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1 [[Marvin Gaye]] {{{#b2a529 역대 싱글}}}}}}''' || || ''His Eye is on the Sparrow''[br](1968) || {{{+1 →}}} || ''' ''I Heard It Through the Grapevine''[br](1968)''' || {{{+1 →}}} || ''Good Lovin' Ain't Easy to Come By'' (1969)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80deg, #000, #000);" {{{#fff '''I Heard It Through the Grapevine의 주요 수상 및 기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그래미 어워드 명예의 전당, 연도=1998)]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1위 ~ 30위))]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 순위=80, 연도=2004, 순위2=81, 연도2=2010, 순위3=119, 연도3=2021)] ---- [include(틀:NME 선정 500대 명곡, 순위=46)] ---- [include(틀:피치포크 선정, 항목=1960년대 최고의 노래, 순위=22)] ---- [include(틀:타임지 선정 100대 명곡)] ---- [Include(틀:Rate Your Music,항목=전체 싱글 차트,순위=200)] ---- ||||<#fff,#191919><-5> {{{+1 [[빌보드 핫 100|[[파일:BillboardHot100(2020Version).png|width=200]]]][br][[빌보드 핫 100]] {{{#b2a529 '''역대 1위 곡'''}}}}}} || || ''[[Love Child]]''[* 1968년 11월 넷째 주부터 12월 첫째 주까지] {{{-2 [[Diana Ross & the Supremes|{{{#8086a0 Diana Ross & the Supremes}}}]]}}} || {{{+1 →}}} || ''' ''I Heard It Through the Grapevine'[br]^^(7주 연속)^^[* 1968년 12월 둘째 주부터 1969년 1월 넷째 주(2011년의 마지막 주)][br]{{{-2 [[Marvin Gaye|{{{#8086a0 Marvin Gaye}}}]]}}}''' || {{{+1 →}}} || ''[[Crimson and Clover]]''[* 1969년 2월 첫째 주부터 둘째 주까지] {{{-2 [[Tommy James and the Shondells|{{{#8086a0 Tommy James and the Shondells}}}]]}}} || ---- }}} || ---- |||| '''{{{+1 ''I Heard It Through the Grapevine''}}}''' {{{-2 수록: ''[[In the Groove|{{{#fff In the Groov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I_Heard_It_Through_the_Grapevine.jpg|width=100%]]}}} || || '''아티스트''' || [[마빈 게이]] || || '''B-Side''' || "You're What's Happening (in the World Today)" || || '''발매일''' || 1968년 10월 30일 || || '''녹음 기간''' || 1967년 2월 3일/8일/13일/15일, 1967년 4월 10일 || || '''스튜디오''' || Hitsville USA (Studio A), [[미시건|미시건 주]] [[디트로이트]] || || '''장르''' || [[:분류:사이키델릭 소울|사이키델릭 소울]], [[R&B]] || || '''길이''' || 3분 16초 || || '''레이블''' || [[모타운|Tamla]] || || '''송라이터''' || 노먼 휫필드, 배럿 스트롱 || || '''프로듀서''' || 노먼 휫필드 || [목차][clearfix] == 개요 == || [youtube(cXWHpbpNdHE)] || [youtube(Y7dGdrP3pms)] || || 음원 || 1980년 라이브 || [[마빈 게이]]의 싱글이며 그의 8집 앨범 In the Groove의 세번째 싱글로 1968년 10월 30일에 발매되었다. == 상세 == 소울 음악을 대표하는 트랙이며 동시에 마빈 게이의 최대 히트곡이다. 