고 한국을 넘어 글로벌 출시는 미정으로 즉, [[LG U+]]가 단독으로 출시하는 상황이다. 결과적으로, 글로벌 출시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물론, LTE유심이동성 제도가 시행된 이후에 출시되었기 때문에 [[SK텔레콤]]과 [[KT]]에서 [[VoLTE]]를 비롯한 4G [[LTE]]-FDD 사용이 가능하다. 전반적으로 출고가가 초기에 너무 높게 잡힌 것이 문제라는 지적을 받았다. 2015년 1월 8일, 출고가를 555,000 원으로 인하하여 출시된 지 '''3개월''' 만에 253,000 원이나 인하되었다.(...) ~~[[LG Volt|LG 볼트]]보다야 낫긴 하다만~~ 2015년 8월 3일, 출고가가 451,000 원으로 재차 인하되었다. 2016년 3월 시점에도 물량이 남아 있어서 어떻게든 팔려는 이른바 [[폰팔이]]들이 간혹 보인다고 한다. 2016년 4월 초, 출고가가 154,000 원으로 재차 인하되었다. === LG L5000 === 2016년 4월 18일, L5000이란 정식 발매명으로 한국 시장에 재출시되었다. [[단말기 자급제]]로 출시되었으며 운영체제가 안드로이드 5.1 롤리팝으로 업그레이드 되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LG UX]] 4.0을 탑재했다. G3 Screen의 출고가는 154,000 원으로 낮아졌지만, L5000의 가격은 [[http://clien.net/cs2/bbs/board.php?bo_table=use&wr_id=883021|224,000 원이며]], LG전자 베스트샵 오프라인 매장에서 구입할 수 있다. G3 Screen 대비 LG 로고가 바뀌었고 LG U+의 [[추노마크]]와 [[통신사 앱]] 등이 없다. ~~뒷커버를 사서 갈면 된다~~ 이동통신사에 묶여있지 않고 운영체제 버전도 높기에 어느정도 메리트도 존재한다. 참고로, [[LG L 시리즈]]하고는 관계가 없다. == 소프트웨어 지원 == === OS 업그레이드 === ==== [[안드로이드 롤리팝|5.0 롤리팝]] ==== 2015년 3월 13일 기준, [[LG전자]] 개발자 지원 사이트에 LG G3 Screen LG-F490L의 안드로이드 5.0 롤리팝 펌웨어의 오픈소스가 공개되었다. 빌드 버전은 V20h라고 한다. 2015년 9월 11일, LG G3 Screen LG-F490L의 안드로이드 5.0 롤리팝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최초 펌웨어 버전은 5.0.2이며, OTA는 지원하지 않고 LG Mobile Support Tool를 통한 유선 업그레이드만 지원된다고 한다. 2015년 10월 중, LG G3 Screen LG-F490L의 안드로이드 5.0 롤리팝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빌드 버전은 V21d라고 한다. 그리고 해당 펌웨어 업데이트를 이후로 2016년 3월까지 펌웨어 업데이트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2016년 4월 7일, LG G3 Screen LG-F490L의 안드로이드 5.0 롤리팝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펌웨어 버전은 5.0.2이며 빌드 버전은 V21f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6년 3월 1일이다. 정황 상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목적의 펌웨어 업데이트로 보이며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기기의 부팅 애니메이션도 [[LG U+]]의 최신 버전인 U+ LTE ME로 변경되었다. ==== ~~[[안드로이드 마시멜로|6.0 마시멜로]]~~ ==== '''[[옵티머스 LTE II]] 시즌 7''' 본가 모델인 G3와 주류 모델인 G3 Cat.6은 이미 안드로이드 마시멜로까지 업그레이드가 지원이 되나, [[LG G3]] 중에서도 비주류 모델인 [[G3 Beat]]나 G3 Screen은 안드로이드 롤리팝에서 끝(...). G3 Screen의 [[안드로이드 마시멜로|안드로이드 마시멜로]] OS 업그레이드는 물 건너간 듯 하다. == 논란 및 문제점 == === 저조한 성능 논란 === [[ARM Cortex-A15]] 쿼드코어 [[CPU]]를 주력으로 사용하는 모바일 AP는 [[삼성 엑시노스]] 5 Octa (5410 / 5420 / 5422 / 5430)과 [[하이실리콘]] Kirin 920 시리즈 등이 있다. 