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독일어 버전, rd1=Komm\, gib mir deine Hand)] ||<-5> [[비틀즈|{{{#fff '''비틀즈의 역대 싱글'''}}}]] || || [[She Loves You|{{{#000,#fff She Loves You}}}]][br]{{{-2 (1963)}}} || → || [[I Want to Hold Your Hand|{{{#000,#fff I Want to Hold Your Hand}}}]][br]{{{-2 (1963)}}} || → || [[Can't Buy Me Love|{{{#000,#fff Can't Buy Me Love}}}]][br]{{{-2 (1964)}}} || ||<#FCFCF2> '''I Want to Hold Your Hand의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그래미 어워드 명예의 전당, 연도=1998)]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비틀즈 100대 명곡)]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 (1 ~ 30위))] ---- [include(틀:NME 선정 비틀즈 100대 명곡)]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 순위=16, 연도=2010, 순위2=15, 연도2=2021)] ---- [include(틀:NME 선정 500대 명곡, 순위=156)]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순위=84)] ---- [include(틀:피치포크 선정, 항목=1960년대 최고의 노래, 순위=58)] ---- [include(틀: 로큰롤 명예의 전당 선정 록을 형성한 500곡)] ---- [include(틀:타임지 선정 100대 명곡)] ---- [include(틀:빌보드 핫 100 1위 곡, 전번_곡=There! I've Said It Again, 전번_아티스트=Bobby Vinton, 전번_1위_기간=4주 연속, 이번_곡=I Want to Hold Your Hand, 이번_아티스트=The Beatles, 이번_1위_기간=7주 연속, 후번_곡=She Loves You, 후번_아티스트=The Beatles, 후번_1위_기간=2주 연속)] ---- }}} || ||<#FCFCF2><-2> '''{{{+1 I Want to Hold Your Hand}}}'''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KjSy6hNwFno, width=100%, height=200)]}}} || || '''싱글 발매일''' ||[[파일:영국 국기.svg|width=28px]] [[1963년]] [[11월 29일]][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8px]] [[1963년]] [[12월 26일]] || || '''싱글 B면''' ||[[파일:영국 국기.svg|width=28px]] [[This Boy]][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8px]] [[I Saw Her Standing There]] || || '''녹음실''' ||[[애비 로드 스튜디오|EMI 스튜디오]] || || '''장르''' ||[[로큰롤]], [[팝 음악|팝]] || || '''재생 시간''' ||2:24 || || '''작사/작곡''' ||[[레논-매카트니]] || || '''프로듀서''' ||[[조지 마틴]] || || '''레이블''' ||[[파일:7FF17EF7-7612-4390-BF5C-B00EF61850AD.jpg|width=28]] 팔로폰 레코드 ,,([[파일:영국 국기.svg|width=20]] [[영국]]),,[br][[파일:캐피톨 레코즈 로고.svg|width=35]] 캐피톨 레코드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미국]]),,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싱글 커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 [[파일:This Boy.jpg|width=100%]] || }}}}}}}}} || [목차] [clearfix] == 개요 == [[1963년]] 발표된 [[비틀즈]]의 싱글.