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로스터)] ---- ||
'''{{{#fd5a1e J.D. 데이비스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fff [[휴스턴 애스트로스|{{{#ffffff 휴스턴 애스트로스}}}]] 등번호 28번}}}''' || || 콜비 라스무스[br](2015~2016) || {{{+1 →}}} || '''{{{#000000 J.D. 데이비스[br](2017~2018)}}}''' || {{{+1 →}}} || [[로빈슨 치리노스]][br](2019) || ||<-5> '''{{{#ffffff [[뉴욕 메츠|{{{#ffffff 뉴욕 메츠}}}]] 등번호 28번}}}''' || || [[필립 에반스]][br](2018) || {{{+1 →}}} || '''J.D. 데이비스[br](2019~2022)''' || {{{+1 →}}} || [[다린 러프]][br](2022) || ||<-5> '''{{{#fd5a1e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fd5a1e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등번호 7번}}}''' || || [[도노반 솔라노]][br](2019~2021) || {{{+1 →}}} || '''J.D. 데이비스[br](2022~)''' || {{{+1 →}}} || 현역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자이언츠jd데이비스.webp|width=100%]]}}} || ||<-2>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No.7''' || ||<-2> '''{{{#ffffff {{{+2 J.D. 데이비스}}}[br]J.D. Davis}}}''' || || '''본명 ''' ||조나단 그레고리 데이비스[br]Jonathan Gregory Davis || ||<|2> '''출생''' ||[[1993년]] [[4월 27일]] ([age(1993-04-27)]세) || ||[[캘리포니아|캘리포니아 주]] 엘크 그로브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학력''' ||엘크 그로브 고등학교 -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풀러턴 캠퍼스|CSUF]] || || '''신체''' ||190cm / 98kg || || '''포지션''' ||[[3루수]], [[좌익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2011년 드래프트 5라운드 (전체 180번, [[탬파베이 레이스|TB]])--[br][[2014 MLB 신인드래프트|2014년 드래프트]] 3라운드 (전체 75번, [[휴스턴 애스트로스|HOU]]) || || '''소속팀''' ||[[휴스턴 애스트로스]] (2017~2018)[br]'''[[뉴욕 메츠]] (2019~2022)[br][[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2022~)'''|| || '''계약''' ||1yr / $4,210,000 || || '''연봉''' ||2023 / $4,210,000 || || '''SNS''' ||[[https://www.instagram.com/jddavis26/|[[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JDDavis26)]] || [목차] [clearfix] == 개요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소속 내야수로, 주로 3루수를 맡고 있지만 간간이 좌익수로도 투입된다. == 선수 경력 == === [[휴스턴 애스트로스]] === === [[뉴욕 메츠]]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J.D._Davis_New_York_Mets.jpg|width=100%]]}}} ||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JD데이비스샌프이적.jpg|width=100%]]}}} || 2022년 8월 2일, [[다린 러프]]를 상대로 [[토마스 자퍼키]], 마이너 리그 유망주 닉 즈왁, 카슨 시모어와 함께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로 트레이드되었다.