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2>
[[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dCfQbqOGL4)]}}} || ||<-2> {{{-1 '''Full Ver.'''}}} || ||<-2>{{{#!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6uYq0apQ_DE)]}}} || ||<-2> {{{-1 '''BGA'''}}} || || {{{-1 '''수록 정보'''}}} ||{{{-1 [[DJMAX Portable Clazziquai Edition]]}}} {{{-3 (2008)}}} || || {{{-1 '''장르'''}}} ||{{{-1 [[보사노바|Bossanova]]}}} || || {{{-1 '''BPM'''}}} ||{{{-1 115}}} || || {{{-1 '''작사/작곡'''}}} ||{{{-1 [[Ruby Tuesday(작곡가)|Ruby Tuesday]]}}} || || {{{-1 '''보컬'''}}} ||{{{-1 LEAH}}} || || {{{-1 '''BGA'''}}} ||{{{-1 [[채지윤|KKUEM]](원화) / Hwain, Jin(모션)}}} || ||<-2> {{{#!folding [ 가사 보기 ] {{{-2 풀버전에만 등장하는 가사는 ''이탤릭체'' 처리.}}} I wanna spend my love on you 그대에게 제 모든 사랑을 드리고 싶어요 Do anything you want me to 당신이 원하는 것이면 뭐든지 해 드릴게요 And I will do it like no other girl 다른 여자들과는 다르게요 I'll give you everything you need 그대에게 필요한 모든 것을 드리겠어요 Fulfill your every fantasy 그대의 모든 환상을 이루어주기 위해 I'll be your lover and be your friend 난 그대의 연인이자 친구가 되려고 해요 I'm crazy inside and these feelings can't hide in my heart anymore 난 푹 빠져버리고, 내 마음을 더이상 숨길 수 없겠죠 And nothing would matter as long as I'm living with you 그대와 함께 살아간다면, 더이상 그 무엇도 상관없어요 *Here in the moment 여기, 이 순간 ''I will do for you what no other could'' ''다른 누구도 할 수 없는 것을 해 드릴게요'' ''Be your everything'' ''당신의 전부가 되어'' ''I'll give you more than you could ever had no anything'' ''당신이 가져본 적 없었던 그 어떤 것보다도 큰 것을 드릴게요'' ''I'll ask that you give your heart to me'' ''그럼 그대도 그대 마음을 내게 주지 않겠어요'' I will make you see what you mean to me 그대가 저에게 어떤 의미인지 보여 줄래요 Hold you in my arms 나의 두 손으로 그대를 안고요 I'll bring you happiness that lasts forever with you 그대에게 영원히 남을 행복을 드리겠어요 I'll ask that you give your heart to me 그럼 그대도 그대 마음을 내게 주지 않겠어요* (간주) ''*반복''}}} || == 개요 == > Ruby Tuesday가 오랜만에 선보이는 보사노바 곡. 그의 여성 보컬 곡에 주로 기용하는 LEAH와의 환상적인 호흡으로 호소력 높은 곡이 완성됐다. 과거 Ruby Tuesday가 작곡한 [[Confete]]라는 곡의 리듬을 기억하는 사람에게는 추억의 선물이 될 것이다. >- 공식 설명 DJMAX [[메트로 프로젝트]] 수록곡으로, [[DJMAX Portable Clazziquai Edition]]와 [[DJMAX TECHNIKA]]에 수록되었다. 약칭은 '''히인모'''. [[Ruby Tuesday(작곡가)|Ruby Tuesday]]가 작곡한 [[EZ2DJ]] 수록곡인 [[Confete]]와 [[Sentimental No! No!]]의 후속곡으로 준비한 [[삼바]] 곡. 이미 [[DJMAX Portable Clazziquai Edition]]에서 상당한 호평을 받았었던 곡으로 Confete와는 사뭇 다른 분위기의 신나면서도 따뜻한 느낌의 곡이다. 가사는 대상을 향한 열렬한 사랑을 표현. [[BGA]]는 동일 프로젝트에서 [[The Clear Blue Sky]]의 비주얼을 담당했던 바 있는 [[꾸엠]]의 작품. 눈동자에 별 모양을 넣은 그림체가 인상적이다. 보통 3D 비주얼 퀄리티의 최고봉을 [[Landscape]]로 친다면, 이 곡의 비주얼은 2D 비주얼 퀄리티의 결정판급. 아주 미려한 일러스트들과 생동감 넘치는 애니메이션, 화려하고 다채로운 모션 효과들이 큰 볼거리를 제공한다. 