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Revolver)] ||<#fff> '''{{{#000 I'm Only Sleeping의 수상 이력}}}''' ||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항목=비틀즈 100대 명곡, 순위=57)]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순위=1775)] ---- }}} || ||<#fff><-2> '''{{{+1 I'm Only Sleeping}}}''' || ||<-2> {{{#!wiki style="margin: -0px -10px" [youtube(5XwXliCK19Y, width=100%, height=200)]}}} '''뮤직비디오 (2022년 스테레오 믹스)''' || ||<-2> {{{#!wiki style="margin: -0px -10px" [youtube(xUTiCOd0H2Y, width=100%, height=200)]}}} '''모노 버전''' || || '''수록 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9em" [[Revolver|{{{#000 '''Revolver'''}}}]]}}} || || '''앨범 발매일''' ||[[1966년]] [[8월 5일]] || || '''녹음일''' ||[[1966년]] [[4월 27일]], [[4월 29일]], [[5월 5일]], [[5월 6일]] || || '''스튜디오''' ||[[애비 로드 스튜디오|EMI 스튜디오]] || || '''장르''' ||[[사이키델릭 팝]], [[사이키델릭 록]] || || '''싱글 발매일''' ||없음 || || '''작사/작곡''' ||[[존 레논]] {{{-1 ([[레논-매카트니]] 명의)}}} || || '''프로듀서''' ||[[조지 마틴]] || || '''러닝 타임''' ||2:39 || || '''레이블''' ||[[파일:7FF17EF7-7612-4390-BF5C-B00EF61850AD.jpg|width=28]] 팔로폰 레코드 ,,([[파일:영국 국기.svg|width=20]] [[영국]]),,[br][[파일:캐피톨 레코즈 로고.svg|width=35]] 캐피톨 레코드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미국]]),, || [목차] [clearfix] == 개요 == 영국의 밴드 [[비틀즈]]의 일곱 번째 스튜디오 앨범 [[Revolver]]의 3번 트랙이다. == 상세 == [[존 레논]]의 곡으로, 당시 앨범을 녹음하기 위해 아침 일찍 녹음실로 가야만 했던 레논이 "졸립다"며 투덜거리자 매카트니가 그런 내용으로 곡을 만들어보면 어떠냐고 권유하여 작곡한 노래다. [[백마스킹]]을 '''최초'''로 도입한 곡이다.[* 사실 레코딩 날짜 순서에 따라 Rain이 최초로 도입한 곡이기도 하다.] 기타음을 거꾸로 돌려서 반주에 넣었다. 이 곡의 기술적인 혁신은 후일 많은 곡들에게 영향을 미쳤다고 한다. 존 레논은 이후 [[The Beatles|화이트 앨범]]에서도 '잠'에 대한 노래인 [[I’m So Tired]]을 작곡한다. 여담으로 [[영국]]보다도 일주일이나 빨리 발매된 [[서독]] 버전의 음반에서는 왜인지 이 곡과 And Your Bird Can Sing, Dr.Robert 3곡이 빠져있다. [[독일]]의 빡센 심의상 [[마약]]을 암시하는 곡들이 가위질 당한 것으로 보인다.[* 독일은 [[나치 독일]]이라는 역사적 배경에서 기인한 국가적 트라우마 때문에 조금이라도 부정적인 요소가 있는 게임이나 음악 등을 마구 가위질하는 것으로 악명이 높다.--과민반응이 좀 심하다-- 독일 게임 시장이 성공하지 못한 이유를 빡센 심의 기준 때문이라고 보는 사람들도 있을 정도다.] == 가사 == ||<:> ---- '''{{{+4 I'm Only Sleeping}}}''' ---- When I wake up early in the morning 내가 아침 일찍 눈을 뜰 때면 Lift my head, I'm still yawning 머리를 들어, 하지만 나는 아직도 하품을 하는걸 When I'm in the middle of a dream 내가 꿈 속을 허우적거리고 있을때 Stay in bed, float up stream (float up stream) 침대에서 누워 이리 저리 떠다니지 (떠다녀) Please, don't wake me, no, don't shake me 제발 나좀 깨우지 마, 흔들어 깨우려고 하지 마 Leave me where I am, I'm only sleeping 그냥 좀 내버려둬, 난 그냥 잠만 잘 뿐인걸 Everybody seems to think I'm lazy 모두가 나를 게으르다고 생각하는것 같아 I don't mind, I think they're crazy 난 신경쓰지 않아, 난 걔들이 미쳤다고 생각하니까 Running everywhere at such a speed 사방 팔방 전속력으로 뛰어가지만 'Til they find there's no need (there's no need) 결국 그들은 아무것도 아닌 것을 위해 뛰어가고 있다는 것을 깨닫지 (아무것도 아니야) Please, don't spoil my day, I'm miles away 제발 날 괴롭히지 마, 난 저 멀리 떨어져있어 And after all I'm only sleeping 어쨌거나 난 그냥 잠만 잘 뿐인걸 Keeping an eye on the world going by my window 창가를 지나가는 세상을 흘긋 보면서 Taking my time 나만의 시간을 보내고 있어 Lying there and staring at the ceiling 침대에 누워서 천장을 바라봐 Waiting for a sleepy feeling 그리고 졸려지기를 기다리는거지 Please, don't spoil my day, I'm miles away 제발 날 괴롭히지 마, 난 저 멀리 떨어져있어 And after all I'm only sleeping 어쨌거나 난 그냥 잠만 잘 뿐인걸 Ooh yeah Keeping an eye on the world going by my window 창가를 지나가는 세상을 흘긋 보면서 Taking my time 나만의 시간을 보내고 있어 When I wake up early in the morning 내가 아침 일찍 눈을 뜰 때면 Lift my head, I'm still yawning 머리를 들어, 하지만 나는 아직도 하품을 하는걸 When I'm in the middle of a dream 내가 꿈 속을 허우적거리고 있을때 Stay in bed, float up stream (float up stream) 침대에서 누워 이리 저리 떠다니지 (떠다녀) Please, don't wake me, no, don't shake me 제발 나좀 깨우지 마, 흔들어 깨우려고 하지 마 Leave me where I am, I'm only sleeping 그냥 좀 내버려둬, 난 그냥 잠만 잘 뿐인걸 ---- [[파일:비틀즈 로고.svg|width=100]] ----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Revolver, version=268)] [[분류:Revolver]][[분류:1966년 노래]][[분류:비틀즈 노래]][[분류:사이키델릭 팝]][[분류:사이키델릭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