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2022년|2022 시즌]] ==== 8월 3일 [[샘 롱]]과 [[제이슨 보슬러]]가 마이너로 내려가면서 콜업되었고, 당일 다저스전이자 샌프란시스코 데뷔전에서 4타수 1안타를 기록했다. 8월 4일 다저스전에서 2회말 [[클레이튼 커쇼]]를 상대로 자이언츠에서의 첫 홈런을 날렸지만, 팀은 패하며 다저스에게 홈 4연전 스윕을 당했다. 8월 6일 오클랜드전에서 6회초 [[커비 스니드]]를 상대로 시즌 6호 홈런을 날리며 2경기 연속 홈런포를 가동했다. 8월 9일 샌디에이고전에서 2:4로 뒤진 9회초 무사 만루 찬스에서 볼 2개가 모두 스트라이크로 판정되며 [[조시 헤이더]]에게 삼진으로 물러났다. 8월 10일 샌디에이고전에서 2회초 [[션 머나야]]를 상대로 시즌 7호 홈런을 날리며 4타수 3안타로 활약했지만 팀은 7:13으로 멸망했다. 8월 15일 애리조나전에서 3타수 2안타를 기록했다. 샌프란시스코 이적 후 첫 10경기에서 OPS 1.114로 좋은 모습을 보여주는 중이다. 8월 17일 애리조나전에서 6회말 [[크리스 데벤스키]]를 상대로 시즌 8호 홈런을 기록, 샌프란시스코 이적 후 OPS 1.205이라는 좋은 기세를 이어갔으나 팀이 8회초 [[도미닉 레온]]의 방화로 3:2로 패하며 홈런이 빛바랬다. 이후 6경기에서 15타수 무안타를 기록해 부진에 빠졌으나 8월 29일 샌디에이고전에서 7회말 [[루이스 곤잘레스(1995)|루이스 곤잘레스]]의 대타로 출장해 [[아드리안 모레혼]]을 상대로 안타를 치고, 8회말에도 2사 1, 3루 찬스에서 6:5로 추격하는 적시타를 [[닉 마르티네스]]를 상대로 때려냈으나 팀은 결국 더 이상의 점수를 뽑는 데 실패하고 그대로 패했다. 8월 30일 샌디에이고전에서 7회초 [[김하성]]의 땅볼에 송구실책을 저질렀고, 결국 이후 [[타일러 로저스]]가 3실점으로 무너지며 경기가 터지는 결과로 이어졌다. 9월 5일 다저스전에서 3회초 [[앤드루 히니]]를 상대로 시즌 9호 홈런을 날렸다. 9월 14일 애틀랜타전에서 4회말 [[찰리 모튼]]을 상대로 결승 적시타를 날리며 친정팀 메츠를 도왔다. 9월 18일 다저스전에서 8회말 [[알렉스 베시아]]를 상대로 극적인 동점 2루타를 날리며 팀을 살렸지만 4:3의 재역전을 당한 10회말 1사 1, 2루에서 [[안드레 잭슨]]에게 삼진을 당하며 결국 팀의 패배를 막지 못했다. 9월 23일 애리조나전에서 5:5로 맞선 9회초 2사 1, 3루의 찬스에 타석에 들어섰고, [[케일럽 스미스]]를 상대로 역전 적시타를 때려내며 팀의 승리를 이끌었다. 9월 25일 애리조나전에서 9회초 [[마크 멜란슨]]을 상대로 시즌 10호 홈런을 날렸고, 5타수 4안타 1타점으로 맹활약하며 팀의 3:2 승리를 이끌었다. 9월 27일 콜로라도전에서 4회말 [[헤르만 마르케스]]를 상대로 시즌 11호 홈런을 날리고 4타수 3안타 1타점으로 활약해 두 경기 연속으로 좋은 타격감을 이어갔다. 10월 1일 애리조나전에서 6회말 [[드레이 제임슨]]을 상대로 시즌 12호 홈런을 날렸다. 메츠에선 4홈런 OPS .683에 그쳤지만, 자이언츠 이적 후 8홈런 OPS .857로 재기에 성공하며 12홈런 OPS .758로 시즌을 마무리했다. 반면 데이비스의 반대급부로 메츠로 이적한 [[다린 러프]]가 메츠에서 OPS .413으로 제대로 망하고 2023 시즌을 앞두고 방출당하면서 러프 데이비스 트레이드는 자이언츠의 완승으로 끝났다.