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L特急 / エル特急}}} ||||<:> [[파일:L_Exp_01.jpg|width=100%]] || [[일본국유철도]] 당시 특급열차의 행선판을 재현한 모형으로, 왼쪽 하단에 있는 L자 모양이 L특급 로고이다. [목차] == 개요 == [[JR그룹]]에서 운행했던 [[특급(철도)|특급]]의 한 유형. 그러나 별도의 등급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L특급도 열차등급은 그냥 특급이고 특급요금도 같으며, L특급은 후술할 특징을 가진 특급 열차를 구별하는 명칭일 뿐이다. 'L'은 특급(Limited Express), [[라이너(철도)|라이너]](Liner), Lucky, Lovely, Light 등을 뜻한다고 알려지나 [[https://ja.wikipedia.org/wiki/%E3%82%A8%E3%83%AB%E7%89%B9%E6%80%A5|출처]] 국철이나 JR에서 공식적으로 밝힌 것은 없다. 원래 일본의 특급 열차는 말 그대로 '''특별'''급행 열차였기 때문에 편수도 적고, 전좌석 지정석에다가 [[운임]][* 정확히 말하면 특급요금.]도 매우 비쌌다.[* [[대한민국]]의 경우 1990년대 초반까지의 [[새마을호]]가 이러한 포지션이었다.] 그러나 국철이 도시간 여객 수송을 급행 중심에서 특급 중심으로 전환하면서 점차 급행이 특급으로 승격하는 경우가 많아졌고[* 이 과정에서 일부 급행은 승격도 못하고 폐지되었다.], 이들 특급이 신칸센과 연결되도록 다이어가 짜여지게 되었다. 결국 이러한 특급을 홍보하기 위해 국철이 만들어낸 명칭이 바로 L특급이라고 할 수 있다. L특급이 처음 설정될 당시 국철에서 내세운 홍보문구는 '''편수 자랑'''(数自慢), '''정각'''[* 여기서 정각이라는 것은 매시 00분을 뜻하는 정각이라기보다는 8시 10분, 9시 10분, 10시 10분... 과 같이 일정한 시간에 출발한다는 뜻에서의 정각을 의미한다.] '''발차'''(カッキリ発車), '''자유석 연결'''(自由席連結)이었다. 기존의 특급 열차에 비해 편수가 많아졌고, [[스위스 연방철도|패턴 다이어를 도입]]하여 일정한 시간에 출발하게 했으며, 일정 수의 좌석을 [[자유석]]으로 설정했다[* 과거의 특급은 모두 지정석이라 운임 외에도 지정석료가 많이 들었다. 현재는 신칸센 중 일부 열차와 JR히가시니혼의 근거리 특급열차 일부만 전석 지정석이다.]는 것이 L특급의 특징이라는 뜻. [[http://rail.hobidas.com/kokutetsu/archives/2008/10/post_551.html|1975년 당시 오카야마역에 걸린 L특급 홍보 문구]] 그러나 지금은 국철 시대와 달리 특급이 보편화되고 대부분의 특급 열차에 자유석이 달려 있기 때문에 L특급이나 그냥 특급이나 별다를 것이 없어졌고, 따라서 L특급을 따로 구별하지 않고 기존 특급에 완전히 흡수되었다. == 역사 == L특급이 생겨난 건 1972년 10월이었다. [[산요 신칸센]] [[신오사카역|신오사카]] ~ [[오카야마역|오카야마]] 구간이 개통하면서 오카야마역에서 신칸센과 접속하는 [[산요 본선]] 특급 3종과 도쿄와 도호쿠, 보소 반도 등지를 오가는 특급 4종이 최초의 L특급으로 지정되었다. 그러나 산요 본선의 L특급은 1975년 3월 산요 신칸센이 [[하카타역]]까지 연장되면서 '''3년 만에 폐지'''되고 말았다(...) 