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tube(5XW1OefvEW0)] [목차] == 개요 == 2015년 2월 11일에 방송된 [[Law&Order: SVU|Law & Order : Special Victim Unit(SVU)]] 시즌 16의 14번째 에피소드. [[게이머게이트]]를 비판한 에피소드로 주목을 받았다. || [[현실]]과 [[게임]]을 구분하지 못하는 [[꼴마초]] 게이머들이 [[베인(다크 나이트 트릴로지)|음성변조 마스크]]를 쓴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테러집단]]을 결성해 유명 여성 개발자를 납치하고 악행을 벌이다 일망타진당한다. || 유튜버 [[로건 폴]]이 범인 중 한 명으로 특별 출연했으며, 마지막에 [[오다핀 투투올라|핀]]에게 사살당한다. == 내용 == * 에피소드 초반에 나오는 게임은 조잡한 가짜다. * 여성 게임 관계자가 폭행당하는 장면과 폭력 게임에 환호하는 게이머들의 모습을 교차해서 보여준다. * 폭행당한 여성이 (게이머 테러리스트들이) 무슨 짓을 했냐 묻자 대답하기를, "레벨업했어요." * [[4chan]]과 레딧을 융합한듯한 사이트 [[reddit|Red]][[4chan|chanit]]이 등장하고, 당연히 Anon들은 위의 폭행사건에 대해 "꼬시다"고 만장일치한다. * 이후 등장하는 게이머 테러리스트들이 "현실과 게임을 구분 못 한다"고 강조하고, 1인칭 시점도 나온다. * 게이머들의 테러조직으로 K.O.B.S가 나온다.[* Kill Or Be Slaughtered의 약자. 해당 에피소드 초반에 나오는 저퀄리티 액션게임의 이름이기도 하다. 이와 유사한 게임 이름으로는 [[Hatred]]를 들 수 있다.] * 주된 전략은 익명 인터넷 사이트를 통한 [[언론플레이]]와 가면 쓴 남자[* [[Baneposting]]밈을 의식한거로 추정됨.] 를 활용한 선동. * [[스와팅]]도 한다. * [[해킹]]에 능해서 [[딥 웹]]에서 여성 개발자를 [[신상털이]]하기까지 한다. * 총기소지는 기본. 그리고…. *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검은 배경에 하얀 글씨 깃발이 상징이며, 깃발 앞에 인질을 잡아놓고 영상을 찍는다.]] == 반응 == 게이머게이트 주도층은 당연히 이를 자신들에 대한 공격이라고 인식하고 거세게 반발했으며, 게이머게이트의 피해자인 [[아니타 사키시안]]도 "현실을 이용(Exploit)하고 단순묘사(Trivialize)했다"고 비판했다. 이는 자신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강도높은 살인협박과 범죄행각들을 단순히 한 에피소드의 소재거리로 삼는 부주의한 접근에 대한 반발이었다. [[Kotaku]]역시 게이머게이트의 공격대상이었지만, 이런 점에서 이 에피소드를 비판했다. 처음 방영했을 땐 게이머게이터 쪽에서만 욕을 먹을 것이라 생각되었으나 페미니스트 진영에서까지 푸짐하게 까였다. ~~[[좌우합작]]~~ 상황을 드라마틱하게 만들고 게이머들을 개새끼로 만들기 위해 연출에 힘을 준 결과 '''게임계 여성들을 전부 무력한 피해자'''로 보여줬기 때문. 에피소드 후반의 1인칭 시점은 [[네타]]화 되어 [[http://knowyourmeme.com/memes/events/intimidation-games/photos|수많은 패러디 이미지를 양산 중.]] '''고 홈 게이머 궐'''이나 '''돈 퉠 오삐써!'''같은 주옥같은 대사도 개그소재가 되고 있다. 막상 에피소드의 까임 대상인 4chan이나 레딧에서는 '''"너무 병신같지만 멋있어"''' 라는 반응을 보여, "재밌었어요" "사우스 파크보다 더 재밌네" 등의 반응으로 [[반어법|자기들을 공격한 에피소드를 재밌다고 '''찬양하는 반응'''을 보였다.]] == 패러디 == [youtube(eV5TLkfYHuI)] 어지간한 [[FPS 게임]] 인터페이스는 다 나오며 심지어 非 FPS 게임 인터페이스 패러디([[커맨드 앤 컨커 시리즈]]에 [[동방 프로젝트]]까지 있다)까지 숱하다! 