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2023년|2023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F.J.D.Davis.jpg|width=100%]]}}} || 4월 5일 화이트삭스전에서 2회초 [[딜런 시즈]]를 상대로 시즌 1호 홈런을 날렸다. 4월 6일 화이트삭스전에서 9회초 12:3으로 경기가 기울자 투수로 올라온 야수 [[한저 알베르토]]를 상대로 그랜드 슬램(시즌 2호)을 날리며 6타수 3안타 1홈런 5타점으로 활약했다. 4월 7일 캔자스시티전에서 3:1로 뒤진 8회말 1사 상황에 [[라몬테 웨이드 주니어]]의 대타로 출장했고, 안타를 때려내면서 [[아롤디스 채프먼]]에게 시즌 첫 피안타를 안겼다. 4월 8일 캔자스시티전에서 4타수 2안타를 기록하면서 OPS 1.123의 좋은 성적을 이어나갔다. 4월 10일 다저스전에서 4타수 2안타를 기록했다. 현재까지 OPS는 1.022. 하지만 4월 11일 다저스전에서 4타수 무안타를 기록하면서 OPS가 .892까지 내려갔다. 4월 12일 다저스전에서 1회말 [[클레이튼 커쇼]]를 상대로 선제 희생플라이를 날려 타점을 기록했지만 오늘도 3타수 무안타로 침묵하며 3할 타율이 무너졌다. 4월 14일 디트로이트전에서 8회초 [[메이슨 잉글러트]]를 상대로 동점 쓰리런(시즌 3호)을 날리며 3타수 2안타 3타점 1볼넷 1사구로 최고의 활약을 했지만 팀은 연장 11회 승부끝에 5:7로 패했다. 4월 15일 디트로이트전에서 1회초 [[마이클 로렌젠]]을 상대로 선제 적시타를 날리고 3회초에는 시즌 4호 홈런을 투런으로 날리며 오늘도 4타수 2안타 1홈런 3타점 1볼넷으로 날아다니면서 OPS를 1.050까지 끌어올렸지만 팀은 어제에 이어 또 다시 연장 11회 승부끝에 6:7로 패했다. 4월 17일 마이애미전에서 4타수 무안타 1삼진에 그치고 잔루를 5개나 남기면서 팀의 3:4 패배에 기여했다. 4월 18일 마이애미전에서 4타수 3안타를 기록했지만 팀은 2:4로 패했다. 4월 19일 마이애미전 타석에서는 5타수 1안타 2삼진에 그쳤지만 5회말 1사 만루의 위기에서 [[브라이언 데 라 크루즈]]의 강한 땅볼 타구를 잘 처리하며 실점을 막았다. 4월 20일부터 23일까지 메츠와의 4연전에서는 11타수 1안타 5삼진에다가 병살타를 2개나 때려내며 친정사랑을 제대로 시전했고, 3할 타율도 무너졌다. 4월 24일 세인트루이스전에서 7회말 [[드루 버헤이겐]]을 상대로 경기에 쐐기를 박는 쓰리런(시즌 5호)을 때려내며 [[알렉스 콥]]이 9회까지 마운드에 올라와 완봉승을 거둘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하지만 이후 2경기에서 7타수 무안타 2볼넷 4삼진에 그치며 OPS가 .833까지 내려왔다. 현재까지 우투수 상대로는 OPS 1.042를 기록중이지만 좌투수 상대로는 .434에 그치며 심각한 좌상바 모습을 보이고 있다. 4월 30일 샌디에이고전에서 2회초 [[다르빗슈 유]]를 상대로 시즌 6호 홈런을 날리는 등 3타수 2안타 1홈런 1타점으로 활약했지만 팀은 4:6으로 역전패를 당했다. 5월 5일 밀워키전에서 1회말 [[코빈 번스]]를 상대로 시즌 7호 홈런을 동점 투런으로 장식하고 4:3으로 뒤진 5회말 2사 1, 3루 찬스에서도 볼넷을 골라나가 뒤이은 [[작 피더슨]]의 역전 적시타의 발판을 마련하는 등 활약하며 팀의 4:6 승리에 기여했다. 5월 6일 밀워키전에서 4타수 2안타 멀티히트를 기록하며 OPS .884의 좋은 모습을 이어가고 있다. 5월 7일 밀워키전에서 5:2로 뒤진 8회말 1사 2, 3루의 중요한 상황에 [[오스틴 슬레이터]]의 대타로 출장했으나 [[피터 스트레즐레키]]에게 3구 삼진으로 물러났고, 결국 팀은 7:3으로 패했다. 5월 9일 워싱턴전에서 3타수 무안타를 기록하다가 7회말 [[메이슨 톰슨]]을 상대로 적시타를 날리며 타점 하나를 기록했다. 5월 10일 워싱턴전에서 4:0으로 뒤진 3회초 1사 1루 상황에 [[제이머 칸델라리오]]의 땅볼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는 실책을 저질렀고, 결국 이후 [[션 머나야]]가 4실점을 추가로 하며 8:0으로 경기가 완전히 넘어가는 원인을 제공했다. 