곡과 비주얼 상당한 호평을 받은 셈. [[I want You(DJMAX)|I want You]]와 마찬가지로 [[DJMAX TECHNIKA Q]]의 아이콘으로 들어간 적이 있다. [[스이]]에서 2017년 11월 변경된게 이 아이콘. == 수록 정보 == === [[DJMAX Portable Clazziquai Edition]] === [youtube(n0zyXiCsluo)] 6B HD === [[DJMAX TECHNIKA]] === |||||||| [[DJMAX TECHNIKA]] || || 패턴 || 난이도 || 스테이지 || 비고 || || Lite || 3 || || || || Normal || 5 || 1 ||미션 모드의 이펙터 활용 2에 수록, 1스테이지 오픈곡중 가장 높은 난이도. || || Technical || 5 || ||[[Cotton Candy(DJMAX)|Cotton Candy]] 세트 수록 || 원래 처음 가동 당시에는 [[DJMAX TECHNIKA]]에 없었지만, 2009년 1월 13일 플래티넘 크루 서비스 정식 서비스와 함께 업데이트 된 곡이다. 테크니카에서의 난이도는 LP 3, PP 5, TP 5. TP는 원래 없었으나 8월 25일 에볼루션 EP 업데이트와 함께 업데이트되었다. PP와 TP의 난이도 표기가 같으나, [[Cotton Candy(DJMAX)|Cotton Candy]]세트의 괴악한 난이도 표기 탓이고, TP가 PP보다 확실하게 어렵다. PP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엇박이 좀 많은 편이고 후반에는 엇박 쌍노트가 나오지만 그 외에는 딱히 곤란한 패턴은 그다지 보이지 않으며, 그 어려운 부분도 사실 초보자도 조금 헤매는 수준으로 끝나는 편이라 전체적으로 어렵지 않은 곡이다. 오랫동안 파퓰러 패턴 하나 뿐이었고, 그 외로는 플래티넘크루 미션 모드의 '이펙터 활용 2'에 한번 등장하는 정도였지만, 파퓰러 1스테이지에서 오픈곡중 가장 높은 레벨로 있기 때문에 곡의 선곡율은 대단히 높은 인기곡중 하나. --역시 등장위치부터 잘 잡고 볼 일이다.-- [[Sentimental No! No!]]와 비슷하게, 패턴이 단 하나뿐이지만 전자가 처참하게 묻힌 곡임에도 불구하고 이 곡은 당당히 인기곡의 반열에 올라 있고, 많은 사람들이 추가 TP와 SP패턴을 원했다. 그래서인지 09년 8월 25일 Evolution EP 업데이트때 추가된 [[Cotton Candy(DJMAX)|Cotton Candy]] 코스에 TP패턴이 드디어 추가되었다! 난이도는 PP와 같은 5이지만.. PP보단 확실하게 어려워졌다. 여러가지 잔분홍 노트가 추가되었고, 몇몇 [[키음]]이 바뀌면서[* 후반 부분은 피아노음의 키음을 사용하는 듯] PP에 비해 상당히 박자 맞추기가 어려워졌다. TP는 업데이트 당일 맨 마지막 줄의 분홍노트가 쳐지지 않는 버그가 있었으나, 그 문제는 당일 패치로 해결되었다. === [[DJMAX TECHNIKA 2]] === |||||||||||| [[DJMAX TECHNIKA 2]] || || 패턴 || 랭크 || 가격 || 난이도 || 설명 || 비고 || ||<#FFB0B0> Star || || || 3 || || || || Normal || || || 5 || || || || {{{#white Hard}}} || || || 6 || ||[[Cotton Candy(DJMAX)|Cotton Candy]] 세트 수록 || [[DJMAX TECHNIKA 2]]에서도 수록되었는데 난이도는 NM 5, HD 6이다. 그런데 어째서인지 장르가 Latin House로 변경되었다. === [[DJMAX TECHNIKA 3]] === |||||||||||| [[DJMAX TECHNIKA 3]] || || 패턴 || 랭크 || 가격 || 난이도 || 설명 || 비고 || ||<#FFB0B0> Star || || || 3 || || || || Normal || || || 5 || || || || {{{#white Hard}}} || || || 6 || ||[[Cotton Candy(DJMAX)|Cotton Candy]] 세트 수록 || 변경점은 없다. === [[DJMAX TECHNIKA Q]] === |||||||| [[DJMAX TECHNIKA Q]]의 뮤직팩 16 수록곡 || || [[Remember(DJMAX)|Remember]] || '''Here in the Moment''' || [[SON OF SUN]] || [[Hello Pinky]] || |||||||||||| [[DJMAX TECHNIKA Q]] 난이도 체계 || |||| 2라인 |||| 3라인 || || 패턴 || 난이도 || 패턴 || 난이도 || ||<#FFFF00> NORMAL || 2 ||<#FFFF00> NORMAL || 3 || ||<#0000FF> {{{#white HARD}}} || 4 ||<#0000FF> {{{#white HARD}}} || 5 || ||<#FF0000> EXPERT || 6 ||<#FF0000> EXPERT || 7 || [youtube(9MhJ6A6yosg)] 3라인 EXPERT 플레이 영상. 전체적으로 스크롤이 느리고 박자가 까다로워 판정이 안 나오는 편이다.