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교된 고등교육기관)] ||<-2> {{{+1 {{{#ffffff '''KDB금융대학교'''}}}}}} [br] {{{#ffffff '''KDB金融大學校'''}}} [br] {{{#ffffff ''' KDB Financial Univercity'''}}} || ||<-2> [[파일:KDB금융대학교 엠블럼.svg|width=100]] || || '''표어''' ||'''금융현장에서 필요로하는 창의적 지식기반과''' '''실무능력을 겸비한 금융전문인력 양성''' || ||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분류''' ||사내대학 || || '''개교''' ||[[2012년]] [[10월 31일]] '''KDB금융대학교''' || || '''폐교''' ||[[2021년]] || || '''주소''' ||제1캠퍼스 : [[경기도]] [[하남시]] 망월동 290-1 제2캠퍼스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은행로 14 || || '''링크''' ||[[https://kfu.kdb.co.kr/index.jsp|[[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2> '''제1캠퍼스''' || ||<-2> [include(틀:지도, 장소= 경기도 하남시 망월공 290-1, 너비=100%, 높이=150px)] || ||<-2> '''제2캠퍼스''' || ||<-2> [include(틀:지도, 장소=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은행로 14 한국산업은행 본점, 너비=100%, 높이=150px)]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기도]] [[하남시]]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에 소재한 [[KDB금융그룹]]의 [[사내대학]]. 금융학에 특화된 최초이자 유일한 사내대학으로 [[금융학과]]만 개설했었다. [[이명박 정부]] 때 [[한국산업은행]]의 [[민영화]]가 추진되면서 [[특성화고졸재직자|특성화고 출신 직원]]을 뽑게 되었고 [[특성화고등학교|특성화고]] 출신 직원의 성장을 위해 만든 대학이다. 하지만 가장 먼저 등장한 사내대학인 [[삼성전자공과대학교]]를 벤치마킹하다보니 출결관리와 시험을 엄격하게 진행하였는데, 이는 상대적으로 널널한 학교생활을 하다가 입사한 특성화고 출신 학생들에게 큰 부담을 주었고 너무 빡빡한 커리큘럼을 버티지 못해 [[http://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8696| 휴학률과 학사경고 비율이 매우 높아지는 참사를 불러왔다.]] == 캠퍼스 == === 1캠퍼스 === [include(틀:지도, 장소=경기도 하남시 망월공 290-1, 너비:500px)] 경기도 하남시 미사대로 350에 소재한다. === 2캠퍼스 === [include(틀:지도, 장소=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은행로 14 한국산업은행 본점, 너비:500px)]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은행로 14 한국산업은행 본점에 소재한다. == 학과 == * 금융학과 == 폐교 == 입학생 수가 매년 줄어들고 있고 자퇴생도 많은데, 2018년에는 급기야 정상적인 학사운영에 필요한 최소 인원을 충족하지 못해서 [[https://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421&aid=0003626623| 신입생 모집이 중단]]되었다. [[한국산업은행]]의 민영화가 취소되었고, 특성화고 출신 직원도 더 이상 뽑지 않게 되자 필요성이 사라져서 [[http://www.kukinews.com/news/article.html?no=764820/| 남은 학생이 모두 졸업하고 폐교하였다.]] [[분류:폐교된 대학교]][[분류:한국산업은행]][[분류:2013년 개교]][[분류:2021년 폐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