타석에서는 3타수 1안타 2볼넷으로 3출루를 기록하며 OPS를 .866으로 소폭 올렸다. 5월 11일 애리조나전에서 4타수 2안타로 멀티히트를 기록하며 타율을 .295, OPS를 .870으로 올렸다. 5월 12일 애리조나전에서 5회초 [[라인 넬슨]]을 상대로 동점 적시타를 쳐내고 9회초 2사에서도 [[미겔 카스트로]]를 상대로 2루타를 치고 출루하며 팀의 마지막 희망을 되살리는 등 5타수 3안타 1타점 활약으로 타율을 .308, OPS를 .892까지 높혔지만 팀은 결국 5:7로 패했다. 5월 13일 애리조나전에서 1회초 [[잭 갤런]]을 상대로 희생플라이를 쳐내며 3타수 무안타 1타점을 기록했다. 5월 15일 필라델피아전에서 3타수 1안타 1볼넷으로 멀티출루를 기록하고 수비에서는 9회초 1사 2루 위기에서 [[브라이슨 스탓]]의 안타성 타구를 점핑캐치로 낚아채며 [[카밀로 도발]]을 도왔다. 5월 16일 필라델피아전에서 4타수 무안타 3삼진을 당하면서 OPS가 .835까지 하락했다. 5월 17일 필라델피아전에서 4:4로 맞선 8회말에 [[블레이크 세이볼]]의 대타로 출장, [[그레고리 소토]]를 상대로 안타를 쳐내면서 팀의 3득점 역전의 발판을 마련했다. 5월 19일 마이애미전에서 6회말 [[샌디 알칸타라]]를 상대로 동점 희생플라이를 쳐냈다. 이후 8회말 [[브라이언 호잉]]에게 볼넷을 골라냈는데, 여기서 마이애미의 감독 [[스킵 슈마커]]와 포수 [[제이콥 스탈링스]]가 퇴장당하는 소동이 있었다. 5월 20일 마이애미전에서 0:0으로 맞선 8회초 [[가렛 햄슨]]의 타구에 실책을 저질렀고, 결국 이후 [[타일러 로저스]]가 [[존 버티]]에게 역전 적시타를 내줬다. 타석에서도 마지막 9회말 2사에서 [[딜런 플로로]]에게 삼진으로 물러나 경기를 끝내며 3타수 무안타 2삼진으로 부진해 팀의 1:0 패배의 주범이 되었다. 5월 21일 마이애미전에서 3회말 [[헤수스 루자르도]]를 상대로 시즌 8호 홈런을 역전 투런으로 장식했고, 4:4 동점이 된 6회말에는 선두타자 2루타를 쳐내고 뒤이은 [[미치 해니거]]의 적시타 때 결승 득점을 올려 3타수 2안타 1홈런 2타점 1볼넷으로 활약, 팀의 5:7 승리에 기여하면서 전날 부진을 만회했다. 5월 22일 미네소타전에서 1회초 무사 1, 2루 찬스에 [[베일리 오버]]를 상대로 선제 적시 2루타를 쳐내며 팀의 4:1 승리에 기여했다. 5월 23일 미네소타전에서 4타수 무안타 1삼진에 그쳤지만 6회초 [[소니 그레이]]를 상대로 볼넷으로 출루하고 [[패트릭 베일리]]의 밀어내기 볼넷 때 득점을 올렸다. 5월 25일 밀워키전에서 5타수 무안타 4삼진의 극악의 모습을 보이면서 OPS가 .812까지 떨어졌다. 5월 26일 밀워키전에서 3회초 [[프레디 페랄타]]를 상대로 적시 2루타를 쳐내고, 7회초에는 [[이선 스몰]]을 상대로 시즌 9호 홈런을 날리는 등 6타수 3안타 1홈런 3타점으로 날아다니며 팀의 15:1 대승에 기여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JD데이비스500경기출장.jpg|width=100%]]}}} || 5월 28일 밀워키전에서 선발 출장하며 통산 500경기 출장을 달성했다. 하지만 경기에서는 6회초 심판 판정으로 볼넷이 삼진으로 둔갑되는 등 4타수 무안타 3삼진으로 침묵했다. 5월 29일 피츠버그전에서 4회말 [[리치 힐]]을 상대로 적시타를 쳐내고 직후 시즌 1호 도루[* 자이언츠 이적 후 첫 도루이다.]까지 성공시키는 등 4타수 2안타 1타점 2볼넷으로 4출루 경기를 하면서 팀의 4:14 대승에 기여했다. 6월 2일 볼티모어전 2:1로 뒤진 3회말 1사 2루 찬스에서 우전 안타를 때려내며 동점을 만들어내는듯싶었지만, 2루주자 [[브렛 와이슬리]]가 우익수 [[앤서니 산탄데르]]에게 저격당해 무산되었다. 이후 동점이 된 5회말 1사 1, 2루 찬스에서도 타석에 들어섰으나 유격수 병살타를 쳐버렸고, 3:2로 역전당한 8회말 1사 2루에서 [[예니어 카노]]의 공에 오른손을 맞는 아찔한 장면이 있었지만 다행히 큰 이상은 아닌걸로 보인다. 6월 3일 볼티모어전에서 3회말 [[카일 브래디시]]를 상대로 결승 적시타를 날리며 5타수 1안타 1타점을 기록했다. 6월 6일 콜로라도전에서 4타수 1안타 3타점 1볼넷을 기록하며 팀의 10:4 승리에 기여했다. 6월 7일 콜로라도전에서 팀이 3:4까지 추격한 7회초 무사 1, 2루 찬스에 [[브랜든 크로포드]]의 대타로 출장했지만 [[저스틴 로렌스]]에게 삼진으로 물러나 팀의 추격의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었다. 