아래는 패러디된 게임의 목록. * 1. [[폴아웃 3]] * 2. [[킬링 플로어]] * 3. [[데이어스 엑스]] * 4. [[데이어스 엑스: 휴먼 레볼루션]] * 5. [[데이어스 엑스]] * 6. [[시리어스 샘 시리즈|시리어스 샘]] * 7. [[메트로 시리즈|메트로 2033(게임)]] * 8. [[스토커 시리즈]] * 9. [[시스템 쇼크 2]] * 10. [[플래닛사이드 2]] * 11. [[미러스 엣지]] * 12 & 13. [[다크 소울]] * 14. [[다크 메시아: 마이트 앤 매직]] * 15. [[카운터 스트라이크: 글로벌 오펜시브]] * 16. [[게리 모드]] * 17. [[팀 포트리스 2]] * 18. [[섀도우 더 헤지혹|섀도우 더 헤지혹(게임)]] * 19.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 20. [[포스탈 2]] * 21. [[레프트 4 데드 2]] * 22. [[하프라이프 2]] * 23. [[블러드(게임)|블러드]] * 24. [[비시즈]] * 25. [[페르소나 3]] * 26. [[핫라인 마이애미]] * 27. [[둠]] * 28. [[울펜슈타인 3D]] * 29. E.Y.E: 디바인 사이버맨시 * 30. [[골든 아이(게임)|골든 아이]] * 31. * 32. * 33. * 34. [[메탈기어 라이징 리벤전스]] * 35. [[페이데이: 더 하이스트]] * 36. * 37. [[컨뎀드: 크리미널 오리진]] * 38. [[F.E.A.R.]] * 39. [[크라이 오브 피어]] * 40. [[파 크라이 3: 블러드 드래곤]] * 41. [[도타 2]] * 42. [[뱀파이어 더 마스커레이드 블러드라인]] * 43. [[스타워즈: 다크 포스]] * 44. [[플래닛사이드 2]] * 45. [[맥스 페인]] * 46. [[와일드 건맨]] * 47. [[바이오쇼크 2]] * 48. * 49. [[듀크 뉴켐 3D]] * 50. [[다잉 라이트]] * 51. [[스타워즈: 제다이 나이트: 제다이 아웃캐스트]] * 52. [[블렛스톰]] * 53. [[여신이문록 페르소나]] * 54. [[몬스터 헌터]] * 55. [[커맨드 앤 컨커 타이베리안 선]] * 56. [[헤일로 시리즈]] * 57. [[카운터 스트라이크: 글로벌 오펜시브]] * 58 & 59. [[카운터 스트라이크]] [[https://www.youtube.com/watch?v=VqB1uoDTdKM|참조]] * 60. [[단간론파]] * 61. [[스타워즈: 리퍼블릭 코만도]] * 62. [[쉐도우 워리어]] * 63. [[서틴]] * 64. [[https://www.youtube.com/watch?v=I1USdCFPR_A|밈]] * 65. [[저스트 코즈 2]] * 66. [[시리어스 샘]] * 67. * 68. * 69. [[동방 프로젝트]] * 70. [[죠죠의 기묘한 모험]] ~~이건 게임이 아니잖...~~ ~~이거 [[죠죠 ASB|있자나]]~~ * 71. [[엑스컴: 에너미 언노운]] * 72. * 73. [[매스 이펙트]] * 74. [[RuneScape]] * 75. [[진 여신전생 STRANGE JOURNEY]] * 76. [[MUD]] ~~이런 미친...~~ * 78. [[메탈기어 솔리드 4]] * 79. [[배틀필드 3]] * 80. [[레드넥 램페이지]] * 81. [[SWAT 4]] * 82. [[메탈 기어 솔리드 5]] * 83. [[오리사냥]] * 84. [[싱귤래리티(게임)|싱귤래러티]] * 85. [[킹덤하츠 시리즈]] * 86. [[에일리언 vs. 프레데터(2010)]] * 87. [[엑스컴: 에너미 언노운]] * 88. [[메탈 기어 솔리드 5]] * 89. [[드래곤볼 Z]] * 90. [[Grand Theft Auto V]] * 91. [[엘더스크롤 5: 스카이림]] * 92. [[마인크래프트]] * 93. [[폴아웃]] * 94. [[크라이시스 2]] * 95. [[크라이시스(게임)|크라이시스]] * 96. [[Hatred]] * 97. [[배트맨: 아캄 오리진]] * 98. [[전장의 발큐리아]] * 99. [[롤러코스터 타이쿤 2]] * 100. [[Kerbal Space Program]] * 101. [[언리얼 시리즈|언리얼]] [각주] [[분류:Law&Order 시리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