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라디오헤드)] ---- [include(틀:The Bends)]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순위=3181)] ---- ||<#000><-2> '''{{{+1 High and Dry}}}'''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7fv84nPfTH0, width=100%, height=200)]}}} || || '''싱글 발매일''' ||[[1995년]] [[2월 27일]] || || '''싱글 A면''' ||[[Planet Telex]] || || '''싱글 B면''' ||[[Maquiladora]][br][[Killer Cars]] || || '''앨범 발매일''' ||[[1995년]] [[3월 13일]] || || '''녹음일''' ||[[1993년]] || || '''장르''' ||[[얼터너티브 록]], [[포스트 브릿팝]] || || '''러닝 타임''' ||4:17 || || '''작사/작곡''' ||[[라디오헤드]] || || '''프로듀서''' ||[[라디오헤드]], 존 레키, 짐 워렌 || || '''수록 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9em" [[The Bends|{{{#CF2E25 '''The Bends'''}}}]]}}} || || '''레이블''' ||[[파일:7FF17EF7-7612-4390-BF5C-B00EF61850AD.jpg|width=28]] 팔로폰 레코드 ,,([[파일:영국 국기.svg|width=20]] [[영국]]),,[br][[파일:캐피톨 레코즈 로고.svg|width=35]] 캐피톨 레코드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미국]]),,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싱글 커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ighplanet.jpg|width=100%]]}}}|| }}}}}}}}}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7qFfFVSerQo, height=250)]}}} || || '''공식 뮤직비디오''' || 1995년 발표된 [[라디오헤드]]의 2집 [[The Bends]]의 세 번째 트랙이자 두 번째 싱글[* [[Planet Telex]]와 함께 더블 A 사이드로 발매되었다.]. == 상세 == [[Creep]]과 함께 라디오헤드 노래 중 가장 대중적인 노래로 라디오헤드에 입문하기 좋은 노래이다. 톰이 대학생 시절에 작곡한 곡으로, Pablo Honey를 제작할 때 녹음했으나 [[로드 스튜어트]] 노래처럼 들려서 앨범에서 제외시켰다. 재발견되고 리마스터링하여 꽤나 앨범과 조화를 이뤄냈다고 한다. 다만 재녹음한 것이 아닌 리마스터링에 그쳐서 데모 분위기가 약간 난다. 애증의 관계에 가까운 [[Creep]]의 경우와는 달리, 라디오헤드는 이 노래를''' 정말로''' 싫어한다. 실제로 십수년 동안 라이브에서 거의 부르지 않았고, 이후 톰이 인터뷰에서 그냥 나쁜 곡이 아니라 '''아주''' 나쁜 곡이라고 못 박았을 정도이다.[[http://pitchfork.com/features/interviews/6402-thom-yorke/|2007년 피치포크]] 사실 원래는 싱글컷은 커녕 앨범에 수록되지도 않을 곡이었지만 제 2의 Creep을 원했던 프로듀서가 히트 싱글이 될 만한 노래라고 판단하고 강제로 앨범에 넣었으며 싱글컷까지 한 노래기 때문. 결국 빌보드 Hot 100 차트 78위를 기록했고[* 라디오헤드 곡 중 Hot 100에 차트인한 곡은 Creep, High and Dry, [[Nude]] 뿐이다. 그 세 곡 중에선 High and Dry가 가장 순위가 낮다.] 그런 만큼 Creep과 함께 가장 많이 커버되는 라디오헤드 곡이다. 그치만 유튜브에 이곡의 라이브 영상은 90년대 이후로는 보이지 않는다. == 가사 == ||<-2><#000000> ---- {{{+2 '''{{{#CF2E25 High and Dry}}}'''}}} ---- Two jumps in a week 일주일에 두 번이나 점프하다니 I bet you think that's pretty clever, don't you, boy? 그게 꽤나 멋진 일이라 생각할 거야, 안 그래? Flying on your motorcycle 오토바이를 타고 날아올라 Watching all the ground beneath you drop 네 발아래 떨어져가는 땅을 볼 테지 You'd kill yourself for recognition 넌 관심받기 위해서라면 죽기라도 할 거야 Kill yourself to never, ever stop 절대로, 절대로 멈추지 않기 위해서 You broke another mirror 넌 거울을 또 하나 깼고 You're turning into something you are not 점점 네가 아닌 무언가로 변해가고 있어 Don't leave me high 날 버리고 가지 마 Don't leave me dry 날 메말라가게 두지 마 Don't leave me high 날 버리고 가지 마 Don't leave me dry 날 메말라가게 두지 마 Drying up in conversation 점점 대화에 지쳐가며 You will be the one who cannot talk 넌 아무 말도 내뱉지 못하겠지 All your insides fall to pieces 네 내면은 산산조각나고 You just sit there wishing you could still make love 그저 앉아서 네가 다시 사랑을 할 수 있도록 바라고만 있을 뿐이지 They're the ones who'll hate you 그들은 네게 손가락질할 거야 When you think you've got the world all sussed out 네가 세상을 다 가졌다고 생각할 때쯤이면 They're the once who'll spit at you 그들이 네게 침을 뱉어댈 때 You'll be the one screaming out 넌 홀로 비명만 지르고 있겠지 Don't leave me high 날 버리고 가지 마 Don't leave me dry 날 메말라가게 두지 마 Don't leave me high 날 버리고 가지 마 Don't leave me dry 날 메말라가게 두지 마 Oh, it's the best thing that you ever had 아, 이건 네가 여태껏 가졌던 가장 좋은 거야 The best thing you ever, ever had 네가 여태껏 가졌던 가장, 가장 좋은 거야 It's the best thing that you ever had 이건 네가 여태껏 가졌던 가장 좋은 거야 The best thing you've had has gone away 네가 여태껏 가졌던 가장 좋은 게 사라져 버렸네 So don't leave me high 그러니, 날 버리고 가지 마 Don't leave me dry 날 메말라가게 두지 마 Don't leave me high 날 버리고 가지 마 Don't leave me dry 날 메말라가게 두지 마 Don't leave me high 날 버리고 가지 마 Don't leave me high 날 버리고 가지 마 Don't leave me dry 날 메말라가게 두지 마 ---- [[라디오헤드|[[파일:Radiohead Bends.png|height=30]]]] || == 여담 == * 제목은 "홀로 남겨지다." "고립되다."라는 의미. High and Dry라는 말은 '선박이 썰물 때 물 밖에 나와 고립된 상태'를 지칭하는 말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 뮤직비디오는 두 버전이 있는데 흔히 알려진 건 미국용 버전으로. 죄를 지은 커플이 (아마 공범인) 주방장에게 (폭탄?) 키를 전하고, 폭탄을 가져온 한 남자는 살해당하며, 마지막에 주방장에게 받은 포장된 음식속에 있는 시한폭탄에 커플이 끔살당하는 내용이다. 상당히 강렬한 내용으로 한번쯤 보자. --그리고 보고 나면 도대체 정확히 무슨 내용인지 여기 좀 적어달라-- * 웹툰 [[나만 보여!]]의 [[임혜인|주인공]]이 이 노래를 좋아한다.[* 다만 웹툰에서는 오디오헤드의 Low and Dry로 나왔다.] * 1989년 엑세터 대학시절공연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t=14&v=UgEJiIAeOwk |▶]] * [[무한도전 조정 특집]] 에서 삽입곡으로 사용되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btTC72OqmWs&list=PLTYOawx7nBgDxqp_Z9GjaowJfykVsUdRX&index=13|▶]]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The Bends, version=237)] [[분류:The Bends]][[분류:라디오헤드 노래]][[분류:얼터너티브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