다행히 팀은 8회초 역전에 성공했고, 9회초에는 [[브래드 핸드]]를 상대로 안타를 기록했다. 6월 9일 컵스전에서 3:2로 뒤진 9회말 [[패트릭 베일리]]의 대타로 출장했지만 [[아드베르트 알솔라이]]에게 좌익수 플라이로 물러났다. 6월 11일 컵스전에서 3타수 1안타 2볼넷을 기록하며 3출루 경기를 했다. 하지만 6월 13일 세인트루이스전에서 3회초 [[잭 플래허티]]를 상대로 안타를 치고 출루한 후 [[마이클 콘포토]]의 안타에 3루로 달리다가 [[https://twitter.com/NBCSGiants/status/1668783860497395713|오른쪽 발목을 접질리는 부상]]을 당하면서 [[블레이크 세이볼]]과 교체되었다. 6월 17일 다저스전에서 6회초 2사 만루에 [[작 피더슨]]의 대타로 출장해 [[알렉스 베시아]]를 상대로 시즌 10호 홈런을 그랜드 슬램으로 장식하고 7회초에는 [[닉 로버트슨]]을 상대로 삼진으로 물러났지만 9회초 [[브라이언 허드슨]]을 상대로 적시타를 때려내면서 맹활약했다. 6월 19일 샌디에이고전에서 4:2로 뒤진 7회말 [[브랜든 크로포드]]의 대타로 출장해 [[팀 힐]]에게 삼진으로 물러났지만 4:3으로 추격한 9회말 1사 3루 상황에서는 [[루이스 가르시아(1987)|루이스 가르시아]]를 상대로 볼넷을 골라내며 팀이 동점을 만드는데 기여했다. 6월 21일 샌디에이고전에서 5회말 [[다르빗슈 유]]를 상대로 0:4를 만드는 적시타를 쳐내며 4타수 1안타 1타점 2삼진을 기록했다. 6월 23일 애리조나전에서 3회말 2사 1루에 [[잭 데이비스]]를 상대로 안타를 쳐내고 [[마이클 콘포토]]의 2루타에 역전 득점을 올리고, 4:3으로 재역전당한 5회말 무사 1, 2루 찬스에서도 동점 2루타를 쳐내면서 5타수 2안타 1타점 활약으로 팀의 5:8 승리에 기여했다. 6월 24일 애리조나전에서는 4타수 무안타 2삼진으로 부진했지만 팀은 다행히 6:7로 승리했다. 6월 25일 애리조나전에서 6회말 [[라인 넬슨]]을 상대로 적시타를 쳐냈고, 8회말에도 [[스캇 맥거프]]를 상대로 적시타를 쳐내면서 3타수 2안타 2타점으로 활약했지만 팀은 5:2로 패했다. 6월 27일 토론토전에서도 3타수 2안타 1볼넷의 좋은 모습을 보였다. 6월 29일 토론토전에서 3회초 2사 1, 2루 찬스에 [[크리스 배싯]]을 상대로 풀카운트에서 존 아래로 빠진 볼을 골라냈지만 존 텀페인 주심이 스트라이크로 판정하여 삼진을 당했고, 결국 항의를 하다가 [[게이브 캐플러]] 감독과 함께 [[https://twitter.com/NBCSGiants/status/1674565852769681414|퇴장당했다.]] 6월 30일 메츠전에서 4타수 무안타 1볼넷 2삼진에 그쳤지만 그 1볼넷이 2:4로 뒤진 8회초 1사 1루에 [[데이비드 로버트슨]]을 상대로 골라낸 중요한 볼넷이었고, 뒤이어 [[패트릭 베일리]]의 역전 쓰리런이 터지며 팀은 역전승에 성공했다. 7월 1일 메츠전에서 4타수 2안타 1삼진을 기록하면서 팀에서 유일하게 멀티히트를 기록했다. 7월 2일 메츠전에서 3:5로 뒤진 7회초 1사 1루에 [[도미닉 레온]]을 상대로 적시 2루타를 쳐내며 1점차를 만들었지만 4:6이 된 8회초 2사 만루에서는 [[애덤 오타비노]]에게 삼진으로 물러났고, 결국 팀은 그대로 패했다. 7월 7일 콜로라도전에서 4타수 무안타 1삼진으로 부진, 특히 2:2로 맞선 6회말 1사 1, 3루에 타석에 들어섰으나 [[오스틴 곰버]]를 상대로 친 얕은 중견수 플라이에 3루주자 [[오스틴 슬레이터]]가 무리하게 홈으로 내달리다 결국 중견수 [[브렌튼 도일]]의 송구에 저격당해 아웃당해버렸고, 7회초 [[타일러 로저스]]가 [[에제키엘 토바]]에게 쓰리런을 맞아 5:2가 된 9회말 2사에 [[다니엘 바드]]에게 1루수 팝플라이로 물러나며 경기를 끝냈다. 최근 부진으로 결국 OPS 0.8대가 무너졌다.(.796) 7월 8일 콜로라도전에서 6회말 [[브랜든 크로포드]]의 대주자로 출장해 8회말 2사에 [[개빈 할로웰]]을 상대로 삼진으로 물러났다. 7월 9일 콜로라도전에서 4회말 [[카일 프리랜드]]를 상대로 시즌 11호 홈런을 날렸고, 이것이 결승점이 되어 팀은 [[로건 웹]]의 완봉승으로 0:1 승리를 거두었다. 7월 16일 피츠버그전에서 3회초 무사 만루에 [[오스발도 비도]]를 상대로 역전 적시타[* 2루주자 [[라몬테 웨이드 주니어]]가 우익수 [[헨리 데이비스]]의 실책으로 득점했다 기록되어 1타점이 되었다.]