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Led Zeppelin]][[분류:1969년 노래]][[분류:블루스 록]][[분류:프로그레시브 록]][[분류:레드 제플린 노래]] [include(틀:Led Zeppelin)] ||<#0C0C0C> '''How Many More Times'''{{{#fff '''의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순위=9251)]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항목=1960년대 명곡, 순위=1471)] ---- }}} || ||<#0C0C0C><-2> '''{{{+1 How Many More Time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2Vbn2XQ7GPo, width=100%, height=200)]}}} || || '''앨범 발매일''' ||[[1969년]] [[3월 22일]] || || '''수록 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C0C0C; font-size: .9em" [[Led Zeppelin(앨범)|{{{#ED6533 '''Led Zeppelin'''}}}]]}}} || || '''스튜디오''' ||올림픽 || || '''장르''' ||[[블루스 록]], [[프로그레시브 록]] || || '''러닝 타임''' ||8:28|| || '''작사/작곡''' ||[[플랜트-페이지]], [[존 본햄]], [[존 폴 존스]]|| || '''연주자'''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C0C0C; font-size: .9em" [[로버트 플랜트|{{{#ED6533 '''로버트 플랜트'''}}}]]}}} 리드 보컬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C0C0C; font-size: .9em" [[지미 페이지|{{{#ED6533 '''지미 페이지'''}}}]]}}} 리드 기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C0C0C; font-size: .9em" [[존 폴 존스|{{{#ED6533 '''존 폴 존스'''}}}]]}}} 베이스 기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C0C0C; font-size: .9em" [[존 본햄|{{{#ED6533 '''존 본햄'''}}}]]}}} 드럼 }}} || || '''프로듀서''' ||[[지미 페이지]] || || '''레이블''' ||[[애틀랜틱 레코드|[[파일:애틀랜틱 레코드.png|width=60]]]] || [목차][clearfix] == 개요 == ||<#ED6533>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wEPog_WdPE4, height=200)]}}} ||<#fff>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u43IgCg_yWw, height=200)]}}} || || '''1969년 라이브''' || '''1970년 라이브''' || [[영국]]의 록밴드 [[레드 제플린]]의 1집 [[Led Zeppelin(앨범)|Led Zeppelin]]에 수록된 곡. == 상세 == 1집에서 가장 긴 곡이며 레드 제플린의 첫 번째 대곡이라 할만한 곡이지만, 존재감이 적은 곡이다. 연주가 중심이 되며 기승전결로 뚜렷히 나눠져 진행되는 전형적인 [[프로그레시브 록]] 넘버인 동시에 [[블루스]]의 색체를 띠는 [[블루스 록]]이다. [[로버트 플랜트]]는 이 곡이 1951년에 나온 [[하울링 울프]]의 How Many More Years에서 영감을 받아 작곡된 곡이라고 밝혔다. 또한 로버트 플랜트는 이 곡에서 진성으로 3옥타브 솔(G5), 가성으로 무려 '''4옥타브 라#(A♯6)'''까지 올리는 괴랄한 보컬을 보여준다. 처음 도입부의 반복성 강한 기타 리프와 리듬은 [[핑크 플로이드]]의 [[Money(핑크 플로이드)|Money]]와 비슷하다. 또한 [[지미 페이지]]는 이 곡에서도 바이올린 활을 이용하여 사이키델릭한 소리를 내려는 시도를 했다. 곡 후반 클라이막스에 Albert King의 'The Hunter'를 사용하였다. 70~80년대 한국에선 검열로 인해 금지곡으로 지정되었고, 1982년 한국에 오아시스 레코드를 통해 처음으로 정식 라이센스 발매되었던 Led Zeppelin 앨범에도 수록되지 못하였다.(정확히는 심벌즈와 베이스 리프만 들어간 초반 3초 부분이 페이드 아웃되는 식으로 수록 되어있다.) 그러다가 11년 후인 1993년에 레드 제플린 전집이 재발매 되면서 이 곡도 Led Zeppelin 앨범에 다시 수록되게 되었다. == 가사 == ||<:> ---- '''{{{+2 {{{#ED6533 How Many More Times}}}}}}''' ---- How many more times? 