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CE)]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ere in the Moment_1.png|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24deg, #c1903d 0%, #c1903d 1.8%, #f2bb04 1.8%, #f2bb04 3.5%, #ffe520 3.5%, #ffe520 5.2%, #fff075 5.2%, #fff075 8.2%, #fff4b1 8.2%, #fff4b1 10.2%, #fff9db 10.2%, #fff9db 34%, #ffffff 34%, #ffffff 58%, #fffbea 58%, #fffbea 62.5%, #f7ecbf 62.5%, #f7ecbf 66.5%, #f6dd91 66.5%, #f6dd91 68.5%, #edc95b 68.5%, #edc95b 72%, #dcb335 72%, #dcb335 73.7%, #e6bc3a 73%, #e6bc3a 74.7%, #dcaf13 74.7%, #dcaf13 77%, #d59c00 77%, #d59c00 78.5%, #ba8b0a 78.5%, #ba8b0a 83%, #ac7b22 83%, #ac7b22 86%, #906b33 86%, #906b33 87.5%, #a97d1f 87.5%, #a97d1f 88%, #c48f1f 88%, #c48f1f 89.5%, #daa742 89.5%, #daa742 91%, #f3da8c 91%, #f3da8c 92.5%, #daa742 92.5%, #daa742 94%, #d59c00 94%, #d59c00 97.2%, #af9043 97.2%, #af9043 98.7%, #d9c256 98.7%, #d9c256 100%)" '''{{{#737373 CLAZZIQUAI}}}'''}}} || ||<-4>'''{{{+5 Here in the Moment}}}''' || || 모드 || NM || HD || MX || '''SC''' || ||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4 [br] {{{-5 192}}}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259}}}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433}}} || [[파일:djmaxsc5.png|width=16]] {{{#purple,#f21cc7 '''5'''}}} [br] {{{-5 655}}}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4 [br] {{{-5 232}}}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313}}}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538}}} || [[파일:djmaxsc10.png|width=16]] {{{#purple,#f21cc7 '''8'''}}} [br] {{{-5 784}}}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226}}}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350}}}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471}}} || -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232}}} || -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430}}} || [[파일:djmaxsc10.png|width=16]] {{{#purple,#f21cc7 '''6'''}}} [br] {{{-5 702}}} || ||<-5> 특수 패턴 || || 4B FX ||<-4> [[DJMAX RESPECT V/미션/DLC#s-4.2.3|Metro Project vol.1]]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9db,#ffffff,#f7ecbf)" {{{-3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 4B TUNES ==== || {{{#737373 NM}}} || {{{#737373 HD}}} || ||
[[https://youtu.be/sh2_WYJwH5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https://youtu.be/JvE9m1a9kE4|[[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 {{{#737373 MX}}} || {{{#737373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447Lz_NVhk)]}}}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yDDUvYYnWg)]}}} || 4B SC는 12비트 변박과 한줄 연타가 자주 나온다. 패턴 자체는 13레벨이라고 봐도 좋을 정도로 쉽기 때문에 노래를 얼마나 잘 알고 있는가가 포인트. 이후 구 13레벨 중위권에 해당하는 SC 5레벨로 조정되었다. ==== 5B TUNES ==== || {{{#737373 NM}}} || {{{#737373 HD}}} || ||