를 쳐내고 4:3이 된 10회초 1사 1루에 [[예리 데 로스 산토스]]를 상대로 볼넷을 골라 출루하며 빅이닝의 발판을 마련했다. 다만 최근 부진으로 OPS는 .784까지 내려왔다. 7월 21일 워싱턴전에서 1회초 [[제이크 어빈]]을 상대로 시즌 12호 홈런을 날렸다. 7월 24일 디트로이트전에서 3타수 무안타 2삼진에 그치고 9회초 [[작 피더슨]]과 교체되었다. 후반기 28타수 3안타의 극심한 부진에 빠지며 시즌 초 높았던 OPS도 .772까지 내려갔다. 7월 25일 오클랜드전에서도 3타수 무안타 1볼넷 3삼진을 기록하면서 부진을 이어갔다. 7월 26일 오클랜드전에서 1회말 [[프레디 타녹]]을 상대로 그동안의 부진을 깨부수는 시즌 13호 홈런을 날렸다. 다만 나머지 세 타석에서는 모두 범타로 물러났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H-2g0_P2VI)]}}} || 7월 29일 보스턴전에서 [[카밀로 도발]]의 블론세이브로 2:2 동점이 된 9회말이 시작하자마자 [[켄리 잰슨]]의 초구를 받아쳐 끝내기 홈런(시즌 14호)을 날리면서 팀의 승리를 이끌었다. 하지만 다음날인 7월 30일 보스턴전에서는 5타수 무안타 1삼진으로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3:3으로 맞선 10회말 무사 1, 2루에 타석에 들어서며 이틀 연속 끝내기도 노릴 수 있었지만 [[크리스 마틴(야구선수)|크리스 마틴]]을 상대로 유격수 땅볼로 물러났다. 8월 2일 애리조나전에서 2:0으로 뒤진 5회말 [[슬레이드 세코니]]를 상대로 선두타자 안타를 치고 나가며 타선의 혈을 뚫었고, 이후 2:2 동점이 된 6회말 무사 만루 찬스에서 [[타일러 길버트]]를 상대로 결승 2타점 적시 2루타를 쳐내며 팀의 승리를 이끌었다. 8월 6일 오클랜드전에서 1회초 2사 1, 2루 찬스에 [[루이스 메디나(1999)|루이스 메디나]]를 상대로 선제 적시타를 날렸으나 나머지 4타석에서는 무안타 3삼진에 그치고 팀도 6:8의 역전패를 당하며 최하위 오클랜드에게 2연전 스윕을 당했다. 8월 7일 에인절스전에서 7회초 [[패트릭 산도발]]을 상대로 동점 홈런(시즌 15호)을 날렸고, 2:3으로 뒤진 9회초 무사 1루에서도 [[카를로스 에스테베즈(야구선수)|카를로스 에스테베즈]]를 상대로 볼넷을 골라내며 4타수 2안타 1홈런 1타점 1볼넷 맹활약으로 팀의 8:3 역전승에 기여했다. 하지만 8월 8일 에인절스전에서는 3:4로 뒤진 3회초 2사 2, 3루의 역전 찬스에 [[루카스 지올리토]]를 상대로 초구 3루수 땅볼로 물러나는 등 4타수 무안타 1삼진으로 부진하면서 팀의 5:7 패배를 이끌었다. 8월 9일 에인절스전에서도 3회초 2사 1, 3루의 더 달아날 찬스에 [[오타니 쇼헤이]]에게 삼진을 당하고 4타수 무안타 2삼진으로 부진하면서 팀의 1:4 패배를 이끌었다. 8월 14일 탬파베이전에서 6:1로 뒤진 7회말 2사 1, 2루 찬스에 [[라몬테 웨이드 주니어]]의 대타로 출장해 [[제이콥 로페스]]를 상대로 사구로 출루했고, 10:2가 된 9회말 2사에는 1루수 직선타를 치면서 경기를 끝냈다. 최근 6경기에서 20타수 무안타를 기록하면서 OPS가 .735까지 폭락했다. 8월 16일 탬파베이전에서 1회초 [[랜디 아로자레나]]의 타구에 실책을 저질러 이어진 [[이사크 파레데스]]의 적시타로 선제 실점을 내주는 원인을 제공했고, 결국 이것이 결승점이 되어 팀은 6:1로 패했다. 8월 19일 애틀랜타전에서 2:2로 맞선 4회초 무사 1, 3루 찬스에 [[요니 치리노스]]를 상대로 우익수 희생플라이를 쳐내는 등 3타수 2안타 1타점으로 간만에 활약했으나 팀은 5:6으로 역전패를 당했다. 8월 20일 애틀랜타전에서 5타수 2안타 3삼진으로 멀티히트를 기록했지만 정작 1회초와 9회초 1사 만루의 중요한 찬스에서는 모두 삼진을 당했다. 8월 21일 필라델피아전에서 4:10으로 뒤진 9회초 2사 1, 3루에 [[케이시 슈미트]]의 대타로 출장했지만 [[제프 호프만]]을 상대로 중견수 플라이를 치며 1구만에 경기를 끝냈다. 8월 23일 필라델피아전에서 5타수 무안타의 극악의 모습을 보이며 OPS가 .723까지 떨어지고 9회말 [[케이시 슈미트]]와 교체되었다. 