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Houses of the Holy]] [include(틀:레드 제플린)] ||
<#000><-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CBBAA, #DBC9B7 40%, #DBC9B7 60%, #CCBBAA)" '''[[레드 제플린|[[파일:레드 제플린.png|height=50]]]][br]레드 제플린의 역대 스튜디오 앨범'''}}} || ||<#dcd2d1> [[Led Zeppelin IV|{{{#000 {{{-2 1971년 11월 12일}}}}}}[br]{{{#000 '''4집'''}}} [[파일:Zoso.png|width=50]]]] || → ||<#dd6832> [[Houses of the Holy|{{{#fff {{{-2 1973년 3월 28일}}}[br]5집 '''Houses of the Holy'''}}}]] || → ||<#cbbb97> [[Physical Graffiti|{{{#bc212f {{{-2 1975년 2월 24일}}}[br]6집 '''Physical Graffiti'''}}}]] || ||<-5><#dd6832>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10px;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right,#fff,#efc356,#dd6832,#dd6832)" {{{#fff '''Houses of the Holy의 수상 이력'''}}}}}} || ||<-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연도=2012,순위=148,연도2=2020,순위2=278)] ---- [include(틀:로큰롤 명예의 전당 선정 200대 앨범, 순위=51)]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항목=올타임 명반, 순위=550)] ---- [include(틀:RIAA 다이아몬드, pt=11)] ---- [include(틀:피치포크 선정, 항목=1970년대 최고의 앨범, 순위=75)] ---- [include(틀:언컷 선정 1970년대 500대 명반, 순위=266)] ---- [include(틀:올타임 탑 1000 앨범, 순위=310, 연도=1998, 순위2=117, 연도2=2000)] ---- [include(틀:WXPN 선정 2021대 명반,순위=103, 연도=2005, 순위2=129, 연도2=2022)] ---- [include(틀:UK 차트 1위 앨범, 전번_앨범=20 Flash Back Greats of the Sixties, 전번_아티스트=Various Artists, 이번_앨범=Houses of the Holy, 이번_아티스트=레드 제플린, 1위_기간=2주 연속, 후번_앨범=Ooh La La, 후번_아티스트=페이시스)] ---- [include(틀:빌보드 200 1위 앨범, 전번_앨범= Aloha from Hawaii Via Satellite, 전번_아티스트=엘비스 프레슬리, 이번_앨범=Houses of the Holy, 이번_아티스트=레드 제플린, 이번_1위_기간=2주연속, 후번_앨범= 1967-1970, 후번_아티스트=비틀즈, )] ---- }}} || ||<-2><#dd6832>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10px;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right,#fff,#efc356,#dd6832,#dd6832)" {{{#fff {{{+1 '''Houses of the Holy'''}}}}}}}}}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0Mjuatd.jpg|width=100%]]}}} || || '''발매일''' ||[[1973년]] [[3월 28일]] || || '''녹음일''' ||[[1971년]] 11월 - [[1972년]] 8월 || || '''장르''' ||[[하드 록]], [[포크 록]], [[블루스 록]], [[프로그레시브 록]] || || '''재생 시간''' ||40:57 || || '''곡 수''' ||8곡 || || '''프로듀서''' ||[[지미 페이지]] || || '''싱글 발매곡''' ||[[Over the Hills and Far Away]][* B면은 Dancing Days] {{{-1 (1973.05.24, [[미국]])}}}[br][[D’yer Mak’er]][* B면은 The Crunge] {{{-1 (1973.09.17, [[미국]])}}} || || '''사용 악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지미 페이지]] : 일렉트릭 기타, 어쿠스틱 기타, 페달 스틸 기타 * [[로버트 플랜트]] : 리드 보컬 * [[존 폴 존스]] : 베이스, 피아노, 일렉트릭 피아노, 멜로트론, 오르간, 신디사이저, 백 보컬 * [[존 본햄]] : 퍼커션, 드럼, 백 보컬 }}} || || '''스튜디오''' ||[[롤링 스톤즈 이동식 스튜디오|롤링 스톤스 이동식]], 헤들리 그레인지, 스타그루브, 올림픽, 아일랜드 || || '''레이블''' ||[[애틀랜틱 레코드|[[파일:애틀랜틱 레코드.png|width=60]]]] || || '''앨범 번호''' ||[[파일:미국 국기.svg|width=28]] Atlantic SD 7255[br][[파일:영국 국기.svg|width=28]] Atlantic K 50014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트랙 리스트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3> '''Side A''' || || '''트랙''' ||<-2> '''곡명''' || || '''1''' ||[[The Song Remains the Same]] || [[https://youtu.be/dRnKvXqti6M|♫]] || || '''2''' ||[[The Rain Song]] || [[https://youtu.be/TRt4hQs3nH0|♫]] || || '''3''' ||Over the Hills and Far Away || [[https://youtu.be/60iwmyhV8pQ|♫]] || || '''4''' ||The Crunge || [[https://youtu.be/CWf5FYSK7Yc|♫]] || ||<-3> '''Side B''' || || '''트랙''' ||<-2> '''곡명''' || || '''1''' ||Dancing Days || [[https://youtu.be/qztKD75J2BM|♫]] || || '''2''' ||[[D’yer Mak’er]] || [[https://youtu.be/8q4lZ8wpGMM|♫]] || || '''3''' ||No Quarter || [[https://youtu.be/wdqDmJbm2eY|♫]] || || '''4''' ||[[The Ocean(노래)|The Ocean]] || [[https://youtu.be/H8bVaTW6UCU|♫]]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영국]]의 [[록밴드]] [[레드 제플린]]이 [[1973년]] [[3월 28일]]에 발매한 정규 5집이다. == 상세 == Houses of the Holy는 [[Led Zeppelin IV|전작]]의 하드 록을 그대로 계승함과 동시에 약간 [[앰비언트]]적이기도 한 [[프로그레시브 록]]의 지향성도 드러나 있다. 또한 이 앨범에서 밴드는 [[레게]]를 시도하는 등 이전에 시도하지 않았던 여러 장르들이 수록되어 있으며, [[힙노시스]]가 디자인 한 벌거벗은 금발 소녀와 소년이 산을 기어오르는 선정적인 앨범 커버로도 유명하다. [[로버트 플랜트]]의 하이 톤 보컬의 최전성기를 보여주는 장엄한 헤비 메탈 곡인 [[The Song Remains the Same]]으로 시작해, [[킹 크림슨]]을 연상시키는 서정적인 [[멜로트론]] 음이 인상적인 아름다운 발라드 넘버인 [[The Rain Song]], 괴랄한 드럼 비트가 압도적인[* 이게 어느 정도냐면 베이스와 기타, 드럼이 제각각 못갖춘마디로 시작해서 말 그대로 제멋대로이다... 거기다가 개판 5분 전인 박자의 화룡점정인 엇박 보컬까지...] The Crunge, 레게의 영향이 짙게 드러나는 [[D’yer Mak’er]], Dancing Days 등의 명곡들이 수록되어 있다. 참고로 Houses of the Holy라는 곡은 다음 앨범인 [[Physical Graffiti]]에 수록되어 있다.[* 아마도 이 앨범 수록곡인 Dancing Days와의 유사성 때문에 그럴 것이다.] == 녹음 배경 == [[하드 록]]과 [[메탈(음악)|헤비 메탈]]에 초점을 두고 작업한 4집이 어마어마하게 성공을 거두었기에, 밴드는 이번 앨범에서도 전작의 헤비한 하드 록적인 부분을 그대로 계승하기로 하는 등 전반적인 분위기를 4집과 동일하게 가져가기로 결정한다. 