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KORG)] [include(틀:KORG 신디사이저)] '''O'''pen '''A'''rchitecture '''S''''''Y'''nthesis '''S'''tudio [목차] == 개요 == [[KORG]]의 [[워크스테이션 신디사이저]] 시리즈. 1994년에 [[신디사이저]] 전용 OS로 시작했다가, 2000년에 OASYS PCI로 발매되었고, 2005년에 이걸 기반으로 해서 초 고성능 신디사이저를 제작했다. == 모델 == * OASYS엔진을 사용하는 M시리즈도 포함된다. === OASYS === ==== OASYS 1세대(프로토 타입) ==== [[파일:oasys1994.gif]] 1994년, [[프로토타입]]으로 제작되었다. [[NAMM Show|NAMM쇼]]에 출품되고 발매되지는 않았지만 터치 뷰나 몇몇 음원 방식, 리본 컨트롤러 및 실버의 케이스 등, 이듬해 발매되어 [[KORG/TRINITY시리즈|TRINITY시리즈]]와 Prophecy에 활용됐다. 그리고 그 이후에 발매되는 코르그 신디사이저의 기준이 되었다. ==== OASYS 2세대(OASYS PCI) ==== [[파일:oasyspci.jpg]] "OASYS PCI"라는 이름으로 NAMM쇼에 출품되면서 해외에서만 발매되었다. DSP 첨부의 PCI 오디오 인터페이스와 소프트웨어로 구성되면서 음원 방식이나 필터, 기타 등등의 모디파이어를 언어 수준에서 완성할 수 있다며 MAX/MSP와 같은 개념의 모델이었다.(참고로 이 시기 일본에서는 오디오 인터페이스 기능만을 탑재한 PCI보드 "1212I/O"가 발매됐다). ==== OASYS 3세대 ==== [[파일:KORG OASYS_3rd.jpg]] 2005년 출시. 76/88건반. 가격은 약 천만원이자, 신스에서는 최고의 성능을 자랑한다. 총 5개의 음원 엔진이 기본으로 장착되어 있고, 2001년 출시한 KARMA의 KARMA 기술도 포함되어 있다. 40GB 의 하드디스크를 사용하였고, Triton Extreme과 같이 CD-R 드라이브가 장착되어있다. 1GB 램이 장착되어있고, 2GB 로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총 1.13GB의 PCM 데이터가 있다.(압축시) 10.4 인치의 터치스크린 LCD와 2.8GHz 의 [[펜티엄 4]] 프로세서를 메인 CPU로 사용한다. 참고로 이 CPU. 프레스캇…… 메인 OS는 Knoppix라는 [[Linux|리눅스]] 배포판을 사용한다. CPU가 CPU다 보니, USB를 사용해서 리눅스를 돌리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며, 내부 데이터가 크랙되는 등, 인터넷을 보면 이걸 [[VSTi]]로 포팅하는 프로젝트가 보이기도 했다. 일단 76건반 기준으로 한화로 '''900만원대'''에 팔리던 초고가 신디사이저 그 덕분에 악명이 높았다. 그래서 일반 사람들에게는 별로 안팔리고 프로 세션맨들이 많이 사용했다. 5년동안 5000대 밖에 안팔렸다. 그 덕분인지 한국에서도 소유하는 분들이 진짜 극소수이다. [[2009년]] 공식적으로 단종되었는데 그 이유는 약 3000대 정도밖에 팔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 음원 엔진 ===== 총 5개에 음원 엔진이 기본으로 탑재되어 있는데, 목록은 다음과 같다. * HD-1 코르그의 2개의 오실레이터로 구성된 로우-에일리어싱 샘플 플레이벡 오실레이터 기술을 기반한 PCM 합성 엔진. [[Wavestation]]의 웨이브 시퀀싱 기능도 들어있다. 