[[https://youtu.be/h657R3aah1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https://youtu.be/1MalmSD1n1I|[[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 {{{#737373 MX}}} || {{{#737373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YYkB4R_nj8U)]}}}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NI8Ssq0ZQY)]}}} || 5B SC는 겹연타 패턴이 자주 등장해 힘들 수 있다. ==== 6B TUNES ==== || {{{#737373 NM}}} || {{{#737373 HD}}} || ||
[[https://youtu.be/X6uNpy3-7n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FiCTyPYlgGM)]}}} || || {{{#737373 MX}}}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y9eOnebC5lg)]}}} || || ==== 8B TUNES ==== || {{{#737373 NM}}} || {{{#737373 MX}}} || ||
[[https://youtu.be/lHqkcNcFBF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dcH2dfs2L6s)]}}} || || {{{#737373 S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2GXlwQHa4IM)]}}} || || 8B SC의 경우 14레벨 치고는 트리거 연타 정도만 주의해주면 특별히 어려운 곳이 없어 8버튼 14레벨 내에서는 하위권 포지션이었고, 이후 SC 6레벨로 조정되었다. 다만 퍼펙트 플레이를 노리는 유저라면 최후반 부분에서 트리거 롱노트와 단노트의 박자가 어긋나는 부분을 주의해야 한다. == Here in the Moment ~Extended Mix~ == [[DJMAX RESPECT]]에서의 '''LINK DISC 기능 추가와 함께 CE DLC 특전 신곡'''으로 제공되었다. 원래는 OST에도 이 곡의 풀버전이 수록된 적이 없었기 때문에, 이 곡이 풀버전이 있다는 것 자체가 드러나지 않았다. 그러던 중 DMP CE 출시 이후 대략 10년 가량이 지난 2017년 말에 와서야 풀버전의 정체가 공개된 것인데, 제작진에 따르면 원래는 제작진들도 이 곡이 풀버전이 있다는 것을 모르고 있었으나 데이터를 복원하던 도중 풀버전의 존재를 확인해 수록했다고 한다. 커팅 버전과의 차이점은 앞 부분 전주가 두 번 반복되며, 프리코러스가 존재하고 뒷부분에 애드립을 포함한 후렴이 한 번 더 재생된다. CE 시절에도 이 곡을 좋아하는 사람이 많았고, 구성 자체가 단순히 원곡을 늘려놓은 것이 아니라 어느정도 다채로운 부분이 있어 풀버전이 공개되고 나서 좋은 반응을 얻었다. 익스텐디드 믹스 자체가 긴 길이 때문에 선곡률은 높지 않으나, 그나마 익스텐디드 버전 중에서는 평가가 좋은 곡 중 하나.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CE)]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ere in the Moment Extended Mix_1.png|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24deg, #c1903d 0%, #c1903d 1.8%, #f2bb04 1.8%, #f2bb04 3.5%, #ffe520 3.5%, #ffe520 5.2%, #fff075 5.2%, #fff075 8.2%, #fff4b1 8.2%, #fff4b1 10.2%, #fff9db 10.2%, #fff9db 34%, #ffffff 34%, #ffffff 58%, #fffbea 58%, #fffbea 62.5%, #f7ecbf 62.5%, #f7ecbf 66.5%, #f6dd91 66.5%, #f6dd91 68.5%, #edc95b 68.5%, #edc95b 72%, #dcb335 72%, #dcb335 73.7%, #e6bc3a 73%, #e6bc3a 74.7%, #dcaf13 74.7%, #dcaf13 77%, #d59c00 77%, #d59c00 78.5%, #ba8b0a 78.5%, #ba8b0a 83%, #ac7b22 83%, #ac7b22 86%, #906b33 86%, #906b33 87.5%, #a97d1f 87.5%, #a97d1f 88%, #c48f1f 88%, #c48f1f 89.5%, #daa742 89.5%, #daa742 91%, #f3da8c 91%, #f3da8c 92.5%, #daa742 92.5%, #daa742 94%, #d59c00 94%, #d59c00 97.2%, #af9043 97.2%, #af9043 98.7%, #d9c256 98.7%, #d9c256 100%)" '''{{{#737373 CLAZZIQUAI}}}'''}}} || ||<-4>'''{{{+1 Here in the Moment}}} {{{-1 ~Extended Mix~}}}''' || || 모드 || NM || HD || MX || '''SC''' || ||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4 [br] {{{-5 481}}}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552}}}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br] {{{-5 