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북한의 미사일 전력)]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24FA2 10%, #FFF 10%, #FFF 12%, #ED1C27 12%, #ED1C27 88%, #FFF 88%, #FFF 90%, #024FA2 90%, #024FA2)" '''{{{+3 KN-18}}}'''[br][[북한|[[파일:북한 국기.svg|height=15]]]] [[북한|{{{#fff 북한}}}]]의 제식 불명 지대함 탄도미사일}}} || ||<-2>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KN-18의 모습.png|width=100%]]}}}|| ||<-2> 2017년 4월 15일, [[열병식]]에서 공개된 KN-18 || || {{{#024fa2 '''북한 명칭'''}}} ||미상 || || {{{#024fa2 '''국방백서 표기'''}}} ||SCUD 개량형 || || [[KN 코드|{{{#024fa2 '''KN 코드'''}}}]] ||KN-18 || || {{{#024fa2 '''최대사거리'''}}} ||1,000km 이상[* 시험발사는 450km였으나, 우리 국방백서에서는 MRBM으로 분류함]|| [목차] [clearfix] == 개요 == 2017년 4월 15일 [[열병식]]에 처음 등장한 스커드의 [[대함 탄도 미사일]] 타입 개량형. 기존 [[북한]]이 보유하던 [[스커드]]나 스커드-ER과는 달리 카나드 날개가 부착되어 주목을 끌었다. 북한에서는 '''정밀유도체계를 갖춘 대함 미사일'''이라며 선전하고 있다. 열병식 당시에는 이 미사일을 단순히 지대지 스커드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개량형으로 여겼으나, 4월 17일 발사 직후 폭발한 탄도미사일이 '''스커드를 개량한 대함탄도탄'''이라는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4/18/0200000000AKR20170418043900009.HTML?input=1195m|미국 측 분석]]이 나오자, 카나드를 부착한 이 탄도탄이 그 [[대함 탄도 미사일]] 아니냐는 추측이 나오고 있다. 한때는 KN-17로 혼동되기도 했다. 하지만 이 때 발사한 KN-17은 이 미사일이 아니라 [[화성-12]]형이였고, 추후 이 미사일이 시험발사됨에 따라 '''KN-18'''이라는 명칭을 부여받았다. == 성능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external/milidom.net/ac09aa49f0206530864de47f204a8d32.jpg|width=100%]]}}} || || KN-18과 부분별 명칭 표시 || [[대함 탄도 미사일]]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술은 [[북한]]과 [[이란]]의 커넥션으로 공유된 것이라고 의심되고 있으며, 이란의 Khalij Fars (이란어로, '페르시안 만'이라는 뜻) 대함 탄도미사일에 적용된 것과 같은 방식인 중적외선 탐색기를 이용한 종말 유도 방식을 이용할 것이라고 추측되고 있다. [* 북한은 [[맨패즈]]를 개발하면서 중적외선 탐색기 기술을 확보하였다. 이미 군은 북한이 중적외선 탐색기를 부착한 [[맨패즈]]를 실전배치했다고 여기고 이를 기만할 수 있는 중적외선 기만기(플레어) 도입을 요구한 바 있다. (출처: 2016년 국방위 예결소위)] 또한 카나드 부착 및 퍼싱 2의 그것과 흡사한 탄두부 외형 때문에 MaRV(Maneuverable Re-entry Vehicle; 조정 가능 재돌입체) 기술이 들어간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있다. 다만 [[DF-21]]과 같은 [[MRBM]]~[[IRBM]]급의 대함 탄도탄을 운용하는 [[중국]]과 달리 [[북한]]은 정찰위성, OTH 레이더, 중~고고도 UAV 등의 탐지 체계와 이들 센서를 통합할 지상지휘통제체계를 갖추지 못하고 있으므로, [[북한]]이 커버가 가능한 연안 지역 혹은 [[한국 해군]]과 상선이 주로 이용하는 해역을 대상으로 제한적인 운용이 이루어질 것으로 여겨진다. [[DF-21]]은 중국 본토와 상당히 거리가 있는 [[남중국해]]를 작전 범위로 하기 때문에 충분한 사정거리와 ISR 능력이 담보되어야 하지만, KN-18이 겨냥하는 바는 기껏해야 북한 연안에서 수백km 떨어진 [[동해]]나 [[서해]]에서 작전하는 구축함/항모전단이므로, 요구성능은 낮은편이다. 다른 나라에서 볼 수 없는 [[이동형 미사일 발사대|TEL]](미사일운반차량)이 트럭이 아니라 [[궤도]]를 장착하는 [[장갑차]] 개조형[* [[천마호]]로 추정된다.] 