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JSL romanization}}} [include(틀:로마자 표기법)] [목차] == 개요 == [[일본어]], 특히 표준 일본어 발음을 표기하기 위한 [[로마자]] 표기법. [[미국]] [[언어학|언어학자]] 엘레노어 하즈 조든(Eleanor Harz Jorden)이 [[훈령식 로마자 표기법]]을 수정하여 만든 표기법인데 1987년 그녀의 저서인 ''{{{#!html Japanese: The Spoken Language}}}''에서 처음 사용하였기 때문에 JSL romanization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그녀가 박사학위를 받은 곳이 [[예일 대학교]]라서 '''일본어의 [[예일식 로마자 표기법]]'''(Yale romanization of Japanese)라는 별칭이 붙어 있다. == 특징 == ||<-3> 예: 立つ(tat-u) || || 용언 형태 || JSL || [[헵번식 로마자 표기법|헵번식]] || || 미연형 1 || tat-a- || tat-a- || || 미연형 2 || tat-o- || tat-o- || || 연용형 || tat-i- || tach-i- || || 종지형 || tat-u. || tats-u. || || 연체형 || tat-u- || tats-u- || || 가정형 || tat-e- || tat-e- || || 명령형 || tat-e. || tat-e. || 위와 같이 훈령식을 기본으로 했기 때문에 헵번식에 비하면 [[파찰음]]화, [[구개음화]]가 반영이 되지 않아 [[영어]] 발음상 괴리가 있어도 [[용언]]의 활용 체계를 한 눈에 이해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장음은 현대 가나 표기법 철자와 무관하게 그냥 모음 문자를 2개 이어서 쓴다. 그래서 JSL에서 [[도쿄도|도쿄]]는 Tookyoo~~투큐~~, [[오사카시|오사카]]는 Oosaka~~우사카~~로 적힌다. ou, ei는 실제 발음이 '오우', '에이'라고 읽히는 때에 쓰고 장음으로 읽히면 oo, ee로 적는다. [[ん]]은 n이 아니라 n̄으로 쓴다. 따라서 n은 [[な]]행의 /n/ 음소를 나타낼 때만 쓴다. (にほん: nihon̄) /ɡ/ 음소는 \[ɡ\]로만 발음되는 경우 g로 쓰고, \[ŋ\]으로 읽힐 수 있는 경우([[비탁음]]) ḡ로 쓴다. 조사 は, へ는 실제 발음대로 wa, e로 쓴다. 일본어의 고(高)악센트는 [[diacritics|보조 부호]]를 붙인다. 어절 안에서 고악센트로 발음하기 시작하는 음절의 모음 글자 위에 ´(acute accent)를 붙이고 `(grave accent)는 고악센트가 끝나는 음절의 모음 글자 위에 붙인다. 만약 어절 안에서 한 음절만 고악센트일 경우[* 즉 앞뒤의 음절은 모두 저악센트.] ˆ(circumflex)를 해당 음절의 모음 위에 붙인다.[* 일본어의 악센트는 높은 음과 낮은 음으로 구별되는 고저 악센트(pitch accent)인데, [[가나(문자)|가나]] 문자로는 표기되지 않는다. 일본어의 방언들 중 악센트가 없는 방언(무악센트 방언)을 제외하고, 악센트가 있는 모든 방언에서는 한 어절 안에서 한 번 고악센트에서 저악센트로 내려가면 다시 고악센트로 올라가지 않는다. 그래서 JSL 로마자 표기법에서 악센트 표기를 이런 식으로 정한 것이다.] JSL에서는 일본어의 악센트를 보조 부호로 표현하기 위해 장음을 두 글자로 겹쳐 쓰게 한 것이다. == 관련 문서 == * [[일본어]] * [[일본어 로마자 표기법]] * [[훈령식 로마자 표기법]] * [[예일식 로마자 표기법]] [[분류:표기법/일본어]] [[분류:로마자 표기법]][[분류:예일 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