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J1리그]] ||<-5><#FFFFFF><:>[[J1리그|[[파일:J1리그 로고(가로형).svg|width=180]]]] [BR] [[J1리그|,,{{{#C9000A J1리그 }}},, ]] || ||<:> [[J1리그/2021시즌|2021 시즌]]||<:> {{{+1 →}}} ||<#ffffff><:> '''{{{#034694 2022 시즌}}}''' ||<:> {{{+1 →}}} ||<:> [[J1리그/2023시즌|2023 시즌]] || [목차] == 개요 == 2022년 [[J1리그]]에 대한 내용을 다루는 문서이다. 리그 타이틀 스폰서는 [[J1리그/2018시즌|2018년]]부터 계약을 체결한 '메이지 야스다 생명보험'이며, 이에 따라 정식 명칭은 ''''2022 메이지 야스다 J1리그''''이다. [[2022년]] 11월 말에는 [[2022 카타르 월드컵]]이 예정되어있어 리그 일정을 [[2022년]] [[11월]] 초 이전에 마무리 해야하는 만큼, 2022 J1리그 개막일은 [[2022년]] [[2월 18일]] 금요일이며 공식 개막전은 [[도도로키 육상 경기장]]에서 개최되는 타마가와 더비, [[가와사키 프론탈레]]와 [[FC 도쿄]]의 맞대결이다. 리그 폐막은 [[2022년]] [[11월 5일]] 토요일이다. == 리그 진행 방식 == [[J1리그/2021시즌|2021 시즌]]에 [[J1리그]] 하위 4개팀이 강등되고, [[J2리그]] 상위 2개팀이 승격되면서, [[J1리그/2022시즌|2022 시즌]]은 이전과 같이 18개 팀으로 진행된다. [[홈 앤드 어웨이]] 더블 라운드로빈 방식으로 한 팀당 총 34경기를 치르게 된다. 2022 시즌 승강 제도는 2+1로 진행되며, [[J1리그]] 17위, 18위는 [[J2리그]]로 다이렉트 강등, [[J2리그]] 우승팀과 준우승팀은 [[J1리그]]로 다이렉트 승격이 된다. [[J1리그]] 16위 팀은 [[J2리그]] 3위~6위 간의 플레이오프 우승자와 승강플레이오프를 치러 승격과 강등을 결정한다. == 참가 클럽 == [include(틀:J1리그/2022년)]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iframe, src=https://www.google.com/maps/d/u/1/embed?mid=1ByG7RekvyDx9zm2zixdvAjtVffgyAjQP, width=100%, height=500)]}}} || ||<:>
'''{{{#FFFFFF 참가 클럽}}}''' || '''{{{#FFFFFF 전 시즌 순위}}}''' || '''{{{#FFFFFF 특이사항}}}''' || '''{{{#FFFFFF J1리그/1부 첫 참가}}}''' || '''{{{#FFFFFF 최근 승격 시즌}}}''' || || [[가와사키 프론탈레]] || 우승 || [[AFC 챔피언스 리그/2022년|AFC 챔피언스 리그 조별리그 진출]] || 1977 || 2005 || || [[요코하마 F. 마리노스]] || 준우승 || [[AFC 챔피언스 리그/2022년|AFC 챔피언스 리그 조별리그 진출]] || 1979 || 1982[*A J리그 출범 이후 1부리그에서 '''한번도 강등 되지 않은 팀'''] || || [[비셀 고베]] || 3위 || [[AFC 챔피언스 리그/2022년|AFC 챔피언스 리그 플레이오프 진출]] || 1997 || 2014 || || [[가시마 앤틀러스]] || 4위 || - || 1985-1986 || 1993[*A J리그 출범 이후 1부리그에서 '''한번도 강등 되지 않은 팀'''] || || [[나고야 그램퍼스]] || 5위 || - || 1973 || 2018 ||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 6위 || [[AFC 챔피언스 리그/2022년|AFC 챔피언스 리그 조별리그 진출]][*C 2021 [[천황배]] 우승] || 1965 || 2001 || || [[사간 도스]] || 7위 || - ||<-2> 2012 || || [[아비스파 후쿠오카]] || 8위 || - || 1996 || 