후에 KRONOS에도 탑재된다. * EXs EXpansion Sample의 준말으로, EXs-1은 기타, 브라스, 스트링등 어쿠스틱 악기 샘플 라이브러리며, EXs-2은 그랜드 피아노 엔진이다. * AL-1 감산합성방식의 버추얼 아날로그 신디사이저 엔진 * CX-3 1980년 KORG에서 출시한 [[하몬드 오르간]] 클론인 CX-3 엔진 * STR-1 튕기는 현악기를 물리적으로 모델링한 피지컬 모델링 합성 엔진. * LAC-1(옵션) [[MS-20]], [[KORG/Poly시리즈#s-2.1|Polysix]] 시뮬레이션 엔진. * MOD-7(옵션) Prophecy과 Z1에 탑재되어 있던 VPM(Variable Phase Modulation) 방식을 사용한 엔진으로, 이걸로 FM합성도 구현할수 있다. === M3 === [[파일:KORG M3.jpg]] 2007년 출시된 PCM 방식의 워크스테이션 신디사이저. 61/73/88건반. 새로운 합성 시스템인 EDS(Enhanced Definition Synthesis)을 사용하며, 내부 칩은 OASYS의 PCM 합성 엔진인 HD-1을 중심으로 설계되었다. Triton 라인을 따라가지만, Mini-Korg OASYS 라고도 불린다. 크기는 작고, 기능은 거의 비슷하기 때문.[* 드럼패드, 8 슬라이더 등등.] 1년뒤 M3 Xpanded로 업그레이드 됐는데 PCM데이터를 전부 갈아 치우고 시퀀싱 기능을 강화한 버전으로, 업데이트로 간단하게 업데이트가 가능하며, USB에서 음원을 불러올 수 있다. 업데이트된 EDS는 EDS-i라고 불린다. 중고 M3는 시장에 잘 보이지 않는 편인데, 터치 스크린의 퀄리티가 저열한 문제가 있었기 때문이다. 별 조작도 하지 않고 방에 방치만 해도 스스로 망가지기 시작한다는 말까지 있을 정도였지만, 그 정도까지는 아니더라도 터치 스크린이 심하게 고장이 잘 났다. 터치 스크린이 고장나면 사실상 사용하지 못한다는 점을 생각하면 큰 문제다. 더 나아가서는 KORG 본사에서도 디스플레이를 구입해서 교체하라는 식으로 배째라 대응을 보였는데, 디스플레이 생산사가 생산을 중단하는 바람에 그나마도 못하게 되었다. 화면이 고장나면 중고 판매 조차도 답이 없게 된다. 이런 이유로 M3의 중고가는 이 리스크가 반영된 탓에 Trinity와 아웅다웅할 정도로 매우 낮은 상황. 압축된 PCM 크기는 256MB.[* 참고로 Internal 데이터를 새로운 SD CARD에 옮겨서 더 빠른 로딩 속도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 M50 === [[파일:KORG M50.webp]] 2008년 출시. Korg M3의 다운그레이드 판. EDS 시스템을 사용하며, 샘플링 기능, 확장카드 지원이 없고, 동시발음수와 이펙터가 M3보단 적지만, PCM 데이터는 M3와 같다. == 사용 뮤지션 == ※ ㄱ-ㅎ/A-Z 순서 * 데렉 쉐레니언 - M3 * [[릭 웨이크먼]]([[예스(밴드)]]) - OASYS(88건반)/M3 * [[반젤리스]] - OASYS(88건반) * [[아사쿠라 다이스케]]([[access]]) - OASYS(76건반) * [[윤상]] - M3 * [[조던 루디스]]([[드림 시어터]]) - OASYS(88건반) * [[존 폴 존스]] - OASYS(88건반)/M3 * [[주윤채|지현수]]([[넥스트(밴드)|N.EX.T]]) - M50 * [[키스 에머슨]]([[ELP]]) - OASYS(88건반) * 토니 뱅크스([[제네시스(밴드)]]) - OASYS(88건반) * [[허비 행콕]] - OASYS(88건반) * [[테디]](1TIME) - OASYS[* 2NE1 TV에서 fire을 작업할때 OASYS를 사용했다.] == 여담 == [YouTube(CwzjlmBLfrQ)] * [[로완 앳킨슨]]이 [[2012 런던 올림픽]] 개막식에서 [[미스터 빈]]으로 등장해 오케스트라의 [[불의 전차]]연주에 맞춰 KORG M3를 한음만 누르면서 여러 기행을 선보였다. 물론 진짜 연주하는건 아니고 핸드싱크지만.. [[분류:KORG]][[분류:신디사이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