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일리노이 주, rd1=일리노이)] ||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10px;" {{{#fbea54 '''Illinois의 주요 수상'''}}}}}} ||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연도별 메타크리틱 최고 평점 음반)] ---- [include(틀:피치포크/올해의 앨범)]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연도별 1위 앨범(2000년~2019년))]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항목=올타임 명반,순위=95)] ---- [include(틀:Rate Your Music,항목=전체 앨범 차트,순위=65)] ---- [include(틀:NME 선정 500대 명반,순위=138)]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장)] ---- [include(틀:FNAC 선정 1000대 명반,순위=966)] ---- [include(틀:VPRO 선정 299대 명반)] ---- [Include(틀:피치포크 선정, 항목=2000년대 최고의 앨범, 순위=16)] ---- [include(틀:컨시퀀스 선정 2000년대 100대 명반, 순위=17)] ---- [include(틀:100BEAT 선정 2000년대 베스트 앨범, 순위=33)] ---- [include(틀:슬랜트 선정 2000년대 100대 명반, 순위=9)] ---- [include(틀:Gigwise 선정 2000년대 50대 명반, 순위=25)] ---- [include(틀:멜론 선정 명반,음반명= Illinois)] ---- }}} || ||<-2><#3a5d71> '''{{{#fbea54 {{{+1 Illinoi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f1.bcbits.com/a1535970238_10.jpg|width=100%]]}}} || || '''발매일''' || [[2005년]] [[7월 4일]] || || '''녹음일''' || [[2004년]] 말 ~ [[2005년]] 1월 || || '''장르''' || '''[[챔버 팝]]''', '''[[싱어송라이터(장르)|싱어송라이터]]''', [[인디 포크]] || || '''재생 시간''' || 73:59 || || '''곡 수''' || 22곡 || || '''프로듀서''' || [[수프얀 스티븐스]] || || '''스튜디오''' || 버디 프로젝트 스튜디오 || || '''레이블''' || 애스매틱 키티 레코드[br]러프 트레이드 레코드 || [목차][clearfix] == 개요 == [[2005년]]에 발매된 [[수프얀 스티븐스]]의 다섯 번째 앨범. == 상세 == [[일리노이]] 주에 대한 [[콘셉트 앨범]]으로 [[성경]], 일리노이 주에서 태어난 인물인 [[칼 샌드버그]], [[존 웨인 게이시]], [[로버트 워들로]] 등의 인물들을 다루는 곡도 있다. 앨범커버에는 Sufjan Stevens Invites You To: Come On Feel the ILLINOISE 라 적혀있다. Illinois 주 + noise의 중의적 표현으로 적은것으로 추정된다. 그래서 간혹 ILLINOISE로 앨범명을 적는곳도 볼 수 있으나 본인의 밴드캠프에 나와있는 공식적인 표기명은 Illinois이다. 수프얀 스티븐스 최고의 명반이자 2000년대 최고의 명반 중 하나로 손꼽히는 앨범으로, [[피치포크 미디어]] 선정 2005년 앨범 1위, [[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2005년 1위를 하는 등 사실상 2005년에 발매된 앨범 중 제일 명반으로 평가받는다. 관현악기들로 일반적인 대중음악에 비해 다소 큰 스케일의 실내악 팝(Chamber Pop)을 시도했으며, 그 외에도 포크, 록, 로파이 등 다양한 장르가 혼재되어 있다. 수프얀 스티븐스가 어릴적 자주 들은 [[바로크 음악]]과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에드바르 그리그]] 등의 음악가가 편곡과 음악기법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수프얀 스티븐스 특유의 슬프고 아련한 분위기가 재치있는 작곡 스타일과 정교하게 맞물려 있다. 팝이지만 일반적인 팝보다 예상하기 힘든 실험적인 요소가 숨어 있으면서도 지역적인 주제를 아름답고 부드럽게 밀고 나가는 앨범이다. 스티븐스는 이 앨범을 위해 [[일리노이 대학교]]의 치어리더들에게서 영향을 받은 밴드 'The Illinoisemakers'를 조직한다. 앨범커버에 시가를 물고 서 있는 남성은 [[알 카포네]]라고 하며, 왼쪽의 염소는 [[시카고 컵스]]의 [[염소의 저주]]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한다. 그외에 시카고의 [[윌리스 타워]], [[UFO]][* 일리노이 주는 미국내에서도 특히 UFO가 많이 포착되는 주로 유명하다.] 