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000000> '''{{{#FFFFFF [[P.M. Dawn]]의 싱글}}}''' || || "Reality Used to Be a Friend of Mine"[br](1992) ||<|2> → || '''I'd Die Without You'''[br](1992) ||<|2> → || "[[Looking Through Patient Eyes]]"[br](1993) || ||
<:><-2> '''{{{+1 {{{#ffffff I'd Die Without You}}}}}}''' || ||<-5><:> [[파일:I'd_Die_Without_You.jpg|width=340]] || ||<:><#7d7d7c> {{{#ffffff '''수록 음반'''}}} ||<(> [[Boomerang: Original Soundtrack Album]] || ||<:><#7d7d7c> {{{#ffffff '''아티스트'''}}} ||<(> [[P.M. Dawn]] || ||<:><#7d7d7c> {{{#ffffff '''B-Side'''}}} ||<(> "I'd Die Without You (Remix Instrumental)"[br]"I'd Die Without You (Album Version)"[br](카세트 맥시-싱글) || ||<:><#7d7d7c> {{{#ffffff '''발매일'''}}} ||<(> 1992년 9월 4일 || ||<:><#7d7d7c> {{{#ffffff '''녹음 기간'''}}} ||<(> 1992년 || ||<:><#7d7d7c> {{{#ffffff '''스튜디오'''}}} ||<(> 스트롱룸 레코딩 스튜디오 ([[잉글랜드]] [[런던]])[* 녹음][br]더 힛 팩토리 DMS ([[뉴욕 주]] [[뉴욕 시|뉴욕]])[* 마스터] || ||<:><#808080> {{{#ffffff '''장르'''}}} ||<(> [[컨템퍼러리 R&B|R&B]] || ||<:><#808080> {{{#ffffff '''재생 시간'''}}} ||<(> 4:11 (앨범 버전) || ||<:><#808080> {{{#ffffff '''레이블'''}}} ||<(> LaFace, Gee Street || ||<:><#808080> {{{#ffffff '''송라이터'''}}} ||<(> Attrell Cordes[* P.M. Dawn] || ||<:><#808080> {{{#ffffff '''프로듀서'''}}} ||<(> P.M. Dawn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힙합 음악|힙합]]/[[컨템퍼러리 R&B|R&B]] 듀오 [[P.M. Dawn]]의 싱글이며 [[에디 머피]]가 주연을 맡은 영화 [[부메랑(동음이의어)#s-4.3|부메랑]]의 사운드트랙 앨범 [[Boomerang: Original Soundtrack Album]]의 세번째 싱글로 1992년 9월 4일에 발매되었다. == 오디오/뮤직 비디오 == || 오디오 (앨범 버전) || ||[youtube(p5JPT1mmlUw)]|| || 뮤직 비디오 || ||[youtube(C_qWlPCEnGM)]|| == 가사 == ||[Verse 1] Is it my turn, to wish you were lying here? I tend to dream you when I'm not sleeping Is it my turn to fictionalize my world? Or even imagine your emotions, tell myself anything, yeah Is it my turn, to hold you by your hands? Tell you I love you and you not hear me Is it my turn to totally understand? To watch you walk out of my life and not do a damn thing [Pre-Chorus] If I have to give away the feeling that I feel, yeah If I have to sacrifice oh, whatever babe, whatever baby If I have to take apart all that I am Is there anything that I would not do [Chorus] 'Cause inside I'd die without you Yeah baby, 'cause I'd die without you 'Cause inside I'd die without you [Verse 2] Oh, I apologize for all the things I've done But now, I'm underwater and I'm drowning Is it my turn to be the one to cry? Isn't it amazing how some things just completely turn around? [Bridge] So take every little piece of my heart Yeah, take every little piece of my soul Yeah, take every little bit of piece of my mind 'Cause if you're gone, inside, I'd die without you [Pre-Chorus] If I have to give away the feeling that I feel, yeah If I have to sacrifice oh, whatever babe, whatever baby If I have to take apart all that I am Is there anything that I would not do [Chorus] 'Cause inside I'd die without you 'Cause inside I'd die without you 'Cause inside I'd die without you Die without you, yeah 'Cause inside I'd die without you Die without you, I'd die without you 'Cause inside I'd die without you Die without you 'Cause inside I'd die without you Die without you, yeah baby 'Cause inside I'd die without you Die without you 'Cause inside I'd die without you|| == 차트 성적 == [[빌보드 핫 100]]에서 1992년 10월 다섯번째 주부터 11월 셋째 주까지 4주 연속 3위를 기록했고 16주 연속 10위권에,[* 1992년 10월 둘째 주부터 1993년 1월 넷째 주까지] 19주 연속 20위권에,[* 1992년 10월 첫째 주부터 1993년 2월 첫째 주까지] 24주 연속 40위권에 머물러 있었다.[* 1992년 9월 넷째 주부터 1993년 3월 첫째 주까지] [[빌보드 R&B 차트]]에서 16위를 기록했다. [[1992년 빌보드 핫 100 연말 차트]]에서 51위, [[1993년 빌보드 핫 100 연말 차트]]에선 43위에 올랐다. [[분류:빌보드 핫 100 3위 노래]][[분류:1992년 노래]][[분류:1992년 싱글]][[분류:사운드트랙 싱글]][[분류:컨템퍼러리 R&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