한편 밴드는 자신들의 스타일을 고수할뿐만 아니라 동료 뮤지션들의 조언들을 받아들이기로 한다. 밴드 멤버들의 친구인 [[조지 해리슨]]은 지미 페이지에게 레드 제플린의 곡들은 좋지만, 발라드 넘버가 거의 없다는 아쉬움을 말했기에, 지미 페이지는 조지 해리슨이 작곡한 [[Something]]을 오마주한 The Rain Song을 작곡하였다. 한편 밴드 멤버들은 4집 발매 이전 [[인도]]의 [[뭄바이]]를 여행하면서 힌두교 사상과 인도 문화에 큰 관심을 가지게 된다. 이로 인해 1972년 휴식 기간에 멤버들은 전문 [[시타르]] 연주자들과 교류하고 인도 음악에 대해서 공부하는 등 인도 음악과 서양 록 음악의 접목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와 동시에 1970년대 초반에는 [[핑크 플로이드]], [[예스(밴드)|예스]] 등의 밴드들로 인해 실험적인 [[프로그레시브 록]] 장르가 유행했었기에, 밴드는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프로그레시브 록 또한 받아들이기로 한다. 또한 곡 작업 당시 로버트 플랜트와 지미 페이지는 [[알레이스터 크로울리]]에 빠져서 [[흑마법]] 사상에 심취했었는데, 음모론자들은 이 앨범에도 흑마법 사상과 악마 숭배 사상이 깃들어 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 앨범 커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Mjuatd.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ouses of the Holy (딜럭스).jpg|width=100%]]}}} || || '''본판 커버.''' || '''2014년 딜럭스판 커버. 커버 색이 파란색으로 조정되었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ouses of the Holy (뒷면).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ouses of the Holy (리버스판).jpg|width=100%]]}}} || || '''본판 뒷면.''' || '''리버스판 커버. 덜 선정적인 커버로 바뀌었다.''' || 앨범 아트는 [[케임브리지(영국)|케임브리지]] 출신의 디자인 회사 [[힙노시스]]에서 제작했다.[* 거의 같은 시점에 [[핑크 플로이드]]의 [[The Dark Side of the Moon]] 앨범 커버도 제작했다.] 원래 힙노시스의 디자이너 중 한 명인 스톰 소거슨이 제안했던 앨범 아트는 '전기 테니스 코트 위에 테니스 라켓이 올려져 있는 그림'이었다. 그러나 이것이 앨범 음향에 대한 말장난이라는 것을 안 멤버들이 빡쳐서(…) 소거슨을 해고했고[* 라켓(Racket)은 테니스 라켓을 가리킬 때의 그 라켓뿐만 아니라 시끄러운 소리, 즉 소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그러니깐 소거슨이 제시한 앨범 아트엔 '이 앨범 무진장 시끄러움'이라는 숨겨진 메시지가 있었던 것. 다만 이후 소거슨과 화해했는지 [[Presence]] 앨범 커버 제작에도 일부 도움을 줬고, 마지막 앨범인 [[In Through the Out Door]]에서 다시 참여했다.], 또 다른 힙노시스의 디자이너인 오브리 파월이 제 2안으로 제시한 것을 채택한 것이 본 커버라고 한다. [[아서 클라크]]의 소설인 [[유년기의 끝]]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하며, 밴드의 7집인 [[Presence]]의 표지에도 클라크의 소설이자 같은 내용의 영화이기도 한 [[2001: 스페이스 오딧세이]]에 나온 [[모놀리스]]가 등장한다. 촬영은 [[북아일랜드]]에 있는 [[주상절리]]인 자이언트코즈웨이에서 촬영했다.[* 촬영지 후보 중에서 원래는 [[페루]]도 있었지만 주어진 예산이 부족했기에 그냥 북아일랜드에서 찍었다고 한다.] 힙노시스 팀은 촬영 모델로 다섯 살짜리 남자 아이 스테펀 게이츠,[* 훗날 영국에서 요리 관련 기고가와 텔레비전 진행자로 성공했다. 유튜버로도 활동중. 촬영 당시엔 벌거벗고 다니는 걸 좋아해서 신났다고 회고했다. 