[* [[비틀즈]] 곡 중 드물게 [[폴 매카트니]]와 [[존 레논]]이 같이 만든 노래이다. --진정한 [[레논-매카트니]]--] '''비틀즈의 초기 대표곡이자 1960년대 가장 성공한 싱글 중 하나'''인데, [[빌보드 핫 100]] 7주 1위를 기록했고, [[1964년 빌보드 핫 100 연말 차트]]에서 1위, [[빌보드 핫 100 올타임 차트/1958년-2018년|1958년~2018년 빌보드 핫 100 올타임 차트]]에선 48위에 올랐다. 세계적으로 약 760만 장의 실물 판매고를 기록하여 세계에서 6번째로 많이 팔린 싱글이다. 당시 정규앨범에는 수록되지 않았고, 컴필레이션 앨범인 [[Past Masters]]에 수록되었다. 1964년에 에드 설리번 쇼에서 이 곡을 연주하는 장면이 미국 전역으로 전파를 탄 뒤 [[브리티시 인베이전|영국의 록 밴드들이 속속 미국 음반 시장을 점령하는 사태가 벌어지게 되었다.]] 대중음악 역사를 논할때 빠질 수 없는, 비틀즈의 미국 시장에서의 본격적인 출발을 알렸다는 사실 그 자체만으로 막대한 영향력을 지닌 명곡으로 손꼽힌다. 영국에서는 B면으로 [[This Boy]]가 실렸고, 미국에서는 [[I Saw Her Standing There]]가 실렸다. == 차트 성적 == [include(틀:빌보드 선정,선정=빌보드 싱글 차트 역사상 가장 성공한 노래,순위=54)] [include(틀:UK 차트 1위 곡, 전번_곡=She Loves You, 전번_아티스트=비틀즈, 전번_1위_기간=2주 연속, 이번_곡=I Want to Hold Your Hand, 이번_아티스트=비틀즈, 이번_1위_기간=5주 연속, 후번_곡=Glad All Over, 후번_아티스트=데이브 클락 파이브, 후번_1위_기간=2주 연속)] [include(틀:세계 실물 싱글 판매량 순위)] == 가사 == ||<-2><#FCFCF2> ---- {{{+2 '''I Want to Hold Your Hand'''}}} ---- Oh yeah, I'll tell you something 오 그래요, 당신께 뭔가를 말해 드릴게요 I think you'll understand 당신이 이해하리라고 생각해요 When I say that something 제가 그런 얘기를 할 때마다 I wanna hold your hand 당신의 손을 잡고 싶어요 I wanna hold your hand 당신의 손을 잡고 싶어요 I wanna hold your hand 당신의 손을 잡고 싶어요 Oh please, say to me 오 제발, 저에게 말해 주세요 You'll let me be your man 절 당신의 남자로 삼아 주겠다고요 And please, say to me 그리고 제발요, 저에게 말해 주세요 You'll let me hold your hand 제가 당신의 손을 잡게 허락해 주겠다고요 Now let me hold your hand 이제 당신의 손을 잡게 해 주세요 I wanna hold your hand 당신의 손을 잡고 싶어요 And when I touch you 그리고 제가 당신과 닿을 때 I feel happy Inside 제 속은 행복해요 It's such a feeling that my love 참으로 이런 감정은 I can't hide 숨길 수 없어요 I can't hide 숨길 수 없어요 I can't hide 숨길 수 없어요 Yeah you, got that something 오 당신은, 그 무언가를 가지고 있어요 I think you'll understand 당신이 이해하리라고 생각해요 When I say that something 제가 그런 얘기를 할 때마다 I wanna hold your hand 당신의 손을 잡고 싶어요 I wanna hold your hand 당신의 손을 잡고 싶어요 I wanna hold your hand 당신의 손을 잡고 싶어요 And when I touch you 그리고 제가 당신과 닿을 때 I feel happy Inside 제 속은 행복해요 It's such a feeling that my love 참으로 이런 감정은 I can't hide 숨길 수 없어요 I can't hide 숨길 수 없어요 I can't hide 숨길 