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펌프 잇 업/수록곡)] [목차] == 개요 == [youtube(M7Uqwegpn20)] '''꼭두각시''' 2023년 7월 27일 [[펌프 잇 업 PHOENIX]]의 1.01버전 업데이트로 수록된 프리미엄 전용곡이다. == [[펌프 잇 업]] == || 최초 수록 버전 ||<-2> [[펌프 잇 업 PHOENIX]] || || 아티스트 ||<-2> [[onoken]] || || BPM ||<-2> 220 || || 비주얼 ||<-2> marierie || || 채널 ||<-2> Original Tunes / PHOENIX || ||<-3> 레벨 데이터 ※[[펌프 잇 업 PHOENIX|PHOENIX]] 기준 || || 타입 ||<-2> 레벨 || ||<|3> Normal || {{{#white Single}}} || __18 / 20 / 23 / '''25'''__ || || {{{#white Double}}} || __21 / 23 / 25 / '''27'''__ || |||||||||| 채보 제작자 || || 타입 |||| 레벨 및 제작자 || ||<|4> Normal ||<#ff5400> {{{#white S18 / S20 / S23 / S25 }}} ||<|2> [[CONRAD]] || ||<#00881a> {{{#white D21 / D23 / D25 / D27 }}} || [include(틀:펌프 잇 업 보스곡)] PHOENIX의 2차 티저 말미에 크레딧과 함께 짤막하게 등장한 적 있었으며, 이어 2023 PlayX4 펌프 잇 업 최강자전에서 쉬는 시간에 EXC가 직접 작곡가가 [[onoken]]인 점과, PHOENIX의 초기 보스곡이 될 것임을 밝힌 바 있다. 이후 7월 23일에 인도네시아에서 열린 피닉스 글로벌 출시 기념 XX 대회 중간에 본 곡의 S18을 EXC와 다른 대회 참가자가 시연한 바 있으며, 이 무대에서 싱글 25 / 더블 27을 포함한 난이도가 공개되었다. 전작의 디멘트와 비슷한 포지션의 곡으로 예상된다. === 채보 구성 === ==== 싱글 ==== * S18 & S20 [youtube(OihV5woK_S0)] * S23 & S25 [youtube(ux4b9njaLgY)] 싱글 25레벨 초반부의 기믹은 암기하지 않는 이상 게이지 관리를 어렵게 하고, 후반부의 2+1떨기 후에 나오는 2놋 섞인 겹발 폭타와 '''24비트 왕복 계단'''[* 16비트로 환산시 '''330BPM''']은 사이드 겹발이 강제시되는 구간이다. 싱글의 1인자라고 통하는 Zafrada도 사이드 겹발 편법을 쓸 수 밖에 없을 정도로, 정타로는 밟을 수 없는 배치이기 때문에 논란이 꽤 있는 편. 채보의 난이도도 25레벨 상급에 기믹까지 추가되어 사실상 26레벨급이라고 평가하는 유저도 없지 않아 있을 정도로 어렵다. ==== 더블 ==== * D21 [youtube(YExeagweYD8)] 후살이 아주 성의없다는 반응이 있다.(...) * D23 [youtube(xTcDVLlNh1Y)] 후살의 12비트 겹발이 23레벨 치고 어렵다는 평가가 있다. * D25 [youtube(7cOmWcQtF10)] 프라임 2까지 수록된 Crashday D26과 비슷한 패턴이지만 오히려 이 채보가 더 어렵다는 의견이 있다. 펌프 잇 업의 난이도 인플레이션이 얼마나 진행되었는지 알 수 있는 채보. * '''D27''' [youtube(kSjMhglXMX0)] 동일 곡 싱글 25를 펼친 채보로, 초반의 암기가 반드시 필요한 16비트 채보와 중반의 정지 기믹이 있는 3노트 뛰기가 체력을 서서히 갉아먹고, 후살 BPM 220 떨기에서 각력을 모조리 잡아먹은 뒤 후살의 16비트 정지 기믹이 가미된 폭타가 유저의 체력과 게이지를 동시에 바닥내는 채보이다. 