2021 || || [[FC 도쿄]] || 9위 || - || 2000 || 2012 || || [[홋카이도 콘사도레 삿포로]] || 10위 || - || 1989-1990 || 2017 || || [[산프레체 히로시마]] || 11위 || - || 1965 || 2009 || || [[세레소 오사카]] || 12위 || || 1965 || 2017 || || [[감바 오사카]] || 13위 || - || 1986-1987 || 2014 || || [[시미즈 S펄스]] || 14위 || - || 1993 || 2017 || || [[가시와 레이솔]] || 15위 || - || 1965 || 2020 || || [[쇼난 벨마레]] || 16위 || - || 1972 || 2018 || || [[주빌로 이와타]] || '''승격팀''' || [[J2리그]] 우승 {{{#green '''▲'''}}}[* 2시즌만에 승격] || 1979 || 2022 || || [[교토 상가 FC]] || '''승격팀''' || [[J2리그]] 준우승 {{{#green '''▲'''}}}[* 11시즌만에 승격] || 1996 || 2022 || * 2021 시즌 결과 17위 [[도쿠시마 보르티스]], 18위 [[오이타 트리니타]], 19위 [[베갈타 센다이]], 20위 [[요코하마 FC]]는 [[J2리그]]로 강등되었다. J2리그에선 [[주빌로 이와타]]가 우승을, [[교토 상가 FC]]가 준우승을 차지하며 2022 시즌부터 J1리그에 참가한다. * 2021 시즌이 [[COVID-19]] 유행으로 인한 2020시즌의 파행운영을 보상하기 위해 한시적으로 '''20개 클럽'''이 참여했던 시즌이었고, 2022 시즌부터 원 상태인 18개 클럽 체제로 복귀하기 위해 2021 시즌 강등팀이 4팀 발생하였고, 대신 J2리그에서 2팀만 승격을 받았다. == 리그 순위 == [include(틀:J1리그 순위표 2022)] == J1-J2 승강 플레이오프 (단판 경기) == J1-J2 승강 플레이오프의 규칙에 따라 이 경기는 J1리그 팀의 홈구장에서 단판 경기로 시행되며, 이기는 팀이 J1리그로 승격 또는 잔류하며 지는 팀은 J2리그로 강등 또는 잔류한다. 경기 시간 90분 종료 후 동점 무승부로 끝나면, 연장전이나 승부차기를 하지 않고 그대로 종료하며 J1리그 16위팀이 다음 시즌 J1리그에 잔류한다. J2리그 승격PO 승자는 90분 이내에 이기지 못하면 다음 시즌에도 J2리그에 잔류한다. ||<-3> {{{+1 '''{{{#410648 ,,승강 플레이오프,,}}}'''}}} [br]'''{{{#0055a4 2022 J1-J2리그 승강 플레이오프[br]2021. 11. 13.(일) 13:05 (UTC+9)}}}''' || ||<-3> '''{{{#fff [[상가 스타디움 바이 교세라|{{{#fff 상가 스타디움 바이 교세라}}}]] ([[교토부|{{{#fff 교토부 가메오카 시(京都府亀岡市)}}}]])}}}''' || ||<-3> '''{{{#fff 주심:}}} [[미정|{{{#fff 미정}}}]] [[일본사카협회|{{{#fff (일본)}}}]]''' || ||<-3> '''{{{#0055a4 관중: 명}}}''' || || [[파일:교토 상가 FC 로고.svg|height=100]] ||<|2> '''{{{+5 {{{#000 1 : 1}}}}}}''' || [[파일:로아소 구마모토 로고.svg|height=80]] || || '''[[교토 상가|{{{#fff 교토 상가(京都サンガFC)}}}]]''' || '''[[로아소 구마모토|{{{#004282 로아소 구마모토(ロアッソ熊本) }}}]]''' || || {{{#fff '''-'''}}}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 || || - || '''[[레드 카드|[[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height=20]]]]''' || || ||<-3> '''{{{#fff Man of the Match:}}} [[미정|{{{#fff 미정(소속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