정작 음반은 2010년이 될 때까지 들어본 적이 없었다고. [[https://dangerousminds.net/comments/houses_of_the_holy_the_backstory_to_the_famous_led_zeppelin_album_cover|본인도 부담감이 있었는지, 듣고 나서 이제서야 마음이 놓였다고 말했다.]]] 일곱 살짜리 여자아이 서맨사 게이츠[* 스테펀이랑 남매다. 당시 둘이서 아동 모델로 활동하고 있었다. 서맨사는 촬영에 대해서 기억은 생생한데 엄청 추웠다고 회고했다. 2010년 기준으로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살고 있다. 서맨사는 후속작 [[Presence]] 뒷 커버에도 출연한다.]를 섭외하였고, 이들이 발가벗고 주상절리를 올라가는 모습을 일주일 동안 다중 노출로 찍었다고 한다. 촬영 당시 북아일랜드는 [[피의 일요일 사건(북아일랜드)|피의 일요일 사건]]으로 인해 가톨릭 교도와 성공회 교도가 대립하는 살벌한 분위기였으며[* 당시 거의 대부분의 음악가들은 정치적 불안정을 이유로 북아일랜드 투어를 취소했었다. [[로리 갤러거]]가 아일랜드의 국민 기타리스트로 대접받게 된 것도 1973년 벨파스트 투어를 유일하게 취소하지 않은 아티스트였기 때문이다.], 날씨가 나빠서 촬영 과정과 1차 결과물은 절망스러웠다고 한다. 그러나 틴팅 과정에서 일어난 실수가 마음에 들어서 결국 낙점했다고 한다. 결과물은 만족스럽게 나왔지만 가장 큰 문제는 커버가 너무 선정적이라는 점이었다. [* 서맨사 역시 성인이 된 이후 인터뷰에서, 지금이라면 찍을 수 없는 커버라고 밝히기도 했다.] 작업본을 그대로 썼다가는 애틀랜틱 레코드에게 퇴짜맞을 것이 분명했기에, 밴드 매니저인 피터 그랜트는 앨범 커버에 종이 한 장을 덧대어 포장할 것을 요구했다고 한다. == 흥행 == 전작이 대흥행하여 세계에서 가장 거대한 밴드가 된 레드 제플린인 만큼 차기작 또한 대흥행했다. 미국에서만 1,100만 장이 팔렸으며 영국에서는 30만 장, 독일에서 25만 장, 프랑스에서 20만 장, 호주에서 14만 장이라는 인증 판매고를 기록했다. 차트에서도 대성공을 거두었다. 발매되자마자 [[빌보드 200]]에서 1위를 차지하였으며, UK 차트에서도 1위를 차지하였다. 이로 인해 동료 밴드인 [[핑크 플로이드]]의 최대 역작인 [[The Dark Side of the Moon]]이 UK 차트 1위에 실패하는 일이 생긴다. 이외에도 캐나다, 호주에서 차트 1위에 올랐으며 핀란드에서는 2위, 그리고 일본, 프랑스, 오스트리아에서는 3위를 기록했다. 다만 전작이 너무 상업적으로 성공했기에 전작보다 상업적 성공 수준이 낮은 것은 사실이다. 또한 다음 앨범인 6집 또한 록 역사에서 가장 위대한 앨범 중 하나라고 평가받는 동시에 상업적으로도 어마어마하게 성공했기에 두 앨범 사이에 끼어 있는 비운의 앨범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반면 상업적 성공 수준은 6집보다 본작이 더 높다.] == 음악적 성향과 평가 == [include(틀:롤링 스톤 앨범 가이드, 점수=★★★★★)] [include(틀:올뮤직, 링크=https://www.allmusic.com/album/houses-of-the-holy-mw0000190648, 점수=★★★★★)] [include(틀:RYM, 링크=https://rateyourmusic.com/release/album/led-zeppelin/houses-of-the-holy/, 점수=3.91)]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링크=http://www.acclaimedmusic.net/album/A300.htm, 순위=1973년 19위 / 1970년대 152위 / 올타임 550위)] 상업적뿐만 아니라 음악적 평가 또한 매우 높다. 곡 구성이 약간 산만하긴 하지만 음악들의 깊이 또한 매우 깊으며, 상술했듯이 이런저런 음악적 실험들을 많이 했기에 음악적으로도 높은 평가를 받는 것이다. 다만 발매 당시에 [[롤링 스톤]]은 레드 제플린과 적대 관계였던만큼 이 앨범에 대해서도 “올해 나온 앨범 중에서 가장 산만하고 지루한 앨범”이라는 악평을 했다. 그러나 롤링 스톤을 제외하고서는 평론적으로도 좋은 평을 얻었으며, 1974년에는 이 앨범으로 그래미 어워드에서 최우수 녹음 패키지 상을 받기도 하였다. 