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동인 음악 작곡가]][[분류:대한민국의 게임 음악가]][[분류:1996년 출생]] [[파일:KARUT 2.webp]] [목차] KARUT / TriplebulletS [[https://www.triplebullets.com/|포트폴리오 홈페이지]], [[https://twitter.com/TriplebulletS|트위터]], [[https://soundcloud.com/k_arut|사운드클라우드]], [[https://www.youtube.com/channel/UC8EVaDH23msdXamsSAMdx8w|유튜브]], [[https://www.instagram.com/jekyoungkim/|인스타그램]] == 개요 == KARUT는 본명이 김제경, 2012년부터 음악을 시작해 경력이 10년차를 넘은 동인 음악 뮤지션 및 DJ다. 사용 [[DAW]]는 [[FL Studio]]→[[Ableton Live]]이다. == 특징 == 보통 [[동인 음악]] 뮤지션들은 [[Be-Music Script]] 씬에서 어느정도 활동하거나, 최소한도로 자신의 역량을 시험하는 정도로만 활동하는 관례가 있어왔지만, 일본에서는 BMS 및 리듬게임 경력 일체를 경유하지 않은[* 그러나 취미 차원에서는 [[리듬 게임]] 영향을 받은 경우가 상당하다.] 동인 음악 뮤지션의 케이스도 제법 있다. 그런데 한국에서도 드물게 BMS 씬을경유하지 않고 자체적인 동인음악 활동만으로도 지금의 입지를 쌓아올렸다는 점에서 이례적인 케이스라고 볼수 있다. 주력 장르는 [[하드코어 테크노|J-Core]]이나, 레이브 일체는 물론 트랜스와 뉴 잭 스윙도 작곡하는등 제작가능한 장르폭이 넓은편이다. == 활동 == 지금은 사라진 [[Team Progressive]]의 서브레이블 [[HYPERMESS Recordings]]에 2014년 악곡을 취입하기 시작하면서, 이쪽 계열의 인물을 주변으로 활동을 지속해왔다. 2015년 첫 EP를 내놓았고, 2016년 일본 동인음악계에 악곡을 취입하기 시작하였다. 이후 [[KATOMORI]], [[Zekk]], [[Aiobahn]] 등 비슷한 항렬대의 한국 동인 음악 아티스트[* 특성상 여기 거론한 아티스트들은 사실상 해외파에 가깝다.]와 자주 교류하였고, 2019년 Zekk와의 합작을 계기로 [[MEGAREX]]의 앨범에 게스트로 참여하기 시작한다. 2021년에는 [[Diverse System]]의 악곡응모에도 입선되었으며, [[블루 아카이브]]의 메인 BGM 컴포저에 참여하면서 한창 주가를 올리고 있다. 블루아카이브 오프라인 이벤트에 DJ로 참여하기도 하였다. 인지도와 달리 리듬게임 악곡에의 참여는 다소 늦은편이나, 그 첫 리듬게임 참여가 [[DANCERUSH STARDOM]]에 외주 악곡을 제공하는 기염을 토했다.[* 다만 실질적인 첫 리듬게임 참여는 Dynamix 공모전이 처음이라고 SNS에서 밝힌 바 있다.] 이어 2023년에는 [[beatmania IIDX]]의 31번째 넘버링 [[EPOLIS]]의 로케이션 테스트 선공개곡으로 [[GloriosA]]를 제공하며 [[Zekk]]를 이어 [[투덱]]에 곡을 수록한 2번째 한국인 작곡가가 되었다. TERRAGAZER 크루 활동도 일선에서 지속중이다. 여럿 합작 명의가 있는데 poplavor(舊 jh_anu)와의 2인합작 프로젝트 명의 Stripe.P가 있으며, Zekk와의 합작명의는 kazeoff를 사용한다. === DJ === DJ 활동도 하는데 얼마 안되는 동인 음악 이벤트 이외에 [[애니송클럽]]에도 한두번정도 참여한것으로 보인다. 트위치 Super Speedrun Marathon 스피드런 방송 행사에서 중간 DJ공연을 했는데, 플레이리스트에 90~00년대 게임음악들을 올려놓아서 당시 시청자들에게 열광적인 반응을 이끌어내기도 하였다. [[포스트 코로나]]의 대안으로 [[VRChat]] 플랫폼의 [[메타버스]] DJing이 각광받으면서 국내최초의 메타버스 DJ 이벤트 브랜드인 CLUB COLOR에서 주최하는 이벤트 등 메타버스 DJ로도 여러번 참여하였다. == 약력 == 약력의 경우 상기의 포트폴리오 페이지를 참조하였다. === 일반음반 === * This Is Really Expensive Vol.1[*F 무료공개/디지털포맷] * This Is very