등 일리노이 주를 상징하는 다양한 요소들이 들어가 있다. == 트랙 리스트 == * 1. "Concerning the UFO Sighting Near Highland, Illinois" 2:08 [youtube(p_tcyQbfRo8)] * 2. "The Black Hawk War, or, How to Demolish an Entire Civilization and Still Feel Good About Yourself in the Morning, or, We Apologize for the Inconvenience but You're Going to Have to Leave Now, or, 'I Have Fought the Big Knives and Will Continue to Fight Them Until They Are Off Our Lands!" 2:14 [youtube(QRnY5g9vXE0)] * 3. "Come On! Feel the Illinoise! (Part I: The World's Columbian Exposition – Part II: [[칼 샌드버그|Carl Sandburg]] Visits Me in a Dream)" 6:45 [youtube(nA0UOiVM1u0)] * 컬럼비아 만국 박람회를 소재로 한 곡. 예술가로서의 이상과 현실에 대한 갈등을 다루고 있다. * 4. "John Wayne Gacy, Jr." 3:19 [youtube(ZWpvMm27WIM)] * 실존했던 연쇄살인마 [[존 웨인 게이시]]를 다룬 곡. * 5. "Jacksonville" 5:24 [youtube(9VoHI-ztYbk)] * 6. "A Short Reprise for Mary Todd, Who Went Insane, but for Very Good Reasons" 0:47 [youtube(os1Y-HG5iL0)] * 7. "Decatur, or, Round of Applause for Your Stepmother!" 3:03 [youtube(694Ok4_8kCg)] * 8. "One Last 'Whoo-Hoo!' for the Pullman!!" 0:06 [youtube(IORrrnkXgk4)] * 9. "Go! Chicago! Go! Yeah!" 6:04 [youtube(edpLqHYp4XY)] * 짧게 Chicago라 부른다. 디스코그래피 전체 중 가장 호평받는 명곡. * 10. "Casimir Pulaski Day" 5:53 [youtube(TfEkDqP34xo)] * 11. "To the Workers of the Rock River Valley Region, I Have an Idea Concerning Your Predicament, and It Involves an Inner Tube, Bath Mats, and 21 Able-Bodied Men" 1:40 [youtube(CqpP5otLXhY)] * 12. "The Man of Metropolis Steals Our Hearts" 6:17 [youtube(-kkz4spTT-I)] * 13. "Prairie Fire That Wanders About" 2:11 [youtube(LE03LkEKazQ)] * 14. "A Conjunction of Drones Simulating the Way in Which Sufjan Stevens Has an Existential Crisis in the Great Godfrey Maze" 0:19 [youtube(CpZXjnY65HM)] * 15. "The Predatory Wasp of the Palisades Is Out to Get Us!" 5:23 [youtube(KBse9Y6zucs)] * 16. "They Are Night Zombies!! They Are Neighbors!! They Have Come Back from the Dead!! Ahhhh!" 5:09 [youtube(Ntm--gpY_js)] * 17. "Let's Hear That String Part Again, Because I Don't Think They Heard It All the Way Out in Bushnell" 0:40 [youtube(AxWAgUtmsEo)] * 18. "In This Temple as in the Hearts of Man for Whom He Saved the Earth" 0:35 [youtube(XbfzeUmkECE)] * 19. "The Seer's Tower" 3:53 [youtube(StWGHdVHI54)] * 20. "The Tallest Man, the Broadest Shoulders" 7:02 [youtube(PLEXd_P6A0s)] * 21. "Riffs and Variations on a Single Note for Jelly Roll, Earl Hines, Louis Armstrong, Baby Dodds, and the King of Swing, to Name a Few" 0:46 [youtube(poWhaPe8Slw)] * 22. "Out of Egypt, into the Great Laugh of Mankind, and I Shake the Dirt from My Sandals as I Run" 4:21 [youtube(i7ts5C6LFmo)] == 기타 == * 트랙 리스트를 보면 알겠지만 곡들의 제목이 하나같이 매우 길고, 곡 양도 많은 편이다. 2번 트랙은 [[스펀지(KBS)|스펀지]]에서 '가장 제목이 긴 노래'로 소개된 적이 있었다. * 발매 초창기에는 풍선 대신 슈퍼맨이 그려져 있었다.[[https://namu.wiki/w/%ED%8C%8C%EC%9D%BC:illinoise.webp| ]] 그러나 DC코믹스에서 정지명령을 내렸고 결국 커버를 교체했다. [[분류:2005년 음반]][[분류:미국의 포크 음반]][[분류:미국의 록 음반]][[분류:인디 포크]][[분류:챔버 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