다음은 최초로 지정된 L특급 목록. * '''[[츠바메(특급)|츠바메]]''' : 오카야마 ~ 하카타 / [[구마모토역|구마모토]] * '''하토''' : 오카야마 ~ [[시모노세키역|시모노세키]] * '''[[이나호]]''' : [[니가타역(니가타)|니가타]] ~ [[사카타역(야마가타)|사카타]] * '''시오지''' : 신오사카 ~ 히로시마 (오카야마역 경유) * '''[[토키(열차)|토키]]''' : 우에노 ~ [[니가타역(니가타)|니가타]] * '''히바리''' : 우에노 ~ [[센다이역(미야기)|센다이]] ([[도호쿠 본선]] 경유) * '''[[히타치(열차)|히타치]]''' : [[우에노역|우에노]] ~ [[이와키역(후쿠시마)|타이라]] / [[하라노마치역|하라노마치]] / 센다이 ([[조반선]] 경유)[* 운행 당시 히바리와 히타치는 하행 열차가 [[우에노역]]을 매시 정각에 '''동시 출발'''하는 것으로 유명했다.] * '''[[아사마(특급)|아사마]]''' : 우에노 ~ [[나가노역|나가노]] * '''[[사자나미(열차)|사자나미]]''' : [[도쿄역|도쿄]] ~ [[타테야마역(치바)|타테야마]] * '''[[와카시오]]''' : 도쿄 ~ [[아와카모가와역|아와카모가와]] * '''[[시오사이]]''' : 도쿄 ~ [[쵸시역|쵸시]] ([[소부 본선]] 경유) * '''스이고''' : 도쿄 ~ 쵸시 ([[나리타선]] 경유) * '''[[아야메(열차)|아야메]]''' : 도쿄 ~ [[카시마진구역|카시마진구]] * '''[[아즈사(열차)|아즈사]]''' : [[신주쿠역|신주쿠]] ~ [[마츠모토역|마츠모토]] * '''[[카이지(열차)|카이지]]''' : 신주쿠 ~ [[코후역|코후]] * '''[[시나노(열차)|시나노]]''' : [[나고야역|나고야]] ~ 나가노 * '''[[시라사기]]''' : 나고야 ~ [[카나자와역|카나자와]] * '''[[코노토리|키타킨키]]''' : [[신오사카역|신오사카]] ~ [[키노사키온센역(JR)|키노사키온센]] * '''[[선더버드(열차)|라이쵸]]''' : [[오사카역|오사카]] ~ 카나자와 * '''[[쿠로시오(열차)|쿠로시오]]''' : 신오사카 ~ [[신구역|신구]] * '''[[야쿠모(열차)|야쿠모]]''' : [[오카야마역|오카야마]] ~ [[이즈모시역|이즈모시]] * '''[[카모메(특급)|카모메]]''' : [[하카타역|하카타]] ~ [[나가사키역(나가사키)|나가사키]] * '''[[하우스텐보스(열차)|하우스텐보스]]''' : 하카타 ~ [[하우스텐보스역|하우스텐보스]] * '''[[미도리(열차)|미도리]]''' : 하카타 ~ [[사세보역|사세보]] * '''[[니치린]]''' : [[벳푸역|벳푸]] ~ [[미야자키 공항역|미야자키공항]] * '''[[키리시마(열차)|키리시마]]''' : [[미야자키역|미야자키]] ~ [[가고시마츄오역|니시가고시마]] 이를 시작으로 L특급은 계속 늘어났고, 1978년 10월 다이어 개정[* 이때의 다이어 개정을 고산토(ゴーサントオ)라고 한다. 1978년이 [[쇼와]] 53년이므로 고(5)-산(3)-토(10)라고 부르는 것. 1961년 10월(산로쿠토), 1968년 10월(욘산토) 다이어 개정과 함께 국철을 대표하는 3대 다이어 개정이었다.]으로 L특급은 25종에 이르렀다. 이때 지정된 L특급 가운데 대표적인 것으로 [[도호쿠 본선]]을 운행한 [[야마비코(특급)|야마비코]], [[하츠카리]]와 [[오우 본선]]을 운행한 [[츠바사(특급)|츠바사]], 야마바토가 있었다. 이 다이어 개정으로 앞서 L특급으로 지정된 히바리, 토키와 함께 도호쿠 본선, [[조에츠선]] 특급의 [[전성기]]가 열린 것이다. 이들 열차는 1982년에 [[도호쿠 신칸센]]이 개통되자 운행구간이 대폭 축소되었다. 이후 국철이 [[JR그룹|JR]]로 민영화된 후에도 주로 신칸센 접속열차와 단거리 열차를 중심으로 L특급이 계속 생겨났으나,[* 단거리 특급이지만 공항과 도심을 연결하는 [[나리타 익스프레스]], [[하루카(열차)|하루카]]와 애초부터 관광용 차량으로 만들어진 슈퍼 뷰 오도리코는 L특급으로 지정되지 않았다(그냥 [[오도리코]]는 L특급으로 지정된 적이 있다) 한편 예시로 든 이들 열차는 단거리 특급임에도 불구하고 A특급요금을 받기 때문에 B특급요금을 받는 다른 열차에 비해 특급요금이 비싼 편.] 