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020년 영화]][[분류:프랑스의 다큐멘터리 영화]][[분류:프랑스의 음악 영화]][[분류:유럽의 다큐멘터리 영화]][[분류:벨기에의 음악 영화]][[분류:미국의 다큐멘터리 영화]][[분류:미국의 음악 영화]][[분류:미국의 TV 영화]][[분류:독일의 TV 영화]][[분류:콘서트 영화]] ||<-2>
{{{#000000,#dddddd '''{{{+1 K클래식 제너레이션}}}''' (2020)[br]''K-Classics Generation''[br]''Koreas junge Klassik-Stars''}}} || || '''장르''' ||{{{#!wiki style="margin: 0px 10px" 다큐멘터리, 음악}}} || || '''감독''' ||{{{#!wiki style="margin: 0px 10px" 티에리 로로}}} || || '''프로듀서''' ||{{{#!wiki style="margin: 0px 10px" 프레데릭 드쿠}}} || || '''출연''' ||{{{#!wiki style="margin: 0px 10px" 임지영, 황수미, 에스메콰르텟, [[조성진(피아니스트)|조성진]], [[문지영(피아니스트)|문지영]], 김윤지 등}}} || || '''촬영''' ||{{{#!wiki style="margin: 0px 10px" 티에리 로로, 피에르 베어}}} || || '''편집''' ||{{{#!wiki style="margin: 0px 10px" 피터 피터스}}} || || '''제작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파일:독일 국기.svg|width=20]] 아르떼 G.E.I.E(ARTE G.E.I.E.)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20]] 윌로니-브뤼셀 협회의 영화 시청각 센터(Centre du Cinéma et de l'Audiovisuel de la Fédération Wallonie-Bruxelles)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Media Res}}} || || '''수입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뮤직앤아트컴퍼니]]}}} || || '''배급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파일:독일 국기.svg|width=20]] 아르떼 G.E.I.E(ARTE G.E.I.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엣나인필름]]}}} || || '''개봉일'''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파일:독일 국기.svg|width=20]] 2020년 10월 25일(TV)[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2년 8월 31일(극장)}}} || || '''상영 시간''' ||{{{#!wiki style="margin: 0px 10px" 72분}}} ||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wiki style="margin: 0px 10px" 545명 }}} || || '''상영 등급''' ||{{{#!wiki style="margin: 0px 10px" '''[[전체 이용가|[[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2021.svg|width=30]] {{{#373a3c,#dddddd 전체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프랑스, 독일, 벨기에, 미국이 제작에 참여한 2020년 TV 다큐멘터리 영화. 감독은 벨기에 출신의 티에리 로로이고, 한국에서는 2022년 8월에 극장가에서 개봉했다. == 예고편 == [youtube(Hnb2KsThS-I)] == 시놉시스 == >‘우리들의 음악이 새로운 시대를 열 거야’ > 전세계로 뻗어 나가고 있는 젊은 한국 클래식 음악가들의 노력과 도전에 대한 놀라운 이야기 >---- >출처: [[네이버 영화]] == 등장인물 == * 임지영 * 황수미 * 에스메콰르텟 * [[조성진(피아니스트)|조성진]] * [[문지영(피아니스트)|문지영]] * 김윤지 == 설정 == 2010년대 이후 활발해진 한국의 클래식 연주자들의 유럽 콩쿠르 수상과 활발해진 진출 및 활동에 대해, 한국인의 시선이 아닌 유럽 현지의 시각을 볼 수 있는 작품이다. 이들은 이러한 움직임을 [[K-POP]]에 대비하여 K클래식이라고 정의하며, 그러한 K클래식의 본고장이 된 한국의 클래식계를 살펴보기 위해 한국을 방문한다. 이들은 한국 클래식계의 두 가지 특징을 경외 어린 시각으로 바라보는데, 첫째는 한국의 클래식 교육 시스템이 체계적이라는 점이고, 두번째는 유럽 현지에 비해 클래식 팬층의 연령대가 젊다는 점이다. 심지어 한국에서 활동하는 유럽의 클래식 관계자조차도 자신이 '락스타가 된 느낌'이라는 소감을 밝힌다. 다만 유럽인 제작진이 부러운 시선으로 바라보는 것과 달리, 한국의 클래식계 인사들은 인터뷰에서 한국이 유럽에 비교해 부족하다고 느끼는 점을 솔직하게 밝히고 있다. 예를 들면, 모든 연주자들이 버릇까지 똑같이 되는 스타일의 한국 클래식 지망생들의 오디션을 경험한 학장은 창의적이고 자유로운 유럽의 클래식 지망생들에 비해 부족하다고 생각한다는 것 등이다. == 흥행 == ||<-4>
