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빌보드 핫 100 1위 곡, 전번_곡=MMMBop, 전번_아티스트=핸슨, 전번_1위_기간=3주 연속, 이번_곡=I'll Be Missing You, 이번_아티스트=퍼프 대디, 이번_아티스트2=페이스 에반스, 이번_아티스트3=112(R&B 그룹), 이번_1위_기간=11주 연속, 후번_곡=Mo Money Mo Problems, 후번_아티스트=노토리어스 B.I.G., 후번_아티스트2=퍼프 대디, 후번_아티스트3=메이스(미국 래퍼), 후번_1위_기간=2주 연속)] ||
<-5><#000000> '''{{{#FFFFFF [[Puff Daddy]]의 싱글}}}''' || || "[[Can't Nobody Hold Me Down]]"[br](1997) ||<|2> → || '''I'll Be Missing You'''[br](1997) ||<|2> → || "[[Someone]]"[br](1997) || ||
<-5><#000000> '''{{{#FFFFFF [[Faith Evans]]의 싱글}}}''' || || "You Could Be My Boo"[br](1996) ||<|2> → || '''I'll Be Missing You'''[br](1997) ||<|2> → || "[[How's It Goin' Down]]"[br](1998) || ||
<-5><#000000> '''{{{#FFFFFF [[112(R&B 그룹)|112]]의 싱글}}}''' || || "[[Cupid(112)|Cupid]]"[br](1997) ||<|2> → || '''I'll Be Missing You'''[br](1997) ||<|2> → || "[[All Cried Out#s-5]]"[br](1997) || ||<-2><#652015> '''{{{+1 I'll Be Missing You}}}'''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ill be missing you.webp|width=100%]]}}}|| || '''수록 음반'''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3EBC7, #F3EBC7); font-size: .9em" [[No Way Out(음반)|{{{#BB9252 '''No Way Out'''}}}]]}}}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52015, #652015); font-size: .9em" [[Tribute to The Notorious B.I.G.: The Soundtrack|{{{#FFED86 '''Tribute to The Notorious B.I.G.: The Soundtrack'''}}}]]}}} || || '''아티스트''' ||[[퍼프 대디]] & [[페이스 에반스]] featuring [[112(R&B 그룹)|112]] || || '''발매일''' ||[[1997년]] [[5월 27일]] || || '''녹음 기간''' ||[[1997년]] || || '''장르''' ||[[힙합 음악|힙합]], [[컨템퍼러리 R&B|R&B]], [[소울 음악|소울]] || || '''재생 시간''' ||'''^^LP^^''' 5:43/5:01[br]'''^^라디오^^''' 4:08[br]'''^^편집^^''' 3:29 || || '''레이블'''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배드 보이 레코드|[[파일:Bad_Boy_Records_logo.png|width=45]]]]}}} • [[아리스타 레코드|[[파일:아리스타 레코드.png|width=80]]]] || || '''작사/작곡''' ||소스 머니, [[페이스 에반스]] || || '''프로듀서''' ||[[퍼프 대디]], 스티비 J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래퍼 [[퍼프 대디]]와 R&B 가수 [[페이스 에반스]][* 비기의 부인이었다.]의 1997년 노래. 퍼프 대디의 레코드사 "Bad Boy Records" 소속의 [[컨템퍼러리 R&B]] 그룹 [[112(R&B 그룹)|112]] (One Twelve)가 피처링했다. == 특징 == 앨범 'No Way Out'의 2번째 수록곡으로 발표되었다. 가사 내용은 직전 3월 괴한들에게 살해당한 [[노토리어스 B.I.G.]]를 그리워하는 내용이다. 전세계적으로 8백만장이 팔렸으며, 발매된 연도인 1997년에 11주간 빌보드 핫 100 1위를 차지하는 기염을 토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OMOGaugKpzs)]}}} || [[폴리스(밴드)|폴리스]]의 '[[Every Breath You Take]]'를 샘플링해서 만들었다. 비기의 장례식을 마치고 디디는 이제 자신과 배드 보이는 끝났다고 생각해 하루하루를 좌절감에 빠져 살던 와중에 폴리스의 노래를 듣고 바로 곡 제작을 시작했다. 이는 원작자인 [[스팅(가수)|스팅]]의 허락없이 무단으로 샘플링한 것인데, 결국 앨범 발매 직전에 저작권 관련 협상 끝에 저작권을 스팅의 소유로 하고 가까스로 내놓을 수 있었다. 