8월 27일 애틀랜타전에서 1회말 2사 3루에 [[제러드 슈스터]]를 상대로 선제 적시타를 쳐내고, 3:2로 뒤진 5회말 2사 만루 찬스에서는 [[콜린 맥휴]]를 상대로 동점 밀어내기 볼넷을 골라내는 등 3타수 1안타 2타점 1볼넷 활약으로 팀의 5:8 승리에 기여했다. 8월 30일 신시내티전에서 2:1로 뒤진 7회말 무사 1루에 [[폴 데용]]의 대타로 출장했지만 [[페르난도 크루스]]를 상대로 우익수 플라이로 물러났고, 4:1이 된 9회말 1사 1루에도 [[알렉시스 디아스]]를 상대로 유격수 땅볼로 물러났다. 이후 4경기에서 13타수 2안타를 기록해 OPS가 .719까지 내려왔다가 9월 5일 컵스전에서 6회초 [[헤이든 웨스네스키]]를 상대로 시즌 16호 홈런을 재역전 투런으로 장식하는 등 5타수 3안타 1홈런 2타점으로 활약했지만 8:11로 뒤진 9회초 1사 1루에 [[줄리안 메리웨더]]를 상대로 끝내기 2루수 병살타를 치며 팀의 패배를 막지 못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3bjB3YjS25Y, start=104)]}}} || 9월 8일 콜로라도전에서 2회초 1사에 [[브렌든 로저스]]의 땅볼에 실책을 저질러 이후 [[카일 해리슨]]이 3실점으로 무너지는 원인을 제공했지만 [[윌머 플로레스]]와 [[미치 해니거]]의 백투백 홈런으로 4:3이 된 6회말 [[타이 블락]]을 상대로 시즌 17호 홈런을 쏘아올리며 백투백투백 홈런을 완성시켰다. 다만 이외 4타석에서는 모두 범타로 물러나며 5타수 1안타 1홈런 1타점 3삼진에 그쳤다. 9월 9일 콜로라도전에서 0:8로 앞선 6회말 2사 1, 2루에 [[닉 미어스]]를 상대로 적시타를 날리며 3타수 2안타 1타점 1볼넷 1삼진 기록 후 대주자 [[케이시 슈미트]]와 교체되었다. 9월 11일 클리블랜드전에서 2:2로 맞선 3회말 1사 1, 3루 찬스에 [[개빈 윌리엄스]]를 상대로 1루수 땅볼로 타점을 올리고 2타수 무안타 1타점 1볼넷 기록 후 7회말 [[블레이크 세이볼]]과 교체되었다. 9월 13일 클리블랜드전에서 4:1로 뒤진 1회말 2사 만루의 찬스에서는 [[로건 앨런(1998)|로건 앨런]]을 상대로 투수 땅볼로 물러났지만 5:2가 된 8회말 무사 1, 3루 찬스에 [[일라이 모건]]을 상대로 동점 쓰리런(시즌 18호)을 날렸고, 10회말에도 선두타자로 나와 [[재비언 커리]]를 상대로 볼넷을 골라내며 팀의 5:6 승리를 이끌었다. 9월 15일 콜로라도전에서 1:1로 맞선 9회초 [[닉 미어스]]를 상대로 2루타를 쳐내면서 팀의 첫 안타를 만들었고, 이후 [[윌머 플로레스]]의 밀어내기 볼넷에 역전 득점을 올렸으나 팀은 9회말 [[카밀로 도발]]이 [[에로리스 몬테로]]에게 끝내기 안타를 맞고 패했다. 9월 17일 콜로라도전에서 2:0으로 앞선 6회초 1사 1, 3루에 [[맷 쿡]]을 상대로 적시타를 날리고 4타수 2안타 1타점 1볼넷 1삼진을 기록했다. 9월 19일 애리조나전에서 4:8로 뒤진 7회초 1사 1루에 [[라몬테 웨이드 주니어]]의 대타로 출장했지만 [[앤드류 살프랭크]]를 상대로 유격수 병살타를 쳤다. 9월 21일 다저스전에서 1:2로 뒤진 5회초 2사 만루의 결정적인 찬스에 [[라몬테 웨이드 주니어]]의 대타로 출장했지만 [[알렉스 베시아]]를 상대로 삼진을 당하며 찬스를 말아먹었고, 2:3이 된 7회초 2사 2, 3루에는 [[라이언 브레이저]]를 상대로 볼넷을 골라냈지만 7회말 1사에 [[크리스 테일러]]의 땅볼에 실책을 저질러 결국 [[루크 잭슨]]이 경기를 터트리는 원인을 제공했다. 9월 24일 다저스전에서 4회말 [[윌머 플로레스]]의 대수비로 출장했지만 3타수 무안타 1삼진에 그치며 팀의 2:3 패배에 기여했다. 8회말 2사에는 [[무키 베츠]]의 땅볼을 [[https://twitter.com/SFGiants/status/1706119802996277605|엄청난 호수비]]로 처리했다. 9월 26일 샌디에이고전에서 1회말 2사에 [[세스 루고]]를 상대로 장타를 쳐내고 3루까지 내달렸지만 슬라이딩 이후 3루에서 손이 떨어지면서 결국 아웃을 당했고, 이 과정에서 [[https://twitter.com/NBCSGiants/status/1706857243873087704|부상을 입고]] 결국 3회초 [[루이스 마토스(2002)|루이스 마토스]]와 교체되었다. 