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리눅스 커널 가상 머신 == [[http://www.linux-kvm.org/|홈페이지]] Kernel-based Virtual Machine의 약자. 특이하게도 Type 1.5 [[하이퍼바이저]]이다. OS 없이 직접 작동하는 하이퍼바이저를 Type 1, 단독으로는 작동하지 못하고 OS 위에서 작동하는 버추얼박스 같은 것을 Type 2라 하는데, KVM은 이 중간 형태다. OS가 있어야 작동하지만 "커널기반 가상 머신"이라고 하는 이 패키지의 이름처럼 커널 상에서 CPU의 가상화 지원을 기반으로 구동 된다. 굳이 리눅스 커널이 아니라도 동작하며, [[솔라리스(운영체제)|솔라리스]] 기반의 [[SmartOS]] 같은 운영체제에서도 구동이 가능하다. 기본적으로 [[QEMU]]라는 가상 머신 실행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구동 된다. [[레드햇]]에서 후원하고 있는 만큼, 해당 프로젝트의 미래를 의심할 이유는 별로 없다. 리눅스 커널에도 들어가 있는 만큼, 그 덕분인지, 사실상 현재 [[Linux|리눅스]] 기반의 가상화 표준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Openstack]]을 기본적으로 설치하는 경우 이 옵션이 표준이다. == KVM 스위치 == [include(틀:휴먼 인터페이스 장치)] 이쪽은 [[키보드|Keyboard]], [[모니터|Video]] and [[마우스(입력장치)|Mouse]] (Switch)의 약자. 보통 KVM switch라고 부른다. 서버실 같이 수 많은 컴퓨터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컴퓨터마다 각각의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를 설치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래서 한 대의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에 여러 서버를 물려놓고 단축키나 스위치 등으로 간단히 전환해가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기기가 KVM 스위치이다. 키보드와 마우스 전환만 지원할 경우 V를 빼서 KM 스위치라고도 한다. 크게 D-SUB, DVI, PS/2, 또는 USB 스위처를 통해 직접 연결하는 방식과 PC의 비디오를 캡쳐해서 네트워크 망을 통해 원격 제어하는 방식이 있다. 후자는 IP KVM 또는 KVM over IP로 부르며, 비디오 카드의 모니터 단자(D-SUB, DVI 등)에서 출력된 비디오 신호를 캡쳐해서 네트워크로 전송한다는 점에서 원격 데스크탑과 다르다.[* PC에서는 당연히 모니터로 인식한다.] 따라서 가상 머신이 아닌 이상 소프트웨어적으로는 구현하기 어려운 BIOS 화면 제어라든지, 강제 PC 전원 제어 기능 등을 제공할 수가 있다. [[델 테크놀로지스]] 등 일부 제조사의 모니터는 자체적으로 KVM을 지원하기도 한다. 단순히 키보드, 마우스 공유 기능을 원한다면 케이블 대신 [[https://symless.com/synergy|Synergy]]라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단, 유료로 구매해야 하고 클라이언트-서버 형식의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두 PC가 같은 네트워크를 공유해야 한다. [[로지텍]]의 경우 Logitech Flow라는 이름으로 동일한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여러 PC 간 키보드, 마우스(M/K 시리즈)의 공유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Synergy는 단축키로 PC를 전환하는 기능이 지원되지만, Logitech Flow는 각 PC에 모니터가 별도로 물려 있어야 온전한 사용이 가능하다. [[분류:가상화 프로그램]][[분류:휴먼 인터페이스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