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프로레슬링 챔피언십]][[분류:신일본 프로레슬링]] [include(틀:신일본 프로레슬링의 챔피언십 타이틀)] ||<-2> [[파일:IWGPWHC.png|width=100%]] || || '''현재 챔피언''' || '''[[SANADA]]''' || || '''챔피언 등극''' || 2023년 4월 8일 [br] [[사쿠라 제네시스 2023]] || || '''이전 챔피언''' || [[오카다 카즈치카]] || || '''소속 단체''' || '''[[신일본 프로레슬링]]'''[br]''New Japan Pro Wrestling'' || || '''벨트 창설일''' || 2021년 3월 1일 || [목차] == 소개 == [[신일본 프로레슬링]]의 [[챔피언십]] 중 하나다. 신일본 프로레슬링에서는 단체를 대표하는 최고의 위상을 가진 1선급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이다. [[레슬킹덤 14]]에서 [[오카다 카즈치카]], [[나이토 테츠야]], [[제이 화이트]], [[이부시 코타]] 간의 IWGP 헤비급 & 인터컨티넨탈 더블 타이틀전이 시초다. 나이토 테츠야가 최초의 더블 챔피언이 된 후, [[EVIL]]에게 넘어갔다, 다시 되찾는 일이 있었고 [[레슬킹덤 15]]에서 이부시 코타가 3대 더블 챔피언에 등극한다. 이후 이부시 코타는 두 타이틀의 통일을 주장했고, 이를 무마하려는 나이토 테츠야가 IWGP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쉽에 도전한다. 나이토 테츠야의 시도는 실패하고, 결국 이부시 코타의 주장대로 기존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과 [[IWGP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이 통합되어 탄생한다. 하지만 팬들의 반응은 좋지 않은 편이다.[* 신일본 공식 유튜브 [[https://www.youtube.com/watch?v=JGPnmfmWNFU|2관 통합 기자회견]] 영상의 비추천 수가 압도적으로 많이 찍히고 댓글창도 비판 일색이다.] 특히 IWGP 헤비급, 인터컨티넨탈 각각의 벨트의 역사가 있는데 이를 없애고 합치는 것에 반대하는 의견이 크고, 이부시 코타가 통합을 주장하며 내세운 근거도 팬들에게 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부시 코타의 주장에 따르면 헤비챔과 인컨챔의 통합으로 두 타이틀이 없어지는 것이 아니라 그대로 유지된 채 위상을 더욱 끌어올린다는 논리인데 [[IWGP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실제로 그렇게 탄생한 타이틀]]은 통합 전의 두 타이틀 중 어느 쪽의 역사조차 계승하지 않았고 위상 관리는 시작부터 삐걱거렸으며 벨트 디자인 또한 두 타이틀의 특징을 제대로 담은 것이 맞는지 의심스러울 수준으로 괴리감이 심하여 혹평만 잔뜩 들었다.] 통합 전에 더블 타이틀에 도전하기로 했던 [[엘 데스페라도]][* 공교롭게도, 이쪽은 IWGP 주니어 싱글 & 주니어 태그로. 주니어 2관왕이다.]의 항의, 그리고 캐슬 어택 2일차 다음날 기자 회견에서 이부시의 제안으로 인해 결국 3월 4일, 창단 기념일 흥행의 메인 이벤트 경기로 이부시와 엘 데스페라도의 더블 타이틀 매치를 치루게 되어, 그 경기의 승자가 '''마지막 2관 챔피언이자 초대 IWGP 월드 헤비급 챔피언'''이 되는것으로 확정되었고[[https://twitter.com/njpwglobal/status/1366314423577579521|#]] 더블 타이틀 매치에서 이부시가 승리를 거두며 마지막 IWGP 헤비, 인터컨티넨탈 및 초대 IWGP 월드 헤비급 챔피언으로 역사에 기록되었다. 그리고 디자인이 공개되었는데... [[파일:뉴 IWGP.png]] [[WWE]]가 [[WWE 유니버설 챔피언십|유니버설 챔피언십]]을 공개했을 때만큼 나쁜 반응이 가득하다. 