9월 28일, 상술한 부상으로 10일 부상자 명단에 올라 시즌을 마감했다. 시즌 최종성적은 144경기 480타수 119안타 18홈런 69타점 61득점 1도루 52볼넷 152삼진 .248/.325/.413 OPS .738로, 개막 첫 한달간 OPS .885를 치는 등 쾌조의 스타트를 했지만 시즌이 지나고 페이스가 떨어지면서 결국 작년보다 못한 성적을 기록했다. == 플레이 스타일 == == 연도별 경력 == ||<-19>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35]]]] {{{#FFFFFF '''J.D. 데이비스의 역대 MLB 기록'''}}} || ||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fWAR || bWAR || || 2017 ||<|2> [[휴스턴 애스트로스|HOU]] || 24 || 68 || 14 || 4 || 0 || 4 || 8 || 7 || 1 || 4 || 20 || .229 || .276 || .484 || .763 || 0.1 || 0.3 || || 2018 || 42 || 113 || 18 || 2 || 0 || 1 || 9 || 5 || 0 || 10 || 29 || .175 || .248 || .223 || .471 || -0.6 || -0.8 || ||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fWAR || bWAR || || 2019 ||<|3> [[뉴욕 메츠|NYM]] || 140 || 453 || 126 || 22 || 1 || 22 || 65 || 57 || 3 || 38 || 97 || .307 || .369 || .527 || .895 || 2.5 || 1.2 || || 2020 || 56 || 229 || 47 || 9 || 0 || 6 || 26 || 19 || 0 || 31 || 56 || .247 || .371 || .389 || .761 || 0.3 || 0.1 || || 2021 || 73 || 211 || 51 || 12 || 0 || 5 || 18 || 23 || 1 || 24 || 68 || .285 || .384 || .436 || .820 || 1.4 || 0.8 || ||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fWAR || bWAR || || 2022 || [[뉴욕 메츠|NYM]]/[[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SF]] || 115 || 365 || 79 || 16 || 1 || 12 || 46 || 35 || 1 || 39 || 122 || .248 || .340 || .418 || .758 || 0.9 || 0.7 || || 2023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SF]] || 144 || 546 || 119 || 23 || 1 || 18 || 61 || 69 || 1 || 52 || 152 || .248 || .325 || .413 || .738 || 2.2 || 0.8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br](7시즌) || 594 || 1985 || 454 || 88 || 3 || 68 || 233 || 215 || 7 || 198 || 544 || .261 || .343 || .432 || .775 || 6.7 || 3.0 || == 기타 ==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MLB)]] [각주]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1993년 출생]][[분류:2017년 데뷔]][[분류:엘크그로브 출신 인물]][[분류:CSUF 출신]][[분류:내야수]][[분류:외야수]][[분류:우투우타]][[분류:휴스턴 애스트로스/은퇴, 이적]][[분류:뉴욕 메츠/은퇴, 이적]][[분류: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