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attachment/Kick it up/5d.jpg]] [[1999년]]부터 [[2001년]]까지 노기태(mahalo)[* 이후 [[안다미로]]에 취업해서 개발자로서 일하였다.]가 만들었던 [[펌프 잇 업]]의 시뮬레이터. 프로그램 Readme 파일을 보면 "'''이 프로그램은 에뮬레이터가 아닙니다!'''"라고 명시되어 있다. [[와인(소프트웨어)|와인]]과 비슷한 이유. 최종 버전은 오리지널 0.5.589. [[2001년]] 공식적으로 개발이 중단되었고 후에 '[[도라에몽]]'이라는 필명을 사용하는 개발자가 소스를 이용해 [[롱노트]] 버전을 따로 개발하였다. 애초에 킥잇업이 만들어진 시기가 롱노트가 나오던 [[엑스트라]] 전이기 때문에 최종 버전은 롱노트를 공식적으로 지원하지 않았다. 참고로 롱노트 버전의 경우, 기존 0.4a 버전 이후로 지원하지 않았던 [[BGA]] 삽입 기능이 부활했다. [[프로그램]] 고유 파일 포맷은 *.[[KSF]]. 도라에몽의 롱노트버전 킥잇업 이후 한동한 KSF 파일 구동기는 Kick it up이 맡고 있었다가 Direct Move에게 넘겨져 이 프로그램을 구하기는 조금 어렵다. 또한 최근에 나오는 KSF의 경우 채보에 필요한 방식이 여러가지로 바뀌었기 때문에 Kick it up에서 돌릴 경우 판정이 이상해지거나 변속이 먹히지 않는 등 지금 와서는 플레이하기 곤란한 프로그램. 이 프로그램은 소스가 공개되어 있다.[* "Kick it up!은 2000/08/05일 0시를 기해 Open Source로 전향합니다." - 킥잇업 파일 속 license.txt에서 발췌. 다만 [[오픈 소스]]는 상업적인 사용을 금지하면 안 된다. [[자유 소프트웨어]]라는 말도 나오지만 역시 개발자가 정확한 의미를 모르고 썼을 것으로 보인다.] 단, 몇가지 조건만 지키면 된다고 한다. ||1. 소스가 같이 공개되는 완전한 Free software이어야 합니다. 2. 원 제작자와 추가 제작자의 이름을 명시해야 합니다. ex) 1999-2000 (C) Copyright mahalo, the nogada worker, Amigo~* (C) Copyright user, the append worker. 이렇게 명시해주셔야 합니다. 제작자의 이름과 추가 제작자의 이름을 삭제하는 것은 허용하지 않습니다. 3. 'KICK IT UP!'이라는 명칭을 변경할 수 없습니다. 4. 현재 보고 있는 파일, license.txt와, readme.txt를 배포파일에 포함해야 합니다. 5. 상용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당시의 가정용판 Pump it up: The Fusion 장판을 지원했으며, [[DDR]] 장판도 플레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려는 흔적도 남아 있다. ||1. Kick it up 프로그램을 키고 Alt + Tab으로 빠져나간다. 2. Pump it up: The Fusion을 실행시키기 전 컨버터를 PAD로하고 실행. 3. 실행이 되었으면 컨버터를 Keyboard로 바꾸고 Alt + Tab하여 Kick it up을 재실행. 4. 즐기면 된다.|| [각주] [[분류:펌프 잇 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