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KF 블라즈니아 슈코더르]] [include(틀:카테고리아 수페리오레)] ||<-2><#FFF,#CBCBCB><:> [[파일:Vllaznia_Shkodër_Club_Logo.svg.png|height=300]] || ||<-2><#0018a1> '''{{{#FFFFFF {{{+1 KF 블라즈니아 슈코더르 }}}}}}''' || ||<-2><#d81921> '''{{{#FFFFFF {{{+1 KF Vllaznia Shkodër}}}}}}''' || ||<:> '''정식 명칭''' || Klubi i Futbollit Vllaznia || || '''애칭''' ||'''알바니아 축구의 요람 (Cradle of Albanian football)[br]적&청 (Red & Blues)''' || || '''창단''' ||1919년 || || '''소속 리그''' ||[[카테고리아 수페리오레]] || || '''연고지''' ||[[슈코더르]] (Shkoder) || || '''홈 구장''' ||[[에어 알바니아 스타디움|아레나 콤베타레]] (Arena Kombëtare)[br](16,000명 수용) || || '''라이벌''' ||[[KF 티라나|{{{#000000 '''KF 티라나'''}}}]] - '''올타임 알바니아 더비'''[br][[KF 라치|{{{#000000 '''KF 라치'''}}}]], [[FK 쿠케시|{{{#000000 '''FK 쿠케시'''}}}]] - '''북부 알바니아 더비'''[br]'''플라무르타리 FC''' || || '''소유주''' ||로베르토 나바 (Roberto Nava) || || '''감독''' ||고체 세들로스키 (Goce Sedloski)[* [[북마케도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100경기를 출장하여 [[고란 판데프]]와 함께 [[FIFA 센추리 클럽]]에 가입한 [[북마케도니아]]의 레전드이다.] || || '''주장''' ||에르데니스 구리슈타 (Erdenis Gurishta) || || '''공식 홈페이지 및 소셜 미디어''' || || ||<-2><#d81921> '''{{{#ffffff 우승 기록}}}''' || || [[카테고리아 수페리오레|'''{{{#ffffff __카테고리아 수페리오레__ (1부)}}}''']][br]{{{#ffffff (9회)}}} ||1945, 1946, 1971-72, 1973-74, 1977-78, 1982-83, 1991-92, 1997-98, 2000-01 || || [[카테고리아 에 파러|'''{{{#ffffff __카테고리아 에 파러__ (2부)}}}''']][br]{{{#ffffff (2회)}}} ||1957, 1962 || || [[알바니아 컵|'''{{{#ffffff __알바니아 컵__ (FA컵)}}}''']][br]{{{#ffffff (8회)}}} ||1964-65, 1971-72, 1978-79, 1980-81, 1986-87, 2007-08, 2020-21, 2021-22 || || [[알바니아 슈퍼 컵|'''{{{#ffffff __알바니아 슈퍼 컵__ }}}''']][br]{{{#ffffff (2회)}}} ||1998, 2001 || ||<-2><#d81921> '''{{{#ffffff 이적 기록}}}''' || || '''{{{#ffffff __최고 이적료 영입__}}}''' ||-|| || '''{{{#ffffff __최고 이적료 방출__}}}''' ||-|| [목차] == 개요 == '''[[알바니아]]에서 가장 오래된 클럽''' == 역사 == 1908년 [[몰타]] 출신의 신부인 구트 루터가 [[슈코더르]]에 처음으로 [[축구]]를 소개하였고 팔로케 니카를 중심으로 인디펜더스 슈코더를 창단하였다. 그리고 창단된 구단은 알바니아인으로만 구성된 팀으로 최초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해군 팀과 경기를 가졌고 팀은 2-1 패배하였다. 이 경기에서 골을 넣은 팔로케 니카는 다른 스포츠 선수들과 1919년 블라즈니아 스포츠 클럽을 설립하고 축구 팀을 창단하였다. 클럽은 1920년 [[KF 티라나]]와 첫 경기를 가졌고 이후 [[카테고리아 수페리오레]]가 설립되기 전까지 국내외를 가리지않고 친선경기를 가졌다. [[알바니아 사회주의 인민 공화국|공산주의 정권]] 시절에는 간간히 리그와 컵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하여 유럽 대항전에 진출하였다. 공산주의 정권이 무너지고 2000년대 팀은 어려운 상황에 쳐해지게 된다. 2003년 팀의 구단주였던 미프타르 셀라가 [[몬테네그로]]에서 총에 맞아 사망하는 일이 발생하였고 이후 2006년 팀의 구단주로 발터 푸사이가 당선되었다. 문제는 그가 팀의 성과에는 관심이 없었고 뇌물과 부패를 일삼았다. 미프타르 셀라로 인해 팀이 어려워진 상황에서 로베르트 나바가 팀을 인수하였지만 결국 강등당하였다. 다행히 다음 시즌 승격에 성공하였고 2020-21 시즌 알바니아 컵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반등에 성공하였다. 2021-22 시즌에도 알바니아 컵을 우승하면서 2년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 리그에서는 5위를 기록하였다. 2021-22 시즌 컵 우승을 하며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2차 예선에 진출했다. 상대는 루마니아의 [[CS 우니베르시타테아 크라이오바]]. 1차전에서는 1-1로 비겼다. 2022-23 시즌 리그 4위를 기록하며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1차 예선에 진출했다. 상대는 북아일랜드의 [[린필드 FC]]. 1차전에서는 3-1로 패배했다. 2차전에서는 1-0으로 승리했지만 총 점수에서 밀리며 탈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