이 곡은 당시 마빈 게이 말고도 [[모타운]] 소속의 가수들 몇 명이 녹음을 했는데, [[베리 골디]]는 마빈 게이를 포함한 녹음본들의 발매를 거부했고, '[[글래디스 나이트|글래디스 나이트 앤 핍스]]'의 녹음본의 싱글 발표를 승인하여 [[빌보드 R&B 차트]] 1위, [[빌보드 핫 100]] 2위에 올린 바 있다. || [youtube(dNKDCkLcRj0)] || || 글래디스 나이트 앤 핍스의 버전. [[R&B]] 스타일의 곡이다. || 이 곡의 작곡가 중 한 명이자 프로듀서인 '노먼 휘트필드'는 골디의 의중과는 상관없이 마빈 게이의 녹음본을 그의 솔로 앨범에 실었는데, 라디오 DJ과 청자들이 하나같이 이 버전을 선호하자 베리 골디가 급하게 싱글 발매를 승인하여 [[글래디스 나이트]]의 버전보다 더 큰 성공을 거두었다. [[빌보드 핫 100]]은 물론이고, 영국에서도 1위를 기록하면서 모타운 레코드의 최고 히트곡이 되었다. 마빈 게이의 버전이 자신의 버전보다 더 크게 히트하자 [[글래디스 나이트]]는 상당히 속상했는지 마빈 게이에게 자신의 반주에 그대로 녹음한거 아니냐고 따지기도 하였지만 마빈 게이는 이를 부정했다. 빌보드 핫 100에서는 무려 '''7주 연속 1위'''를 기록했고, [[1969년 빌보드 핫 100 연말 차트]]에서는 88위, [[빌보드 핫 100 올타임 차트/1958년-2018년|1958년~2018년 빌보드 핫 100 올타임 차트]]에서는 '''84위'''를 기록했다. 마빈 게이의 '''최대 히트곡'''임과 동시에 1960년대의 대표곡 중 하나이다.[* 발매 시기가 안좋아서 연말순위는 낮다.] 모타운의 아티스트들을 비롯해 여러 가수들이 이 곡을 리메이크하였다. 특히 [[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의 버전이 유명한데, 소울 풍의 원곡에 [[록 음악]]의 감성을 섞어 3분 대의 곡을 무려 11분 대의 대곡으로 늘려 놓았다. || [youtube(bukPjk5zdLc)] || || 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의 버전 || 제목인 "I Heard It Through the Grapevine"인 해석하자면 [[풍문으로 들었소]]와 같은 뜻이다. [[남북전쟁]] 당시 흑인 노예들의 연락 수단에서 유래된 속어라고 한다. 가사는 자신의 연인이 바람을 피운다는 것을 소문으로 듣고 괴로워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모타운의 관계자들은 가사가 너무 어두워 이 곡이 히트하지 못 할 거라 생각했다고 한다. [[Apple Music]]에서 [[Dolby Atmos]]를 지원한다. == 가사 == || Ooh, I bet you're wonderin' how I knew 당신은 어떻게 알았는지 궁금해하겠지요 'Bout your plans to make me blue 날 슬프게 만들 그 계획을 With some other guy you knew before 전에 알던 그 남자와 함께 말이에요 Between the two of us guys you know I love you more 우리 두 남자 중 내가 당신을 더 사랑하는다는 걸 알잖아요 It took me by surprise I must say 어제 그 사실을 알고 놀랐지만 When I found out yesterday 난 말해야겠어요 Don'tcha know that I 모르시겠나요 Heard it through the grapevine 난 소문으로 들었어요 Not much longer would you be mine 당신이 더 이상 내 것이 아니라는 말을 Oh I heard it through the grapevine 난 소문으로 들었어요 Oh I'm just about to lose my mind 미쳐버릴 것만 같아요 Honey, honey yeah 허니, 허니 (Heard it through the grapevine) (소문으로 들었어요) (Not much longer would you be my baby, ooh, ooh, ooh) (당신이 더 이상 내 것이 아니라는 말을) I know a man ain't supposed to cry 남자는 울지 말아야만 하죠 But these tears I can't hold inside 하지만 내 안의 눈물은 도저히 참을 수가 없네요 Losin' you would end my life you see 당신을 잃으면 제 삶은 끝이에요 'Cause you mean that much to me 왜냐면 당신은 나에게 많은 의미를 가지고 있으니까 You could have told me yourself 다른 사람을 사랑한다는 말을 That you love someone else 나에게 직접 말해주지 그랬어요 Instead I 그대신 난 Heard it through the grapevine 소문으로 들었어요 Not much longer would you be mine 당신이 더 이상 내 것이 아니라는 말을 Oh I heard it through the grapevine 난 소문으로 들었어요 