것에 대해, 일부 군사평론가들은 북한이 트럭을 만들 기술이 없어서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국방부 대변인을 했던 중앙일보 김민석기자], 다른 군사 평론가들은 오랫동안 관리를 하지 않은 [[북한]]의 [[교량]]이나 [[도로]]가 시원찮아서 [[트럭]]이 지나가기에는 불안하고, 얕은 시내 정도는 스스로 건너야 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한 바 있다. == 시험발사 == 2017년 5월 29일 [[원산시]]에서 시험발사에 나섰다. 다음날인 30일, 북한 언론은 '''정밀유도체계를 도입한 대함미사일''' 성공이라고 보도했다.[[http://news.tv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5/30/2017053090132.html|#]]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KN-18 1차 시험 발사.png|width=100%]]}}} || || 2017년 5월 29일, KN-18의 1차 시험 발사 모습 || 이렇게 북한 언론에서 공개한 사진으로, [[카나드]]가 달린 [[스커드]] 개량형 미사일임이 확인되었다. 북한 언론의 선전에 따르면 '정밀유도탄도로켓트'라고 했으며 '조종전투부 분리'라고 표현한 것으로 보아 기존 스커드가 1단식인것과는 달리 카나드 날개가 달린 부분이 분리되는 탄두인 것으로 판단된다. 450km 사거리로 비행했으며 [[원형 공산 오차]] '''7m'''라고 선전했다.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KN-18 발사모니터.jpg|width=100%]]}}} || || 시험 발사 장면과 함께 공개된 발사 모니터 || 발사 장소는 [[https://www.google.com/maps/@39.1953118,127.4759783,361m/data=!3m1!1e3?hl=ko|39.1966997,127.4763751]] 갈마반도 북단의 삼거리(...)이다. 삼거리와 경사로, 해안선의 형상, 후면의 'ㄷ' 모양 건물로 확인할 수 있다. 송도원의 김정은 별장 인근으로 주목받았다. == 분석 == 만약 이 선전이 맞다면 대함탄도탄은 물론, 대지탄도탄으로 한국의 군사, 산업시설에 대한 '''정밀타격'''에 충분히 사용할 수 있는 실용성이 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0&sid2=267&oid=001&aid=0009302388|#]] 일각에서는 [[중국]]의 [[DF-21]]의 CEP가 500m이므로 북한이 이보다 정밀한 미사일을 만드는게 불가능하다는 주장을 하는데, [[위키백과]]에 의하면 1985년에 개발완료된 나온, DF-21 초기형의 [[CEP]]가 700m이긴 하지만, 중국판 [[GPS]] 베이더우(북두)의 유도를 받는 DF-21B는 10m급이며, 대함미사일로 개발된 DF-21D도 비슷한 정밀도를 보인다고 나와 있다. 그러니까 DF-21D는 DF-21과 플랫폼만 같을 뿐, 유도장치는 '''전혀 다른 미사일이라는 것.''' [[https://en.wikipedia.org/wiki/DF-21|위키백과]]. 미사일의 정밀도는 유도장치가 핵심이므로, [[북한]]이 [[중국]]의 [[베이더우]]나 [[러시아]]의 [[글로나스]]를 이용했다면 스커드의 정밀도를 향상시켜 [[대함미사일]]로 이용하는 것도 아주 불가능하지는 않을 듯 하다. == 재등장 여부 == * 2020년 11월 24일 북한이 발간한 무기 화보집에서도 제식 명칭은 공개되지 않았다. [[https://www.msn.com/ko-kr/news/other/%EA%B9%80%EC%A0%95%EC%9D%80-%EC%8B%9C%EB%8C%80-%EB%AC%B4%EB%A0%A5-%EB%8C%80%EB%86%93%EA%B3%A0-%EA%B3%BC%EC%8B%9C%E5%8C%97-63%EC%AA%BD-%EB%AC%B4%EA%B8%B0-%ED%99%94%EB%B3%B4%EC%A7%91-%EB%83%88%EB%8B%A4/ar-BB1bkg13|#]] * 또한 어째서인지 [[자위-2021]]에 등장하지 않았다. 늘어난 사거리와 모듈화 액체연료 탱크로 인해 신속한 발사가 가능해서 성능으로 우위인 [[조선인민군 극초음속 미사일 2형|극초음속 미사일 2형]]에 밀린듯 하다. 하지만 안내판도 여러개 전시되었으므로 그 때 사진으로 전시되었을수도 있다. * 2022년 4월, 김정은 집권 10주념을 기념해 [[조선혁명박물관]]에 김정은관이 생겼는데, 그곳에 ''핵무력을 중추로 하는 막강한 군사력은 우리식...''이라는 코너에서 김정은의 업적으로 소개되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6SJg0cZhhi8|동영상의 16초 부근]]에서 KN-18 시험발사 성공 후 좋아서 날뛰는 전략군 사막복 병사들 사진이 보인다. [[분류:준중거리 탄도 미사일]][[분류:조선인민군/장비]][[분류:대함 미사일]][[분류:스커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