프로레슬링 커뮤니티들은 물론이고, 일본 트위터에서 'IWGP 월드 헤비웨이트 벨트'가 트렌드에 올랐을 정도로 나쁘게 화제가 되었다. 사실 벨트 디자인은 그렇다치고 두 벨트들을 통합시킨게 반발이 더 크다. 그렇게 장황하게 통합을 주장했던 이부시는 정작 통합 후 첫 방어전에서 패배함으로써 타이틀의 위상 관리에 별 도움이 되지 못했고 오스프레이는 부상으로 벨트를 일찍 반납하는 등 악재가 이어졌다. 이후 타카기가 새롭게 챔피언에 등극했으나, 오스프레이가 부상에서 복귀하며 똑같은 벨트를 가져오며 공석 처리에 항의 및 자신이 진짜 챔피언이라 주장했고. 동시에 G1 클라이맥스 31의 우승자인 오카다가 구 IWGP 헤비급 벨트를 가져오며 혼란에 휩싸였다. 이후 [[레슬킹덤 16]]에서 오카다가 타카기와 오스프레이를 꺾고, 구 IWGP 헤비급 벨트에 작별을 고하고 IWGP 월드 헤비급 벨트를 허리에 감으며 마침내 혼란을 끝냈다. 하지만 여전히 팬들의 반응은 구 IWGP 벨트를 그리워하는 의견이 대다수. 50주년 기념 신일본 프로레슬링 전시회에서 해당 벨트의 원안을 공개했는데 디자이너가 메카물에서 상당히 이름있는 애니메이터인 [[오오바리 마사미]].[[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wwe&no=2263519|#]][* 현 신일본 프로레슬링 CEO인 오오바리 타카미의 형이다.] 이때문에 디자인이 왜 이렇게 나왔는지 이해가 된다는 반응도 나오고 있다. == 기록 == || '''초대 챔피언''' ||<-2> [[이부시 코타]] || || '''최다 획득 챔피언''' || [[오카다 카즈치카]] || 2회 || || '''최장기간 챔피언''' || [[타카기 신고]] || 211일 || || '''최단기간 챔피언''' || [[이부시 코타]] || 31일 || || '''최고령 챔피언''' || [[이부시 코타]] [br] [[타카기 신고]] || 38세 || || '''최연소 챔피언''' || [[윌 오스프레이]] || 27세 || || '''최중량급 챔피언''' || [[오카다 카즈치카]] || 107kg || || '''최경량급 챔피언''' || [[이부시 코타]] || 93kg || || '''연속 최다 방어''' || [[오카다 카즈치카]] || 4회 || || '''통산 최다 방어''' || [[오카다 카즈치카]] || 6회 || == 역대 챔피언 목록 == || '''#''' || '''이름''' || '''챔피언 횟수''' || '''등극한 날 [br] (챔피언 방어 기간)''' || '''방어전 승리 횟수''' || '''비고''' || || '''1''' || [[이부시 코타]] || 1회 || 2021년 3월 4일 (31일) || 0회 || || || '''2''' || [[윌 오스프레이]] || 1회 || 2021년 4월 4일 (46일) || 1회 || || || '''-''' || 공석 || - || 2021년 5월 20일 || - || [* [[윌 오스프레이]]의 목 부상으로 인한 타이틀 반납] || || '''3''' || [[타카기 신고]] || 1회 || 2021년 6월 7일 '''(211일)''' || 3회 || [* [[도미니언 6.6 in 오사카-조 홀]]에서 펼쳐진 챔피언 결정전에서 [[오카다 카즈치카]]를 꺾고 챔피언에 등극] || || '''4''' || [[오카다 카즈치카]] || 1회 || 2022년 1월 4일 (159일) || '''4회''' || || || '''5''' || [[제이 화이트]] || 1회 || 2022년 6월 12일 (206일) || 2회 || || || '''6''' || 오카다 카즈치카 || '''2회''' || 2023년 1월 4일 (94일) || 2회 || || || '''7''' || '''[[SANADA]]''' || 1회 || 2023년 4월 8일 ([dday(2023-04-08)]일)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