기믹이 없어도 충분히 27레벨 값을 하는 채보로, 정지 기믹으로 인해 웬만한 27레벨보다 어렵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클리어 현황[* D27 기준] ==== * RSS : 23년 7월 23일 업데이트 당일에 방송중 [[https://youtu.be/d-hwLGo_2Hs|최초로 클리어하였다.]] * [[FEFEMZ*]] : 23년 8월 3일 새벽 방송 중 두 번째로 클리어하였으며, 23년 8월 4일 방송 중 10 Miss로 다시 클리어했다. * [[https://youtu.be/WCVeNC7azUg?si=qcmiRZJbWg8D1OiM|sh Kim]] : 해당 영상은 23년 9월 24일에 업로드 되었으나 그 이전에 한 번 클리어했던 기록이 있다고 한다. * Happyf33tz : 한국 시간 기준 9월 30일 클리어를 [[https://youtu.be/wHZaI6qIyXo?si=Byy0BUupm22bOIYB|달성했다.]] * Zafrada : 2023년 10월 2일에 [[https://youtu.be/moiUfLqiVN0?si=7UO0Uyr3osy-7Th6|브렉온 하였다.]] * DIESEL : 2023년 10월 20일에 [[https://youtu.be/J6KfAgGc1B4|브렉온 하였다.]] === 패턴 관련 평가 === >'''25 이상의 초고레벨을 밟지도 못하는 유저들은 없어진 [[Ice of Death| 아오데]]같은 기믹 요소를 즐길 자격도 없다는 제작진의 의도 잘 보았습니다.''' >----- >- 전 채보 제작자 [[WINDFORCE]], [[https://www.youtube.com/watch?v=ux4b9njaLgY|S23&S25 채보 영상]]에 남긴 댓글 S25와 D27에서는 DDR처럼 정박으로 진행될 것처럼 보이는 채보에 '1박 정지'를 연출하여 박자 감각을 잃게 하는 기믹이 가미되어 있다. 다만 [[펌프 잇 업 PHOENIX]]에서 기믹의 비중을 줄이겠다고 공언해 놓고, 많은 양의 구작 채보들에서 기믹을 제거하기까지 했으면서 고난이도의 기믹곡을 낸 것에 대해 일관성이 없다는 비판이 있다. 특히 KUGUTSU의 기믹은 박자 파악이 어려운 곡의 초고밀도의 채보 구간에서 노트 간격을 알 수 없게 가미했기 때문에 초견살이 심각하며 클리어에 큰 지장을 주는 기믹으로, 다른 채보들에서는 클리어에 지장이 없는 연출성 기믹들까지 삭제했으면서 오히려 해당곡의 보스 라인급 난이도에 기믹을 반영해서 '대체 무슨 의도로 기믹을 다 없앴냐'는 등의 비판을 듣고 있다. 특히 이러한 문제점은 다음 업데이트에서 수록된 [[R.I.P.(BMS)|R.I.P.]]에서도 개선되지 않은 채 그대로 반영시켜서 똑같은 비평을 듣고 있다. == 여담 == > Pump It Up 개발사인 안다미로 님은 왜 이 장르를 onoken에 맡기게 된 것인가요? > 처음에는 BPM 180 정도로 만들었는데 어느새 220까지 올라갔어요, 정말 재미있었네요.(웃음) >----- > - onoken [[https://twitter.com/ax_onoken/status/1683823683121594368|#]] * onoken이 펌프 잇 업에 처음 참여하는 것으로 화제가 되었는데, 이 후 곡이 선행 공개되면서 부터 주력 장르인 [[아트코어]]가 아닌 '''BPM 220의 하드코어 악곡'''으로 밝혀지면서 큰 충격을 주었다. 오노켄의 작업물 중에서도 압도적으로 과격한 것은 물론, 기존 스타일이 거의 남아있지 않아서 모르고 들으면 이건 대체 어떤 게 오노켄 작품인지 알 수 없을 정도.(...) [[かめりあ]] 혹은 [[NAOKI(작곡가)|NAOKI]]의 느낌이 난다는 반응도 있다. 실제로 과거 BMS 제작자 시절 NAOKI의 [[PARANOiA 시리즈]]의 영향을 받은 곡인 K8107과 PARANOIA에 K8107의 색을 입혀서 리믹스한 곡인 [[https://www.youtube.com/watch?v=2h44GjZ6Euk|P8107]]을 작곡한 적이 있다. * onoken의 공식 유튜브 및 공식 밴드캠프에 공식 음원이 공개되었다. "Chaos Mastering Ver"라는 부제가 붙었다. [[https://youtu.be/hiQTqoi6YI8|유튜브에서 감상해 보기]] * 일본어 발음은 '쿠구츠' 이지만, 영명인 'KUGUTSU' 를 영어 그대로 읽으면 오히려 [[콩국수]]와 발음이 비슷해서 펌갤 등지에서 콩국수라는 별명으로도 불린다. [[분류:펌프 잇 업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