또한 21세기 들어서 평가가 올라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에서도 200위권 이내에 드는 등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다만 상술했듯이 [[Led Zeppelin IV|4집]]과 [[Physical Graffiti|6집]]이 록 음악 역사상 가장 위대한 앨범 중 하나라고 평가받다보니, [[Magical Mystery Tour|5집은 분명히 올타임 명반임에도 불구하고 조금 초라해보이는(…) 면이 없지않아 있다.]] 그렇기에 팬들 사이에서는 정말 좋은 앨범임에도 불구하고 4집과 6집에 묻힌 비운의 앨범이라는 말이 나오기도 한다. 이 앨범의 가장 큰 특징은 레드 제플린이 이전보다 훨씬 더 다양한 시도를 많이 했다는 점이다. 당장 이 앨범에서 다룬 장르만 해도 10가지 가까이 된다. 레드 제플린은 이 앨범에서 D’yer Mak’er에서는 [[레게]]를, The Crunge에서는 [[펑크(음악)|펑크(Funk)]]를, [[The Rain Song]]에서는 [[소프트 록]]과 [[프로그레시브 록]]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점 때문에 이 앨범은 레드 제플린이 단순한 헤비 메탈 밴드가 아니라는 주장에 대한 주요 근거로 쓰이며 [[Led Zeppelin III|3집]], [[Physical Graffiti|6집]], [[In Through the Out Door|8집]]과 함께 레드 제플린의 음악적 다양성을 보여주는 예시로 자주 거론된다. 한편으로는 이렇게 다양한 시도도 많이 하는 동시에 기존부터 밀고 왔던 [[블루스 록]]과 [[하드 록]], 그리고 이에 기반한 [[메탈(음악)|헤비 메탈]] 또한 더욱 발전한다. [[The Song Remains the Same]] 같은 곡들을 들어보면 알 수 있으며, 이러한 음악성의 발달은 본작의 다음작인 6집에서 절정을 맞는다. == 트랙 리스트 == [include(틀:Houses of the Holy)] === Side A === ==== [[The Song Remains the Same]] ==== ||[anchor(Shadow)]'''The Song Remains the Same'''[br]{{{#fff ^^05m 24s^^ }}} ---- {{{#fff ''California sunlight'' ''Sweet Calcutta rain'' ''Honolulu starbright'' ''The song remains the sam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gpm-7WX_S68, width=100%, height=200)]}}} }}}}}}}}}|| >{{{#aaaaaa Composed/Wirtten by {{{#000000 '''[[플랜트-페이지]]'''}}}}}} ==== [[The Rain Song]] ==== ||[anchor(Shadow)]'''The Song Remains the Same'''[br]{{{#fff ^^07m 32s^^ }}} ---- {{{#fff ''This is the mystery of the quotient, quotient'' ''Upon us all, upon us a little rain must fall'' ''Just a little rain''}}}||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w-I8BZK1bJs, width=100%, height=200)]}}} }}}}}}}}}|| >{{{#aaaaaa Composed/Wirtten by {{{#000000 '''[[플랜트-페이지]]'''}}}}}} ==== [[Over the Hills and Far Away]] ==== ||[anchor(Shadow)]'''Over the Hills and Far Away'''[br]{{{#fff ^^04m 42s^^ }}} ---- {{{#fff ''Many have I loved, and many times been bitten'' ''Many times I've gazed along the open road''}}}||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60iwmyhV8pQ, width=100%, height=200)]}}} }}}}}}}}}|| >{{{#aaaaaa Composed/Wirtten by {{{#000000 '''[[플랜트-페이지]]'''}}}}}} 어쿠스틱한 인트로로 시작하여 중반부터 일렉트릭하게 몰아치는, 레드 제플린이 자주 써먹는 구조의 포크 송이다. 