특급이 보편화되면서 거의 모든 특급이 L특급화됨에 따라 굳이 L특급이라는 명칭을 붙여 따로 구분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었다. 결국 [[JR 동일본]]이 2002년 12월, [[JR 큐슈]]가 2009년 7월, [[JR 서일본]]이 2010년 3월([[시라사기(열차)|시라사기]]는 L특급 유지), [[JR 시코쿠]]가 2011년 3월, [[JR 홋카이도]]가 2017년 3월 L특급 구분을 폐지하고 모두 특급으로 통합했다. 마지막으로 [[JR 도카이]]도 2018년 3월 17일 다이어 개정으로 남아있던 3종의 L특급(시라사기, 히다, 시나노)을 특급으로 통합함으로써 L특급이라는 명칭은 소멸되었다. == [[JR 홋카이도]]의 L특급 == JR 홋카이도는 JR 여객 6개사 가운데 마지막까지 특급과 L특급을 명확하게 구별하였다.[* 앞에서 서술하였듯 특급과 L특급의 특급요금은 같다.] 여기서 특급과 L특급을 구별하던 기준(?)은 다음과 같다. * '''특급''' : 장거리, [[디젤동차]], [[우등석#s-3.2|그린샤]] 있음, 지정석 중심 (자유석은 1~2량 내외) * '''L특급''' : 단거리, [[전동차]][* [[JR 홋카이도]]의 경우 삿포로, 하코다테 주변지역만 전철화가 되어 있기 때문에 삿포로를 중심으로 단거리 열차가 전동차, 장거리 열차는 디젤동차로 운행한다.], 그린샤 '''없음''', 자유석 중심 (지정석은 u시트 1량뿐) 그리하여 JR 홋카이도의 특급 열차는 다음과 같이 구별되었다. ||<|2><:>'''노선'''||||<:>'''열차명 및 구간'''|| ||<:>'''특급'''||<:>'''L특급'''|| ||'''[[하코다테 본선]] 경유'''[* 삿포로 ~ 아사히카와 간]||'''[[소야(열차)|슈퍼소야]], [[사로베츠]]''' ([[삿포로역|삿포로]] ~ [[왓카나이역|왓카나이]]) [br] '''[[오호츠크(열차)|오호츠크]]''' (삿포로 ~ [[아바시리역|아바시리]])||'''[[카무이(열차)|슈퍼카무이]]''' (삿포로 ~ [[아사히카와역|아사히카와]])|| ||'''[[치토세선]] 경유'''||'''[[호쿠토(열차)|슈퍼호쿠토, 호쿠토]]''' (삿포로 ~ [[하코다테역|하코다테]]) [br] '''[[오조라(열차)|슈퍼오조라]]''' (삿포로 ~ [[쿠시로역(홋카이도)|쿠시로]]) [br] '''[[토카치(열차)|슈퍼토카치]]''' (삿포로 ~ [[오비히로역|오비히로]]) ||'''[[스즈란(열차)|스즈란]]''' (삿포로 ~ [[무로란역|무로란]])|| ||'''[[츠가루 해협선]]'''||'''슈퍼 하쿠쵸, 하쿠쵸''' ([[신아오모리역|신아오모리]] ~ 하코다테)|| || [[파일:L_Exp_02.jpg]] JTB 시각표 2007년 10월호 내 [[하코다테 본선]] 시각표의 일부. 시각표상에도 L특급(전술한 L자 모양의 로고)[* 해당 열차는 슈퍼카무이 39, 41호. 이들 열차는 [[신치토세 공항역]]에서 출발해 [[에어포트(열차)|쾌속 에어포트]]로 운행하다가, 삿포로역에서 L특급으로 전환하여 아사히카와역까지 운행했다.]과 특급[* 해당 열차는 [[오호츠크(열차)|오호츠크]] 7호(삿포로역 17시 30분 출발), [[소야(열차)|슈퍼 소야]] 3호(삿포로역 17시 48분 출발).]이 구분되어 있다. 그러나 2017년 3월 4일 다이어 개정으로 슈퍼 하쿠쵸로 운행하던 [[789계 전동차|789계 0번대 전동차]]를 삿포로 ~ 아사히카와 간 [[라일락(열차)|특급 라일락]]으로 재배치하면서 JR 홋카이도도 L특급을 폐지하고 특급으로 통일했다.[[http://www.jrhokkaido.co.jp/press/2016/161216-3.pdf|JR 홋카이도 보도자료]] 특급 라일락에는 그린샤가 편성되어 이전의 L특급과는 다르기 때문인 듯. [[분류:일본의 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