835}}} || [[파일:djmaxsc10.png|width=16]] {{{#purple,#f21cc7 '''8'''}}} [br] {{{-5 1196}}}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362}}}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812}}}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1 [br] {{{-5 1166}}} || -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525}}}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br] {{{-5 937}}}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 [br] {{{-5 1182}}} || -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362}}}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820}}}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1 [br] {{{-5 1215}}} || [[파일:djmaxsc10.png|width=16]] {{{#purple,#f21cc7 '''8'''}}} [br] {{{-5 1313}}}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9db,#ffffff,#f7ecbf)" {{{-3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2021년 12월 2일 패치로 인해 시즌 4부터는 이 곡이 래더 매치에 등장하지 않게 되었다. ==== 4B TUNES ==== || {{{#737373 NM}}} || {{{#737373 HD}}} || ||
[[https://youtu.be/HLUB2qtL-i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https://youtu.be/O9pIcN-trK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 {{{#737373 MX}}} || {{{#737373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fVNhSK954fc)]}}}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4L1_1ntufU)]}}} || ==== 5B TUNES ==== || {{{#737373 NM}}} || {{{#737373 HD}}} || ||
[[https://youtu.be/KeS3IimJ8h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nXlKowhCw4)]}}} || || {{{#737373 MX}}}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8kFzeTyG_kM)]}}} || || ==== 6B TUNES ==== || {{{#737373 NM}}} || {{{#737373 HD}}} || ||
[[https://youtu.be/MM1zY1Qr4N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9ZsSpNL9hOw)]}}} || || {{{#737373 MX}}}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63OhuskfVE)]}}} || || ==== 8B TUNES ==== || {{{#737373 NM}}} || {{{#737373 HD}}} || ||
[[https://youtu.be/kNgTst5rVf4|[[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https://youtu.be/EjBdOu96r1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 {{{#737373 MX}}} || {{{#737373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GlDciuO9Y)]}}}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1ldx2iU1X7s)]}}} || 8B SC의 경우 단순히 기존 버전의 8B SC 패턴을 늘어뜨린 것이 아닌, 기존 패턴을 차용하면서 살짝 꼬아놓은, 다른 전개 방향으로 짜여졌다. 초반 등장하는 코러스 보이스를 활용한 롱노트 패턴도 인상적이며, 전반적으로 롱노트를 적극적으로 사용해 연주감이 좋은 편. 패턴의 단순 난이도 자체는 8에 미치지 않으나, 해당 곡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만족할만한 퀄리티의 패턴. 기존 8B SC에서 최후반 롱노트와 단노트의 박자가 어긋나는 부분이 익스텐디드 패턴에서는 정박으로 맞춰져 있다. [[분류:DJMAX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