이런 형식의 곡으로는 [[Ramble On]], [[Stairway to Heaven]] 등이 있다. ==== The Crunge ==== ||[anchor(Shadow)]'''The Crunge'''[br]{{{#fff ^^03m 10s^^ }}} ---- {{{#fff ''I want to tell you 'bout my good thing'' ''I ain't disclosing no names but'' ''He sure is a good friend and'' ''I ain't gonna tell you where he comes from, no''}}}||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3nYWmJfHwk4, width=100%, height=200)]}}} }}}}}}}}}|| >{{{#aaaaaa Composed/Wirtten by {{{#000000 '''[[플랜트-페이지]], [[존 본햄]], [[존 폴 존스]]'''}}}}}} 제임스 브라운의 영향을 짙게 받은 듯한 [[R&B]] 느낌의 리듬을 가진 짧은 [[펑크(음악)|펑크(Funk)]] 넘버이다. 레드 제플린 곡들 중 최초로 [[스트라토캐스터]][* 1973년산 하늘색 스트랫. 이후 8집의 In The Evening 등에서 쓰였으며, 후기 라이브에서 종종 사용하는 것이 보인다.]로 연주되었으며, 전체적으로 엇갈리는 듯한 괴랄한 느낌의 리듬이 인상적이다. 이 곡은 종종 라이브에서 다른 곡의 뒷부분에 이어서 연주되는 경향이 있는데, 앨범으로 발매된 1972년 LA 라이브에서는 Dazed and confused 뒤에 짧게 연주되었고 1975년부터는 Whole lotta love 뒤에 이어서 연주되었다.[* 얼스 코트 라이브가 대표적] === Side B === ==== Dancing Days ==== ||[anchor(Shadow)]'''Dancing Days'''[br]{{{#fff ^^03m 40s^^ }}} ---- {{{#fff ''Crazy ways are evident,'' ''By the way you wearin' your clothes.'' ''Sippin' booze is precedent,'' ''As the evening starts to glow.''}}}||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6kKsjNCt9g0, width=100%, height=200)]}}} }}}}}}}}}|| >{{{#aaaaaa Composed/Wirtten by {{{#000000 '''[[플랜트-페이지]]'''}}}}}} 가사의 히피식 말장난이 인상적인 곡이다. ==== [[D’yer Mak’er]] ==== ||[anchor(Shadow)]'''D’yer Mak’er'''[br]{{{#fff ^^04m 19s^^ }}} ---- {{{#fff ''When I read the letter you wrote me, it made me mad, mad, mad'' ''When I read the words that it told me, it made me sad, sad, sad'' ''But I still love you so, I can't let you go'' ''I love you, ooh, baby, I love you''}}}||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4IqhyIie5Rc, width=100%, height=200)]}}} }}}}}}}}}|| >{{{#aaaaaa Composed/Wirtten by {{{#000000 '''[[플랜트-페이지]], [[존 본햄]], [[존 폴 존스]]'''}}}}}} ==== No Quarter ==== ||[anchor(Shadow)]'''No Quarter'''[br]{{{#fff ^^07m 03s^^ }}} ---- {{{#fff ''Walking side-by-side with death'' ''The devil mocks their every step, ooh'' ''The snow drives back the foot that's slow'' ''The dogs of doom are howling mor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9ahoyBeaKgY, width=100%, height=200)]}}} }}}}}}}}}|| >{{{#aaaaaa Composed/Wirtten by {{{#000000 '''[[플랜트-페이지]], [[존 본햄]], [[존 폴 존스]]'''}}}}}} 7분에 달하는 대곡으로, 존 폴 존스의 음울하면서도 아름다운 건반이 주도하는 곡이다. 