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62d17> {{{#eeeed1 {{{+1 '''Isn't It a Pity'''}}}}}}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R-4267159-1612469988-9301.jpeg.jpg|width=100%]]}}} || || '''싱글 발매일''' ||[[1970년]] [[11월 23일]] || || '''싱글 A면''' ||[[My Sweet Lord]] || || '''앨범 발매일''' ||[[1970년]] [[11월 27일]]|| || '''수록 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order: 1px solid #000;background: #fff; font-size: .9em" [[All Things Must Pass|{{{#000 '''All Things Must Pass'''}}}]]}}} || || '''장르''' ||[[포크 록]] || || '''재생 시간''' ||7:10 || || '''작사 / 작곡''' ||[[조지 해리슨]] || || '''프로듀서''' ||[[조지 해리슨]], [[필 스펙터]] || || '''레이블''' ||[[애플 레코드]] || [목차][clearfix] == 개요 == ||<#FFFFFF><:><-5> {{{+1 [[빌보드 핫 100]] {{{#B2A529 ''' 역대 1위곡 ''' }}} }}} || ||<#FFE400><:> [[The Tears of a Clown]] ||<#FFE400><:> {{{+1 → }}} ||<#FFE400><:> [[My Sweet Lord]] / Isn't It a Pity (4주) ||<#FFE400><:> {{{+1 → }}} ||<#FFE400><:> Knock Three Times || ||[Youtube(Cph6LXb_-g0)]||[Youtube(tYkX4-PCoXU)]|| || '''Version 1''' || '''Version 2''' || [[조지 해리슨]]의 노래. [[1970년]]에 [[미국]]에서 [[My Sweet Lord]]와 함께 더블 A 싱글로 발매되어 빌보드 핫 100 차트에서 1위를 하였으며, [[All Things Must Pass]]에도 수록됐다. 앨범에는 두 가지 버전을 수록했는데, 보통 싱글로 발매된 Version 1이 좀 더 유명하고, Version 2는 일종의 Reprise 트랙으로 취급받는다. [[비틀즈]] 후기 멤버들 간의 불화와 반목에 지친 심리상태를 풀어낸 곡으로, 비틀즈의 거친 불화의 결말을 가슴 아픈 이야기로 반영한 노래로 평가받는다. 비틀즈의 해체뿐만 아니라, 비슷한 시기에 있었던 삼촌의 죽음이 가져다 준 심리적 충격이 반영되기도 했다. 후반 제창부의 멜로디는 '[[Hey Jude]]'에서 가져왔다. 페이드 아웃을 통해 곡의 재생시간 또한 'Hey Jude'와 동일하게 맞춰져 있는데, 비틀즈 해체 직후 시점 [[폴 매카트니]]에 대한 앙금이 꽤 깊었음을 알 수 있는 부분.[* 실제로 [[Hey Jude]] 도중 조지 해리슨은 폴 매카트니와 견해 대립이 있었는데, 기타리스트로서의 자의식이 강해진 조지 해리슨은 곡의 중간중간에 본인이 만든 기타 리프를 넣으려 했고, 폴 매카트니는 그런 조지 해리슨을 보고 "이 곡은 그렇게 해서는 안 돼"라는 식으로 타일렀다고 한다. 당시에는 그럭저럭 넘어갔지만 이런 견해 대립은 계속 이어져 [[Let It Be|Get Back]] 세션 녹음 때에는 'Two of Us' 연주를 놓고 둘이 실랑이를 벌이게 된다.] [youtube(nFxYsWCT6_k)] [[All Things Must Pass]] 앨범의 50주년을 기념하여 Take 27의 뮤직비디오가 나왔다. == 여담 == * [[1989년]] [[갤럭시 500]]의 [[On Fire(앨범)|On Fire]]에 커버되어 수록되었다. * [youtube(RB-RcX5DS5A)] [[콜드플레이]]의 곡 '[[The Scientist]]'에 영향을 줬다. [[크리스 마틴]]이 인터뷰에서 밝히길 [[All Things Must Pass]] 앨범을 듣던 중 Isn't It a Pity에 느낌이 꽂혔는데, 이 곡을 피아노로 연주하려다가 제대로 된 코드가 떠오르지 않았는데, 그때 마침 'The Scientist'의 멜로디를 떠올렸다고 한다. * [[비틀즈: 겟 백]]의 1화 엔딩 크레딧에 [[https://youtu.be/WjEyDxnoODY|데모 버전]]이 쓰였다. 조지가 밴드를 떠난 직후 흘러나오는 곡이 상황과 맞아떨어져 묘한 감정을 불러 일으킨다. * 조지의 절친 [[에릭 클랩튼]]이 종종 자신의 [[https://youtu.be/pKu4U0YQBRo|솔로 콘서트에서 커버]]하기도 한다. * [youtube(DitOFrGBEQA)] 1972년 소울의 대모 [[니나 시몬]]이 커버한 버전 역시 유명하다. 이 버전은 영화 [[보 이즈 어프레이드]]에도 나왔다. == 가사 == || ---- '''{{{#9D9B9C {{{+4 Isn't It a Pity}}}}}}''' ---- Isn't it a pity 안타깝지 않은가 Now, isn't it a shame 정말 부끄러운 일 아닌가 How we break each other's hearts 우리가 서로의 마음을 아프게하고 And cause each other pain 서로에게 고통을 안겨주는 것 How we take each other's love 우린 더이상 생각없이 서로의 Without thinking anymore 사랑을 받아들이고 있지 Forgetting to give back 다시 돌려주는 것을 잊은채 Isn't it a pity 안타깝지 않은가 Some things take so long 어떤 일은 참 오래 걸리지 But how do I explain 하지만 어떻게 설명해야 When not too many people 많은 사람들이 Can see we're all the same 우린 모두가 같다는 것을 알까 And because of all their tears 그들의 눈물 때문에 Their eyes can't hope to see 사람들은 자신의 주위에 있는 The beauty that surrounds them 아름다움을 보지 못하는데 Isn't it a pity 안타깝지 않은가 Isn't it a pity 안타깝지 않은가 Now, isn't it a shame 정말 부끄러운 일 아닌가 How we break each other's hearts 우리가 서로의 마음을 아프게하고 And cause each other pain 서로에게 고통을 안겨주는 것 How we take each other's love 우린 더이상 생각없이 서로의 Without thinking anymore 사랑을 받아들이고 있지 Forgetting to give back 다시 돌려주는 것을 잊은채 Isn't it a pity 안타깝지 않은가 Forgetting to give back 다시 돌려주는 것을 잊은채 Isn't it a pity 안타깝지 않은가 Forgetting to give back 다시 돌려주는 것을 잊은채 Now, isn't it a pity 그래, 안타깝지 않은가 What a pity What a pity, pity, pity 정말 안타까운 일이지, 안된 일이지, 안된 일이야 What a pity What a pity, pity, pity 정말 안타까운 일이지, 안된 일이지, 안된 일이야 ---- [[조지 해리슨|[[파일:조지 해리슨 로고2.png|width=70]]]] | [[조지 해리슨|[[파일:조지 해리슨 로고.png|width=150]]]] || [[분류:1970년 싱글]][[분류:1970년 노래]][[분류:빌보드 핫 100 1위 노래]][[분류:조지 해리슨 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