출처: [[https://www.boxofficemojo.com/title/(링크)/|박스오피스 모조]] || || 국가 || 개봉일 ||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 기준일 || || '''전 세계''' || (최초개봉일) || '''$(세계누적)''' || '''(기준일자)''' || ||<-4>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캐나다, 출력= )][[북미]]''' || 미정 || '''미개봉''' || 미정 ||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 미정 || '''미개봉''' || 미정 || ||[include(틀:국기, 국명=)] || 미정 || '''미개봉''' || 미정 || === [[대한민국]] === ||<-7>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 || '''주차''' || '''날짜''' || '''일일 관람 인원''' || '''주간 합계 인원''' || '''순위''' || '''일일 매출액''' || '''주간 합계 매출액''' || || 개봉 전 || ||<-2> 92명 || 미집계 ||<-2> 920,000원 || ||<|7> 1주차 ||2022-08-31. 1일차(수) || 175명 ||<|7> 342명 || 31위 || 1,883,400원 ||<|7> 3,600,700원 || ||2022-09-01. 2일차(목) || 24명 || 58위 || 229,300원 || ||2022-09-02. 3일차(금) || 32명 || 50위 || 286,100원 || ||2022-09-03. 4일차(토) || 35명 || 65위 || 405,100원 || ||2022-09-04. 5일차(일) || 40명 || 51위 || 456,500원 || ||2022-09-05. 6일차(월) || 16명 || 55위 || 160,000원 || ||2022-09-06. 7일차(화) || 20명 || 53위 || 180,300원 || ||<|7> 2주차 ||2022-09-07. 8일차(수) || 12명 ||<|7> 93명 || 64위 || 108,000원 ||<|7> 1,032,300원 || ||2022-09-08. 9일차(목) || 6명 || 81위 || 59,800원 || ||2022-09-09. 10일차(금) || 16명 || 71위 || 172,500원 || ||2022-09-10. 11일차(토) || 20명 || 56위 || 241,000원 || ||2022-09-11. 12일차(일) || 23명 || 62위 || 284,500원 || ||2022-09-12. 13일차(월) || 7명 || 75위 || 82,500원 || ||2022-09-13. 14일차(화) || 9명 || 69위 || 84,000원 || ||<|7> 3주차 ||2022-09-14. 15일차(수) || 13명 ||<|7> 16명 || 68위 || 127,000원 ||<|7> 155,000원 || ||2022-09-15. 16일차(목) || -명 || -위 || -원 || ||2022-09-16. 17일차(금) || -명 || -위 || -원 || ||2022-09-17. 18일차(토) || 2명 || 127위 || 18,000원 || ||2022-09-18. 19일차(일) || -명 || -위 || -원 || ||2022-09-19. 20일차(월) || -명 || -위 || -원 || ||2022-09-20. 21일차(화) || 1명 || 110위 || 10,000원 || ||<|7> 4주차 ||2022-09-21. 22일차(수) || -명 ||<|7> 2명 || -위 || -원 ||<|7> 12,000원 || ||2022-09-22. 23일차(목) || -명 || -위 || -원 || ||2022-09-23. 24일차(금) || -명 || -위 || -원 || ||2022-09-24. 25일차(토) || 2명 || 117위 || 12,000원 || ||2022-09-25. 26일차(일) || -명 || -위 || -원 || ||2022-09-26. 27일차(월) || -명 || -위 || -원 || ||2022-09-27. 28일차(화) || -명 || -위 || -원 || || '''합계''' ||<-6> '''누적관객수 545명, 누적매출액 5,720,000원'''[* ~ 2022/09/24 기준] || *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 ## 1위를 차지할 시 순위에 볼드체를 적용해 주세요. ## 날짜는 개봉 일정에 맞게 변경해 주세요. === [[북미]] ([[미국]]·[[캐나다]]) === === 기타 국가 === == 기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