여러모로 해석에 대해 논란이 있는 곡인데, [[반지의 제왕]]에 관한 곡으로 해석된다고 하는 반면 상술했듯이 [[알레이스터 크로울리]]와 접목하여 악마에 관한 곡이라는 음모론 또한 존재한다. 여담으로 이 곡이 존 본햄의 죽음을 예견했다는 괴담이 있다. 이 곡의 제목에서 No Quarter는 4분의 1이 없다는 뜻, 즉 멤버 4명 중 [[존 본햄|한 명]]의 죽음...[* 물론 어디까지나 괴담이다.] ==== [[The Ocean(노래)|The Ocean]] ==== ||[anchor(Shadow)]'''The Ocean'''[br]{{{#fff ^^04m 28s^^ }}} ---- {{{#fff ''Singing to an ocean, I can hear the ocean's roar'' ''Play for free, play for me and play a whole lot more, more!'' ''Singing about good things and the sun that lights the day'' ''I used to sing on the mountains, has the ocean lost its way?''}}}||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9iKCszVMls, width=100%, height=200)]}}} }}}}}}}}}|| >{{{#aaaaaa Composed/Wirtten by {{{#000000 '''[[플랜트-페이지]], [[존 본햄]], [[존 폴 존스]]'''}}}}}} == 차트 성적 == ||<-3> '''Houses of the Holy의 주간 차트 성적''' || ||<-2> '''차트 (1973 – 1974)''' || '''피크 성적''' || || 영국 ||Official Charts || '''1''' || || 미국 ||Billboard 200 || '''1''' || || 캐나다 ||RPM || '''1''' || || 호주 ||ARIA || '''1''' || || 서독 ||Offizielle Top 100 || 8 || || 프랑스 ||SNEP || 3 || || 덴마크 ||Hitlisten || 7 || || 노르웨이 ||VG-lista || 4 || || 스웨덴 ||Sverigetopplistan || 4 || || 오스트리아 ||Ö3 Austria Top 40 || 3 || == 인증 판매고 == ||<-4> '''Houses of the Holy의 인증 판매량''' || ||<-2> '''국가''' || '''인증''' || '''판매고''' || || 영국 ||BPI || 플래티넘 ||300,000장^ || || 미국 ||RIAA || 11×플래티넘 ||11,400,000장^ || || 호주 ||AIRA || 2×플래티넘 ||140,000장^ || || 서독(독일) ||BVMI || 골드 ||250,000장^ || || 프랑스 ||SNEP || 2×골드 ||200,000장* || ||<-4> '''총합''' || || 세계 ||IFPI || - ||12,000,000장^ || ||<-4>{{{-1 * 실물 판매량[br]^ 앨범 주문량[br]‡ 스트리밍 판매량 + 실물 판매량}}} || == 참여자 == * [[지미 페이지]] – 기타, 페달 스틸 기타 * [[로버트 플랜트]] – 보컬 * [[존 폴 존스]] – 베이스, 피아노, 일렉트릭 피아노, Moog 신디사이저, 멜로트론, 오르간, 백킹 보컬 * [[존 본햄]] – 퍼커션, 드럼, 백킹 보컬 * [[지미 페이지]] – 총괄 프로듀서 * 피터 그랜트 – 책임 프로듀서 * 에디 크래머 - 믹싱 엔지니어 * 조지 치키안츠 – 믹싱 엔지니어 * 키스 하드우드 - 엔지니어 * 조지 마리노 - 마스터링 * [[힙노시스]] – 앨범 커버 제작 == 여담 == * [[액슬 로즈]]가 자신이 맨 처음 접한 하드 록 앨범이라고 한다. 이 앨범의 D’yer Mak’er를 듣고 하드 록에 처음 입문했다고. * 원래 레드 제플린은 영국보다 미국에서 먼저 음반을 발매했으나, 이 앨범부터는 미국과 영국 모두 같은 날에 발매하기 시작했다. * 본래 앨범의 오프닝 트랙에 'The Seasons' 라는 서곡을 수록할 생각이였다고 한다. 이 서곡은 후에 재구성되어 2번 트랙 [[The Rain Song]]으로 수록된다. [[https://youtu.be/_n1Bxp-YfTs|지미페이지의 유튜브에서 들어볼 수 있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