그리고 원곡을 부른 스팅은 퍼프 대디의 [[VMA]] 시상식 라이브에서 깜짝 등장해 함께 공연을 하기도 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V0nL7weZrp8|#]] 2021년 7월 27일 [[방탄소년단]]이 [[BBC Radio 1]]에서 이 곡을 커버했다. [[https://youtu.be/EN5Ga6OMwhA|영상]] 그리고 [[폴리스(밴드)|폴리스]] [[스팅(가수)|스팅]]이 트위터에 이 영상의 링크를 걸며 박수 이모티콘 7개를 올렸다. [[https://twitter.com/OfficialSting/status/1420025051273965568|#]] == 오디오/뮤직 비디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1S5xRPZBMy0,height=200)]}}}||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NKMtZm2YuBE,height=200)]}}}|| || '''오디오''' || '''뮤직 비디오''' || == 가사 == ||<-2><#652015> ---- {{{+2 '''I'll Be Missing You'''}}} ---- Every day I wake up I hope I'm dreamin 잠을 깰 때마다, 꿈꾸는 거였으면 하고 바라게 돼 I can't believe this shit 믿을 수가 없어 Can't believe you ain't here 네가 여기에 없다는 것을 Sometimes it's just hard for a nigga to wake up 가끔은 잠을 깨는 것만으로도 어렵고 It's hard to just keep goin 계속 살아가기 어렵지 It's like I feel empty inside without you bein here 네가 여기 없으니 속이 텅빈 기분이야 I would do anything man, to bring you back 널 다시 데려올 수 있다면, 무엇이든 하겠어 I'd give all this shit, shit the whole knot 모든 걸 바치겠어, 돈이라도 모두 I saw your son today 오늘 네 아들을 봤지 He look just like you 너랑 꼭 닮았더라 You was the greatest 넌 최고였고 You'll always be the greatest 항상 최고일거야 I miss you Big 니가 그리워 Big Can't wait til that day, when I see your face again 네 얼굴을 다시 볼 그 날이, 어서 왔으면 좋겠어 I can't wait til that day, when I see your face again... 네 얼굴을 다시 볼 그 날이, 어서 왔으면 좋겠어... Yeah... this right here (tell me why) 그래... 지금 이건 (왜인지 말해줘) Goes out, to everyone, that has lost someone 진실로 사랑했던, 누군가를, 잃은 That they truly loved (c'mon, check it out) 모두에게 보내는 노래 (이리 와, 들어봐) Verse One: Puff Daddy Seems like yesterday we used to rock the show 우리가 함께 쇼를 하던게 어제일인 것 같아 I laced the track, you locked the flow 내가 트랙을 깔고, 넌 플로우를 뱉었지 So far from hangin on the block for dough 돈 때문에 거리에서 노는 그런 것과는 거리가 멀어 Notorious, they got to know that Notorious, 저들도 알아야해 Life ain't always what it seem to be (uh-uh) 삶은 항상 겉보기와 같은 건 아니지 (uh-uh) Words can't express what you mean to me 내게 있어 너의 의미는 말로는 표현 못 해 Even though you're gone, we still a team 너는 떠났지만, 우린 아직 팀 Through your family, I'll fulfill your dream (that's right) 네 가족을 통해, 너의 꿈을 이뤄줄게 (그래) In the future, can't wait to see 먼훗날, 어떻게 될지 보고 싶다 If you open up the gates for me 네가 날 위해 천국의 문을 열어줄지 Reminisce some time, the night they took my friend (uh-huh) 가끔은 회상해, 내 친구의 목숨을 앗아간 그날밤 (uh-huh) Try to black it out, but it plays again 잊어버리려하지만, 다시 떠올라 When it's real, feelings hard to conceal 진실한 감정은 숨기기 힘들어 Can't imagine all the pain I feel 지금 느껴지는 고통은 상상할 수도 없어 Give anything to hear half your breath (half your breath) 조금이라도 네 숨소리를 듣기 위해 무엇이든 바치리 (바치리) I know you still living your life, after death 그래 넌 죽은 후에도 살아가고 있다는 거 알아 Chorus: Faith Evans Every step I take, every move I make 내가 걸을 때마다, 내가 움직일 때마다 Every single day, every time I pray 하루하루, 기도할 때마다 I'll be