수 없어요 Yeah you, got that something 오 당신은, 그 무언가를 가지고 있어요 I think you'll understand 당신이 이해하리라고 생각해요 When I feel that something 제가 그런 느낌을 느낄 때마다 I wanna hold your hand 당신의 손을 잡고 싶어요 I wanna hold your hand 당신의 손을 잡고 싶어요 I wanna hold your hand 당신의 손을 잡고 싶어요 I wanna hold your hand 당신의 손을 잡고 싶어요 ---- [[파일:비틀즈 로고.svg|width=100]] || == 공연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jenWdylTtzs, height=250)]}}} || || '''[[브리티시 인베이전]]의 촉매가 된 [[1964년]] [[2월 9일]] 에드 설리번 쇼.''' || == 기타 == * 비틀즈 곡들 중 최초로 4트랙 테이프로 녹음이 된 곡이다. * 약에 취한 [[밥 딜런]]이 이 노래를 듣다 'I Can't Hide' 부분을 'I Get High'로 [[몬더그린|잘못 알아듣고]] 비틀즈도 자신과 같은 약쟁이 뮤지션이라고 오해하게 되었다. 이 때문에 [[존 레논]]이 밥 딜런과의 첫 만남에서 그거 잘못 알아들은 거라며 해명하느라 진땀을 뺐다고 한다. 그럼에도 딜런은 그 말을 믿지 않고 대마초를 권하며 멤버들이 처음으로 대마초를 접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그리고 비틀즈는 각성하게 되는데…~~ * 1978년에 개봉한 I Wanna Hold Your Hand 라는 개그 영화가 있는데 제목이 이 노래 가사에서 따왔으며 영화 시작하면 비틀즈 흑백영상과 같이 이 노래가 나오고 엔딩에서도 노래가 나오며 아주 주제가이다. 비틀즈 노래가 나오긴 해도 정작 비틀즈는 마지막에 다른 배우가 맡아 얼굴을 안 보여주고 비틀즈라고 한다. 한국에선 1990년 3월 17일에 [[토요명화]]로 {비틀즈 대소동}이란 제목으로 [[더빙]] 방영했다. 감독이 바로 흥행감독인 [[로버트 저메키스]]로 이걸로 감독 데뷔했다. 기획은 [[존 밀리어스]]. 말 그대로 비틀즈 팬들 이야기를 다룬 코미디 영화로 190만 달러를 벌며 흥행이나 평은 실패했다. 줄거리는 말 그대로 비틀즈 인기에 당시 사람들 반응을 보여주는, 아주 여러 팬들에 대하여 다룬 영화였다. * [[무한도전]]에서 패러디했다. 무한도전에 유독 비틀즈 노래가 많이 나왔으며 이후 식객 특집에서는 한글로 개사한 [[Ob-La-Di, Ob-La-Da]]를 불렀다. [youtube(7WKGb5cJpPM)] * 당시 한국에서도 불법 복제 음반이 발매되었다. 커버에는 [[https://shindonga.donga.com/3/all/13/2181123/1|그녀손목잡고싶어 - 비틀비틀비틀]]이라는 해괴한 한국어 제목과 함께 비틀즈 멤버들의 사진이 실려있다. * 빌보드 차트 1위를 달성할 즈음인 1964년 한국의 락밴드 키보이스[* [[신중현]]의 Add-4와 함께 한국 초창기 락밴드로 알려져있으며, [[김홍탁]], [[차중락]], [[윤항기]] 등이 활동했다.]가 [[https://youtu.be/TBhPhE92ERU?t=348|그녀 손목 잡고싶네]]라는 제목으로 번안해 부르기도 했다. * 노래를 만들던 중에 [[폴 매카트니]]가 gotta something....이라고 말했고 이것을 들은 [[존 레논]]이 바로 그거야! 라고 말하고 뚝딱뚝딱 노래를 만들었다고 한다. * 1964년 1월에 [[She Loves You]]와 함께 [[서독]] 시장을 위해 독일어로 번역되어 녹음되었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Komm\, gib mir deine Hand)] * 한국 초등학교 영어 시간에 마이클 잭슨의 [[Heal the World]] 등과 함께 정말 많이 들을 수 있는 노래이다. 보통 에드 설리번 쇼 영상을 많이들 튼다. [[분류:1963년 노래]][[분류:1963년 싱글]][[분류:비틀즈 노래]][[분류:빌보드 핫 100 1위 노래]][[분류:빌보드 연말 차트 1위 노래]][[분류:로큰롤]][[분류:Dolby Atmos 지원 음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