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미국 서비스, rd1=Hulu)] [include(틀:OTT 서비스)] ||<-2> {{{#ffffff {{{+3 '''Hulu'''}}}}}} || ||<-2>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Hulu(일본) 로고.svg|width=70%]]}}} || ||<|3> {{{#ffffff '''기업명'''}}} ||'''정식''': HJ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영어''': HJ Holdings, Inc. || ||'''한글''': HJ홀딩스 주식회사 || || {{{#ffffff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 {{{#ffffff '''업종명'''}}}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업 || || {{{#ffffff '''설립일'''}}} ||[[2017년]] [[4월 1일]] ([age(2017-04-01)]주년) [* '''HJ홀딩스 [[유한책임회사]]'''에서 [[주식회사]]로 개편.] || || {{{#ffffff '''서비스'''}}} ||[[2011년]] [[9월]] ([age(2011-09-01)]주년) || || {{{#ffffff '''대표자'''}}} ||오호 히로유키(於保 浩之) ^^(대표이사 사장)^^ || || {{{#ffffff '''링크'''}}} ||[[https://www.hulu.jp|[[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2]]]] | [[https://www.facebook.com/HuluJapan|[[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2]]]] | [[https://twitter.com/hulu_japan|[[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22&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width=22&theme=dark]]]] | [[https://www.instagram.com/hulu_japan|[[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2]]]] | [[https://www.youtube.com/user/@HuluJapanLL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https://www.tiktok.com/@hulujp|[[파일:틱톡 아이콘.svg|width=22]]]] | [[https://www.linkedin.com/company/hulu-japan|[[파일:LinkedIn 아이콘.svg|width=22]]]] | [[https://page.line.me/hulujapan|[[파일:라인 아이콘.svg|width=22]]]] || ||<-2>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color: #ddd" || {{{#ffffff '''법인형태'''}}} ||[[주식회사]] || || {{{#ffffff '''주요 주주'''}}} ||{{{-1 [[닛폰 테레비|닛폰 테레비 방송망]][br][[Hulu]][br][[Z홀딩스]][br][[도호]][br][[요미우리 테레비|요미우리 테레비 방송]]}}} || || {{{#ffffff '''본사 소재지'''}}} ||{{{-1 [[도쿄도]] [[미나토구(도쿄)|미나토구]] 히가시신바시1쵸메 5-2 시오도메시티센터 36층}}} || }}}}}}}}} || [목차] [clearfix] == 개요 == [[Hulu]]의 일본 내 서비스는 2011년부터 시작되었지만, 일본 내 컨텐츠 확보 문제와, 수익성 때문에 [[2014년]]에 [[닛폰 테레비|닛폰 테레비 방송망]]에 매각되었다. [[닛폰 테레비|닛테레]]는 인수한 뒤로 자회사인 HJ 홀딩스 합동회사 (現·HJ 홀딩스 주식회사)를 설립하여 Hulu의 일본 내 서비스의 권리 의무를 승계했다. == 인트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W1pMMLP36h8)]}}} || || '''인트로 영상''' || == 상세 == 현재 일본 내 훌루는 사실상 [[닛폰 테레비|닛폰 테레비 방송망]]의 SVOD 혹은 OTT라고 보면 된다. 훌루의 일본 사업권을 완전 인수한 이후로 자사의 VOD서비스를 전부 hulu로 일원화하였다. 심지어, 준키국의 [[ytv|요미우리 테레비]]의 VOD 서비스도 종료시킬 정도. 물론, 전부 닛테레 방송만 서비스 하는 건 아니고, 일부 민방 프로그램 혹은 NHK 프로그램도 서비스 중. 특히나 디즈니 플러스가 일본 내 서비스를 시작한 이후로는, 아예 별개의 서비스라고 보면 된다. 일본 외 지역이 훌루와 디즈니 플러스를 통합하려는 움직임이 보이는 반면, 일본은 이제 완전 다른 회사의 서비스기 때문에, 디즈니가 다시 훌루의 일본 내 서비스를 가져가지 않는 이상은, 다른 서비스기 때문에 당분간은 공존할 것으로 보인다. 2022년 4월부터 [[KBS World|KBS 월드]]와 스트리밍 서비스를 계약하며, 실시간 서비스를 시청할 수 있게 되었다. [[https://news.hulu.jp/kbsworldplus/|#]] 2021년 기준 일본 [[OTT]] 시장 점유율(매출)에서 5위를 차지하고 있다. 1위 [[넷플릭스]](23.1%), 2위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12.0%), 3위 [[U-NEXT]](11.5%), 4위 DAZN(9.8%) 5위 '''Hulu'''(8.0%), 6위 [[디즈니 플러스]](6.0%), 7위 [[dTV]](5.4%), 8위 [[d아니메스토어]](4.4%), 9위 [[TELASA]](2.8%), 10위 [[Paravi]](2.6%), 11위 [[ABEMA]] 프리미엄(2.5%)이다.[[http://ottnews.kr/View.aspx?No=2213794|#]][[https://prtimes.jp/main/html/rd/p/000000108.000013190.html|#]] [include(틀:일본의 OTT 비교)] == 기타 == [[분류:Hulu]][[분류:닛폰 테레비]][[분류:2017년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