missing you 난 네가 그리울거야 Thinkin of the day, when you went away 당신이 떠난, 그 날을 생각하지 What a life to take, what a bond to break 이대로 가긴엔 안타까운 삶, 너무 아픈 이별이야 I'll be missing you 난 네가 그리울거야 [Puff] I miss you Big 그리워 Big Verse Two: Puff Daddy It's kinda hard with you not around (yeah) 네가 없으니까 조금은 힘들어 (yeah) Know you in heaven smilin down (eheh) 천국에서 미소지으며 우릴 보고 있단건 알아 (eheh) Watchin us while we pray for you 널 위해 기도하는 우리를 보고 있겠지 Every day we pray for you 매일 우린 널 위해 기도해 Til the day we meet again 다시 만날 그날까지 In my heart is where I'll keep you friend 친구여, 너는 내 마음 속에 있어 Memories give me the strength I need (uh-huh) to proceed 기억은 내가 필요한 힘을 주지 (uh-huh) 나아가기 위한, Strength I need to believe 믿기 위한 힘을 My thoughts Big I just can't define (can't define) 내 생각은 어떻게 정의내릴 수 없어 (수 없어) Wish I could turn back the hands of time 시간을 조금이라도 돌리면 좋으련만 Us in the 6, shop for new clothes and kicks 6번가에서, 새 옷과 신발을 쇼핑하고 You and me taking flicks 영화도 함께 찍었던 너와 나 Makin hits, stages they receive you on 히트를 치며, 무대들은 아직도 너를 초대해 I still can't believe you're gone (can't believe you're gone) 아직도 네가 떠났다는 걸 믿을 수가 없어 (믿을 수가 없어) Give anything to hear half your breath (half your breath) 조금이라도 네 숨소리를 듣기 위해 무엇이든 바치리 (바치리) I know you still living your life, after death 그래 넌 죽은 후에도 살아가고 있다는 거 알아 Chorus [Faith Evans] Somebody tell me why 누군가 이유를 말해줘 Interlude: Faith Evans One glad morning 어느 행복한 아침 When this life is over 이 삶이 다 끝나면 I know 알아 I'll see your face 너의 얼굴을 다시 볼거란 걸 Outro: 112 Every night I pray, every step I take 기도하는 밤마다, 내딛는 걸음마다 Every move I make, every single day 동작 하나하나마다, 하루도 빼놓지 않고 Every night I pray, every step I take 기도하는 밤마다, 내딛는 걸음마다 [Puff] Every day that passes 지나가는 매일매일 Every move I make, every single day 동작 하나하나마다, 하루도 빼놓지 않고 [Puff] Is a day that I get closer 너를 만날 날이 하루씩 [Puff] To seeing you again 더 가까워지지 Every night I pray, every step I take 기도하는 밤마다, 내딛는 걸음마다 [Puff] We miss you Big... and we won't stop 네가 그리워 Big... 우린 멈추지 않아 Every move I make, every single day 동작 하나하나마다, 하루도 빼놓지 않고 [Puff] Cause we can't stop... that's right 멈출 수 없으니까... 그래 맞아 Every night I pray, every step I take 기도하는 밤마다, 내딛는 걸음마다 Every move I make, every single day 동작 하나하나마다, 하루도 빼놓지 않고 [Puff] We miss you Big 네가 그리워 Big ---- || == 차트 성적 == [[빌보드 R&B 차트]]에서 1997년 6월 둘째 주부터 8월 첫째 주까지 8주 연속 1위, [[빌보드 핫 100]]에서 1997년 6월 둘째 주부터 8월 넷째 주까지 11주 연속 1위를 기록했다. 1997년 빌보드 R&B 연말 차트에서 2위, [[1997년 빌보드 핫 100 연말 차트]]에선 3위, [[빌보드 핫 100 1990년대 총결산 차트]]에서 10위, [[빌보드 핫 100 올타임 차트/1958년-2018년|1958년~2018년 빌보드 핫 100 올타임 차트]]에선 105위에 올랐다. [[분류:퍼프 대디]][[분류:페이스 에반스]][[분류:112(R&B 그룹)]][[분류:빌보드 연말 차트 3위 노래]][[분류:빌보드 핫 100 1위 노래]][[분류:빌보드 R&B 차트 1위 노래]][[분류:1997년 노래]][[분류:1997년 싱글]][[분류:동부 힙합]][[분류:컨템퍼러리 R&B]][[분류:소울 음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