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36년 기업]][[분류:아프리카의 항공사]] [include(틀:항공사/아프리카/플래그 캐리어)] ||<-2><:>
<#ffffff> [[파일:LAM 모잠비크 항공 로고.png|width=100%]] || ||<-2><:><#FC0404>'''{{{#white LAM 모잠비크 항공[br]LAM Linhas Aéreas de Moçambique[br]LAM Mozambique Airlines}}}'''|| ||<:><#ffffff,#2d2f34>'''{{{#FC0404,#ffffff 부호}}}'''||<#ffffff,#2d2f34>[[콜사인]] (MOZAMBIQUE)[br][[IATA#s-3]] (TM) [[ICAO#s-3]] (LAM) [[보잉/커스터머 코드|BCC]] (B1) || ||<:><#ffffff,#2d2f34>'''{{{#FC0404,#ffffff 항공권 식별 번호}}}'''||<#ffffff,#2d2f34>068 || ||<:><#ffffff,#2d2f34>'''{{{#FC0404,#ffffff 설립연도}}}'''||<#ffffff,#2d2f34>[[1936년]] [[8월 26일]] || ||<:><#ffffff,#2d2f34>'''{{{#FC0404,#ffffff 허브 공항}}}'''||<#ffffff,#2d2f34>마푸투 국제공항 || ||<:><#ffffff,#2d2f34>'''{{{#FC0404,#ffffff 보유 항공기 수}}}'''||<#ffffff,#2d2f34>6 || ||<:><#ffffff,#2d2f34>'''{{{#FC0404,#ffffff 취항지 수}}}'''||<#ffffff,#2d2f34>12 || ||<:><#ffffff,#2d2f34>'''{{{#FC0404,#ffffff 마일리지}}}'''||<#ffffff,#2d2f34>Flamingo Club || ||<:><#ffffff,#2d2f34>'''{{{#FC0404,#ffffff 자회사}}}'''||<#ffffff,#2d2f34>모잠비크 익스프레스 || ||<:><#ffffff,#2d2f34>'''{{{#FC0404,#ffffff 항공 동맹}}}'''||<#ffffff,#2d2f34>미가입 || ||<:><#ffffff,#2d2f34>'''{{{#FC0404,#ffffff 링크}}}'''||<#ffffff,#2d2f34>[[https://www.lam.co.mz/en|[[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2]]]] [[https://www.facebook.com/VOELAMM|[[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2]]]] [[https://twitter.com/voeLAM|[[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22&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width=22&theme=dark]]]]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amb737.jpg|width=100%]]}}} || || [[보잉]] [[보잉 737 NG|737-752]] || [목차] [clearfix] == 개요 == 마푸투 국제공항을 허브로 한 [[모잠비크]]의 국영 및 국책 항공사. == 역사 == 1937년 [[포르투갈령 모잠비크]]에서 총독부 산하 항공운송개발국(Direcçâo de Exploração de Transportes Aéreos, 약칭 DETA)으로 설립되었다. 설립 초기에는 [[포커 27]], [[DC-3]]로 아프리카 남부 도시들에 취항했다. 1969년 첫 제트기로 [[보잉 737 오리지널|보잉 737-200]] 2대를 도입했으며 1970년대 후반에는 [[보잉 707]]을 리스해 리스본, 브뤼셀에 취항했다. 포르투갈로부터 독립한 이후인 1980년, 구조조정을 거치며 사명을 LAM - Mozambique Airlines로 변경했다. 초기에는 DETA로 부터 넘어온 보잉 707과 DETA 시절 주문했던 [[DC-8]]으로 장거리 운항했다. 이후 프랑스의 UTA로 부터 리스한 [[DC-10]]으로 리스본, 파리, 코펜하겐, 동베를린에 취항했다. 1991년 DC-10이 반납된 이후에도 [[남아프리카 항공]]에서 [[보잉 747SP]]를 리스해 투입했으며 [[보잉 737 클래식|보잉 737-300]]을 리스했다. 또한 747SP를 대체하기 위해 [[보잉 767]]을 리스했으나 리스비를 감당하지 못하고 1995년, 737-300과 767을 반납했다. 2011년 EU 취항금지를 당해 유럽행 노선이 단항되었다. EU 취항금지는 2017년 철회되었다. 2021년 [[코로나 19]]의 여파로 보유중이던 [[E190]]을 전량 퇴역시켰다. == 서비스 == [[스카이트랙스]]에서 사실상의 최저등급인 2성급[* 사실 이전에는 [[고려항공]]이 유일한 1성급 항공사로 분류되었지만, 후에 고려항공이 무성급으로 밀려나면서 2등급이 사실상의 최저등급이 되었다.]으로 선정된 몇 안 되는 항공사인데, 실제로 스카이트랙스의 [[https://skytraxratings.com/airlines/lam-mozambique-airlines-rating|평]]에 따르면 좌석과 기내식은 그럭저럭 괜찮은 편이지만 객실 승무원들의 서비스가 부실하다고 한다. == 취항지 == ||<-2> 취항지 목록 || || 국가 || 취항지 || || 케냐 || [[조모 케냐타 국제공항|나이로비]] || || 모잠비크 || 베이라[*A 포커스 시티] · 시모이우 · 이냠바느 · 리싱가 · 마푸투[* 허브] · 나칼라 · 남풀라[*A] · 펨바 · 켈리마느 · 테트 · 빌랑쿨로 || || 남아프리카 공화국 || [[요하네스버그 국제공항|요하네스버그]] || || 탄자니아 || 다르에스살람 || == 보유 기종 == || 제작사 || 기종 || 보유 대수 || 비고 || || [[보잉]] || [[보잉 Next-Generation 737#s-3.2|737-700]] || 2 || || || [[봉바르디에]] || [[드 해빌랜드 캐나다 Dash 8-400|DHC-8-400]] || 2 || || || [[엠브라에르]] || [[엠브라에르 E-Jet 패밀리#s-3.2|E190AR]] || 2 || || == 사건사고 == * 1941년 11월 14일, 록히드 14-H2가 활주로를 이탈하며 발생한 화재로 파괴되었다. * 1944년 2월 23일, 록히드 14-H2가 이륙 직후 추락하며 탑승했던 13명 전원이 사망했다. * 1950년 2월 12일, Ju-52이 비상착륙하면서 기체가 큰 파손을 입었다. 탑승했던 15명 전원은 생존했다. * 1970년 3월 28일, 훈련중이던 F-27이 착륙도중 추락했다. 탑승했던 4명 전원이 사망했다. * 1983년 3월 27일, 착륙중이던 보잉 737-200이 조종사의 과실로 실속해 추락했다. 탑승했던 110명 전원은 생존했다. * 1989년 2월 9일, 보잉 737-200이 폭풍우 속에서 착륙도중 활주로를 이탈했다. 탑승했던 108명 전원은 생존했다. * 1998년 10월 5일, 남아프리카 항공에서 리스한 보잉 747SP가 이륙후 상승도중 3번 엔진이 파손돼 회항했다. 탑승했던 66명 전원은 생존했다. * 2013년 11월 29일, 470편 E190이 기장에 의해 추락했다. 탑승했던 33명 전원이 사망했다. [[LAM 모잠비크 항공 470편 추락사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