몇 번이나 더? Treat me the way you wanna do 네가 원하는 방식으로 나를 대해 줘 How many more times? 몇 번이나 더? Treat me the way you wanna do 네가 원하는 방식으로 나를 대해 줘 When I give you all my love 네게 나의 모든 사랑을 줄 때 Please, please be true 제발, 제발 사실대로 해 I'll give you all I've got to give 내가 줄 수 있는 것들은 전부 줄게 Rings, pearls, and all 반지, 진주 등 모두 I'll give you all I've got to give 내가 줄 수 있는 것들은 전부 줄게 Rings, pearls, and all 반지, 진주 등 모두 I've got to get you together baby 나는 너와 함께 있어야 해 I'm sure, sure you're gonna crawl 너는 기어나갈 거야 Oh, wanna love some other man too 오, 너도 다른 남자를 사랑하고 싶구나 I was a young man, I couldn't resist 나는 젊었고 참을 수 없었어 Started thinkin' it all over, just what I had missed 내가 놓쳤던 모든 것들을 생각하기 시작했지 Got me a girl and I kissed her and then and then 여자를 데려왔고 키스를 했고 그랬지 Whoops, oh Lord, well I did it again 이런, 오 주여, 제가 또 해냈군요 Now I've got ten children of my own 이제 나는 열 명의 아이들이 있어 I got another child on the way that makes eleven 나는 11번 째 아이도 낳았지 But I'm in constant heaven 하지만 난 한결같은 천국에 있어 I know it's alright in my mind 내 마음 속에서는 괜찮다는 것을 알아 'Cause I got a little schoolgirl and she's all mine 왜냐하면 나에게는 어린 여학생이 있었고 그녀는 내 것이니까 I can't get through to her 'cause it doesn't permit 나는 그녀를 이해할 수 없어, 왜냐하면 그것은 허락하지 않으니까 But I'm gonna give her everything I've got to give 그러나 난 그녀에게 내가 가진 것들을 전부 줄거야 Oh Rosie, oh girl 오 Rosie Oh Rosie, oh girl 오 Rosie Steal away now, steal away 이제 살금살금 와, 살금살금 와 Steal away baby, steal away 자기야 살금살금 와, 살금살금 와 Little Robert Anthony wants to come and play 어린 로버트 앤서니는 와서 놀기를 원해 Why don't you come to me baby? 왜 나에게 오지 않니? Steal away, alright, alright 살금살금 와, 옳지, 옳지 Well they call me the hunter, that's my name 그들은 나를 사냥꾼이라고 부르고 그것이 나의 이름이지 They call me the hunter, that's how I got my fame 그들은 나를 사냥꾼이라고 불러서 나는 명성을 날리게 됐어 Ain't no need to hide, ain't no need to run 숨을 필요도 없고 도망갈 필요도 없어 'Cause I've got you in the sights of my gun 내 총이 있는 곳에 너를 뒀으니까 How many more times 몇 번이나 더 Barrel house all night long, alright 밤새 싸구려 술집에 있니, 어? How many more times 몇 번이나 더 Barrel house all night long 밤새 싸구려 술집에 있니? But, I've got to get to you, baby 그러나 난 너에게 가야 해 자기야 Bu' oh oooh, oh oooh, oh oooh, please come home 오오, 제발 집에 돌아와 줘 Why don't you listen to me babe 내 말 좀 들어줘 자기야 Why don't you please come home 집에 돌아와 Why don't you please come home 집에 돌아와 Why don't you please come home 집에 돌아와 ---- [[레드 제플린|[[파일:레드 제플린 (1집 전용).png|width=130]]]] ---- || == 여담 == [youtube(u9HPOF5l3ic)] * [[너바나(밴드)|너바나]]의 역사적인 첫 공연에서 이 곡을 커버했다. == 관련 문서 == * [[고음/노래 목록/해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