And I'm just about to lose my mind 미쳐버릴 것만 같아요 Honey, honey yeah 허니, 허니 (Heard it through the grapevine) (소문으로 들었어요) (Not much longer would you be my baby, ooh, ooh, ooh, ooh, ooh) (당신이 더 이상 내 것이 아니라는 말을) People say believe half of what you see, son 사람들은 본 것은 반만 믿으라고 하고 And none of what you hear 들은 것은 하나도 믿지 말라고들 하죠 But I can't help bein' confused 하지만 난 혼란스러워져요 If it's true please tell me dear 사실이라면 부디 말해주세요 Do you plan to let me go 당신은 날 버릴 건가요 For the other guy you loved before? 전에 사랑하던 남자를 위해? Don'tcha know I 모르시겠나요 Heard it through the grapevine 난 소문으로 들었어요 Not much longer would you be mine 당신이 더 이상 내 것이 아니라는 말을 Baby I heard it through the grapevine 난 소문으로 들었어요 Ooh I'm just about to lose my mind 미쳐버릴 것만 같아요 Honey, honey yeah 허니, 허니 (Heard it through the grapevine) (소문으로 들었어요) (Not much longer would you be my baby, yeah, yeah, yeah, yeah) (당신이 더 이상 내 것이 아니라는 말을) Honey, honey, I know 허니, 허니, 알고 있어요 That you're lettin' me go 당신이 날 버릴거란 걸 Said, I heard it through the grapevine 말했죠, 난 소문으로 들었어요 Heard it through the grapevine 말했죠, 난 소문으로 들었어요 || == 차트 성적 == === 글래디스 나이트 앤 더 핍스 버전 === [[빌보드 R&B 차트]]에서 1967년 12월 첫째 주부터 1968년 1월 첫째 주까지 6주 연속 1위, [[빌보드 핫 100]]에서 2위를 기록했다. === 마빈 게이 버전 === || 오스트레일리아 || 16 || || 캐나다 || 6 || || 프랑스 || 88 || || 아일랜드 || 7 || || 네덜란드 || 25 || || 남아프리카 || 3 || || 영국 || 1 || || 미국 [[빌보드 핫 100]] || 1 || || 미국 [[빌보드 R&B 차트|빌보드 R&B]] || 1 || [[빌보드 R&B 차트]]와 [[빌보드 핫 100]]에서 1968년 12월 둘째 주부터 1969년 1월 넷째 주까지 7주 연속 1위를 기록했다. [[1969년 빌보드 핫 100 연말 차트]]에선 88위, [[빌보드 핫 100 올타임 차트/1958년-2018년|1958년~2018년 빌보드 핫 100 올타임 차트]]에선 84위에 올랐다. == 로저 트라우트먼의 1981년 커버 버전 == [youtube(vMocBqHA408)] 미국의 유명 [[펑크(음악)|Funk]] 밴드 [[Zapp]]의 멤버인 로저 트라우트먼[* 참고로 트라우트먼은 [[California Love]]의 훅을 맡은 가수로 유명하다.]이 위의 원곡을 [[펑크(음악)|펑크(Funk)]], [[일렉트로|일렉트로-펑크(Electro-funk)]] 스타일로 커버했다. 1981년에 싱글로 발매되어 [[빌보드 R&B 차트]]에서 1981년 11월 첫째 주부터 둘째 주까지 2주 연속 1위를, [[빌보드 핫 100]]에선 79위를 기록했다. == 여담 == * 마빈 게이 사후에 [[리바이스]] CF에 삽입된 일을 계기로 영국에서 8위에 오르는 등 이 곡이 다시 재조명받기도 했다. * [[KBO 리그]]의 [[SSG 랜더스]] 소속 외국인 타자였던 [[제이미 로맥]]의 등장곡이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마빈 게이, version=146)] [[분류:모타운 음반]][[분류:글래디스 나이트]][[분류:빌보드 핫 100 2위 노래]][[분류:빌보드 R&B 차트 1위 노래]][[분류:1967년 노래]][[분류:1967년 싱글]][[분류:R&B]][[분류:마빈 게이]][[분류:빌보드 핫 100 1위 노래]][[분류:1968년 노래]][[분류:1968년 싱글]][[분류:사이키델릭 소울]][[분류:노먼 휘트필드]][[분류:바렛 스트롱]][[분류:1981년 노래]][[분류:1981년 싱글]][[분류:Funk]][[분류:일렉트로]][[분류:Dolby Atmos 지원 음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