기본적으로 [[LG전자]]가 2013년에 주력으로 사용한 [[퀄컴 스냅드래곤 8]]00 MSM8974와 비슷한 성능을 보여주는 준수한 성능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 [[퀄컴]]이 2014년에 플래그십 AP로 내놓은 [[퀄컴 스냅드래곤 8]]01 시리즈 역시 근본적으로는 [[퀄컴 스냅드래곤 8]]00 MSM8974의 개량형이기 때문에 2014년 기준으로도 상급의 성능을 자랑하고 있다. 하지만, 이를 이용해 만든 [[LG전자]]의 첫 번째 모바일 AP인 [[LG Nuclun]] 7111의 성능이 심각하게 낮아 논란이 되었다. [[파일:attachment/LG G3 Screen/g3screenbench.jpg.jpg]] 이미 기기 유출 당시의 Antutu 벤치마크 유출 자료로도 처참함이 보이는데, 비슷한 수준이라 나온 [[샤오미]]의 [[샤오미 Mi 시리즈#s-2.2|Mi 2]]는 2012년 하반기에 사용되고 [[LG전자]]가 [[옵티머스 G]]에 탑재한 [[퀄컴 스냅드래곤]] S4 Pro APQ8064를 탑재한 물건이다. 정식 출시 이후 측정된 [[http://blog.naver.com/itreview/220186024596|Antutu 벤치마크 결과]]도 마찬가지로 30,103 점으로 측정되면서 2013년에 사용되고 [[LG전자]]가 [[LG G2]]에 탑재한 [[퀄컴 스냅드래곤 8]]00 MSM8974 근처도 가지 못하는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CPU]]가 이름값을 못해주는 상황이라면 [[GPU]]는 아예 1년 전 물건을 사용할 정도로 성능이 떨어진다. 정확히 말하면 [[Apple]]이 [[Apple/AP|Apple A7]] APL0698에 탑재한 것과 동일한 물건[* GFX벤치에서 OpenGL ES 3.0 API로 측정되는 멘하탄 오프스크린 기준으로 [[LG G2]]에 탑재한 [[퀄컴 스냅드래곤 8]]00 MSM8974의 [[퀄컴 Adreno]] 330 [[GPU]]보다 낮게 측정된다.]이나, 이매지네이션 테크놀러지의 [[GPU]]가 이미 안드로이드에서 비주류로 전락했고 [[LG전자]]가 모바일 AP를 개발한 경험이 적기 때문에 제대로 된 성능을 내지 못했기 때문이다. 게다가 [[iPhone 5s]]의 3배를 상회하는 화소수를 생각해보면...묵념. 이 때문에 비주얼 노벨 계열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해도 특수효과 등의 옵션을 해제해야 겨우 돌아가는 수준이라고 한다. 쉽게 말하자면, 벤치마크상으로는 동일한 디스플레이 해상도에 스냅드래곤 600을 탑재한 [[옵티머스 G Pro]]와 거의 비슷한 성능을 보인다. 다만 실사용시에는 전체적으로 미숙한 최적화로 인해 성능이 오락가락하므로 [[옵티머스 G Pro]]보다 굼뜬 경우가 종종 있다. === 그 외 문제점 === * micro SD 카드로 [[애플리케이션]]을 이동한 상태에서 [[구글 플레이]]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업데이트를 할 때, 애플리케이션이 다시 내장 메모리로 이동하는 문제점이 있다고 한다. * 기기를 재부팅할 때 스마트 알림이가 맛이 가는 문제점이 있다고 한다. 게다가 배터리도 충분한 상태에서 자기 스스로 [[장비를 정지합니다|기기가 종료]]하는 문제점도 있다고 한다. * 듀얼 윈도우 기능을 사용할 때, 기본적으로 취소 버튼을 길게 눌러야 활성화되지만 단순히 취소 및 뒤로가기를 위해 취소 버튼을 짧게 눌렀을 때도 활성화되는 문제점이 있다고 한다. * [[페이스북]] [[애플리케이션]]이 micro SD 카드로 옮겨진 상태에서 재부팅을 할 때 강제로 로그아웃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고 한다. 다만, 해당 문제점이 [[페이스북]]에서 [[LG Nuclun]] 7111에 대한 최적화를 제대로 안 한 것인지 [[LG전자]]가 빌드한 펌웨어의 문제인지는 알 수 없다. * 간혹 터치 진동이 강해지는 문제점이 있다고 한다. * [[LG G3]]와 마찬가지로 크랙 결함이 발생한다. 다만 판매량이 많지는 않은지라 크게 이슈가 되지는 않은 모양. [[LG전자]] 이메일 답변에 따르면 침수나 외부충격이 아닌 자연적으로 생긴 균열이라면 무상수리가 가능하다는 답변을 얻었다. * 유튜브 동영상을 1080p60으로 볼때 영상은 재생되나 화면이 움직이지 않는 현상이 있다. *몇몇 기기에서 무한부팅현상이 발생된다 이현상은 G3와같은 배터리 문제이며 배터리만 교체하면 정상작동한다. 다만, 배터리를 교체해도 안되는거면 CPU냉납이다. == 기타 == * 공식적으로 G Pro 라인업과의 연관성에 대해서는 알려진 내용이 없다. 다만, 출시 예정이었던 [[무선충전]] 지원 전용 퀵서클 케이스에 'LG G Pro 3'라 적혀있던 것으로 보아 원래는 G Pro 라인업의 3세대 [[스마트폰]]으로 기획된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