Expensive Vol.2[*F] ==== EP ==== * Caffeine Drinker (2016) ==== 싱글 ==== * NEO JACK - 90년대 복고풍 [[뉴 잭 스윙]]을 표방한 짧은 곡이다. * OVER * Assault Gear === 참여 앨범 === * HYPERMESS Recordings * MESS-GAME Vol.3 * [[EZ2AC 시리즈|EZ2AC]] REMIX PROJECT - SPACE - * MESS-GAME Vol.4 * Riparia Records * COLORS * [[MEGAREX]] * Beyondcore EVANGELIX * FÜGENE 04 * Jersey club Re:Bible 01 * TechCore Evangelix 02 * Beyond core EVANGELIX 02 * NRG NU ERA 2020 * DAZZLE * HYPER EVANGALIX * TERRAGAZER * TERRA-FORMING * TERRAVASION * TERRANCE * [[Diverse System]] * AD: HOUSE9 * AD: HOUSE Winter 2 * Riparia Records * COLORS * NOISESTROKE * Above The World ll * Ayamati-Records * Getting Break 3 * 電脳.wav * SMOOZ DISCO * #ffffff Records * The Umbra === 참여작 === ==== [[인디 게임]] ==== * Alpheratz의 1인제작 게임들 * Wicce * 월광괴도 ==== [[게임 음악]] ==== * [[블루 아카이브]] - 상세는 [[블루 아카이브/BGM]] 참조. * [[승리의 여신: 니케]] * Extreme Tunnel Destroyer (그레이브디거 보스전 테마곡) * Labyrinth of Void (로스트 섹터) * Ground Fall (12지) ===== [[리듬 게임]] 음악 ===== * [[DANCERUSH STARDOM]] * NEW SOLUTION * [[Dynamix]] * [[Hyperspace Jump]] * [[Sixtar Gate: STARTRAIL]] * [[NeosbladE]] * Azure Eyez * Shining Aquarius * [[Daydream(RiraN)|Daydream]] (KARUT Remix) * [[EZ2ON REBOOT : R]] * [[Cybernetic Geist]] * [[beatmania IIDX 31 EPOLIS]] * [[GloriosA]] == 기타 == * 위의 로고에도 나와있듯이 일문 표기는 カルット다. カルト가 아니다.[* Cult의 음차지만, 영미권과 마찬가지로 [[사이비 종교]] 일체를 의미한다.] * [[똘똘똘이]]가 부른 [[Offset(청하)#s-2.2|Roller Coaster]]를 [[유로비트]] 풍으로 리믹스하여 똘똘똘이의 방송에서 [[https://youtu.be/VZDDa1mHpco?t=7462|이목을 끌었다.]] [[https://youtu.be/njrCqbM-yNY|유튜브 영상 버전]] [[https://soundcloud.com/karut_storage/super-eurobeat-extended-mix|사운드클라우드 음원 버전]] * 블루 아카이브 OST제작을 함께한 협업자 TSK와 함께 [[김나성]]의 소스를 활용한 음원창작 대회인 [[https://youtu.be/v0JJCsiRt1Q?list=PLs9TpB_wGC2T5E83QMJStWbZ1fGgNY-Ey&t=3750|NACC에 참여한 적이 있다]]. [[https://youtu.be/4Jehwj3y9AY|본인 채널에 올라온 버전]] 이후 NACC가 더 개최되면서 밝혀진 바로는 TSK가 주변인에게 재미있는 대회가 있다며 추천하였다고 하는데 그 때에 이끌렸던 것으로 보인다. * 블루 아카이브 게임내에 자기 목소리를 샘플링해서 자신이 쓴 악곡에 끼워넣기도 하였다. [[카이텐저]] 테마곡 시작부분의 "카이텐저~"라든가 [[고즈(블루 아카이브)|고즈]] BGM 초반의 왜곡된 웃음소리가 바로 그의 셀프 샘플링이다. * [[고추참치(노래)]] 유로비트 리믹스를 한 게 있다. [[https://youtu.be/s3za4YMIyT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