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external/p.eagate.573.jp/201512_rb_08.jpg]] [목차] == 개요 == [youtube(r6g_kNGFyVw)] || Ladies and Gentlemen 3 2 1 Drop it! || [[BEMANI|BEMANI 시리즈]]의 수록곡으로, 작곡가는 [[USAO]]. 해당 작곡가가 [[리플렉 비트 시리즈]]에 처음으로 참여한 곡이다. Hastur라는 제목의 어원은 [[크툴루 신화]]의 [[하스터]]. 그에 따라 자켓도 하스터를 그려냈다. 장르는 덥스텝, 트랩을 활용한 컴플렉스트로. [[리플렉 비트 VOLZZA/해금요소#s-4|ULTIMATE SURVIVAL]]에서 1STAGE, 2STAGE에서 상위권의 성적을 거두었다. 2019년 3월 21일 리듬게임 [[Arcaea]]에 해당 곡의 후속곡인 [[Cyaegha]]가 수록되었다. 해당곡을 만들때 Teminite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았다고 밝혔다.[[https://twitter.com/USAO926/status/1475548078069657600?s=20|#]] [[https://youtu.be/Qg1qZq5yjps|예시곡]] [[https://youtu.be/1QYXgKe-HyU|예시곡2]] == [[리플렉 비트 시리즈]] == [include(틀:ULTIMATE SURVIVAL/1회)] |||||||||||||| [[리플렉 비트]] 난이도 체계 || || [[BPM]] |||||||||||| 난이도 || ||<|2><:> 118 || {{{#green BASIC}}} || {{{#orange MEDIUM}}} || {{{#red HARD}}} || {{{#FF0090 S}}}{{{#FFAA08 P}}}{{{#08AFDB E}}}{{{#FF0090 C}}}{{{#08AFDB I}}}{{{#FFAA08 A}}}{{{#08AFDB L}}} || || {{{#green 4}}} || {{{#orange 6}}} || {{{#red 9}}} || {{{#08AFDB 11}}} || || 오브젝트 || {{{#green 132}}} || {{{#orange 211}}} || {{{#red 398}}} || {{{#08AFDB 600}}} || || 수록버전 ||||||||<#00B1DE> [[리플렉 비트 VOLZZA|{{{#white 리플렉 비트 VOL}}}{{{#fd6000 ZZ}}}{{{#white A}}}]] || |||||||||||||| [[리플렉 비트 유구의 리플레시아|리플레시아]] 이후의 난이도 체계 || || [[BPM]] |||||||||||| 난이도 || ||<|2><:> 118 || {{{#green BASIC}}} || {{{#orange MEDIUM}}} || {{{#red HARD}}} || {{{#Magenta WHITE HARD}}} || || {{{#green 6}}} || {{{#orange 8}}} || {{{#red 11}}} || {{{#Magenta 14}}} || || SKILL RATE || {{{#green ??}}} || {{{#orange ??}}} || {{{#red ??}}} || {{{#magenta ??}}} || || 오브젝트 || {{{#green ???}}} || {{{#orange ???}}} || {{{#red ???}}} || {{{#magenta ???}}} || || MAX COMBO || {{{#green 286}}} || {{{#orange 364}}} || {{{#red 647}}} || {{{#Magenta 837}}} || || JUST REFLEC || {{{#green ?}}} || {{{#orange ?}}} || {{{#red ?}}} || {{{#magenta ?}}} || [youtube(5wHbNXR9rHM)] HARD 9레벨 99.2% 영상 슬라이드 오브젝트를 적극 활용했다. [youtube(FFs4J2yH2mY)] SPECIAL 11레벨 99.2% 영상 전체적으로 좀 느린 스크롤 속도와 살짝 이빨빠진 박자의 조합의 연계를 기반으로 슬라이드가 꾸준히 나오는데, 16비트로 슬라이드- 3톱 - 일반노트 등으로 연계되는 구조가 많아 자잘하게 노트를 흘리기 쉽다. 전체적으로 미스보다는 Great나 Good를 유도하는 패턴이라 곡 전체적으로 두번 등장하는 원핸드에서 저스트 리플렉 욕심만 부리지 않으면 풀 콤보 난이도까지는 11 안에서는 매우 쉬운 편. 초견에는 살짝 불친절한 박자로 어려움을 겪을 수 있지만, [[GLITTER(BEMANI 시리즈)|GLITTER]]나 [[TITANS RETURN]]같이 통째로 외워야 하는 수준은 아니라서 금방 감잡을수 있다. 노트 수가 많은건 아니라서 상기한 원핸드나 슬라이드 연계를 잘 넘기는 것이 고득점의 포인트. 속도때문에 헷갈린다면 하이스피드 옵션을 적극적으로 사용할것을 추천한다. +100을 걸어도 다른 11~12레벨의 스크롤 속도 평균치정도의 속도를 보여주는게 굉장히 압박. 그 외 특징으로는 일반 롱 오브젝트나 버티컬 오브젝트가 단 한 개도 안 나온다. 2018년 11월 15일 리플레시아에 부활하였다. 슬라이드가 삭제되면서 기존의 슬라이드로 구현된 엇박이 모조리 스위치 롱 오브젝트로 바뀌었는데, 첫부분만 치고 나머지는 쭉 이어지는 슬라이드와 달리 전부 치고 떼야 하기 때문에 엇박 성향이 더 심화되었고, 기존의 톱노트 견제도 바뀌지 않아 기존 스페셜보다 훨씬 어려워졌다. === 곡 코멘트 === || 안녕하세요, USAO입니다. 배틀이라는 일이기에, 이번에는 특히 다른 작곡가님들에게는 지지않을 음악을 만들었습니다. 리플렉 비트 전국시대, 시청자는 무엇을 원하는가 생각하면 역시 저는 우블 베이스라고 생각합니다. 예. 뒤집어 보면, 우블 베이스를 기대하고 있다는 생각도 있지만, 예. 우블 베이스만 있어도 음악적으로 뭔가가 부족하다고 생각하게 되지요, 그것이 뭔가 하면, 역시 [[EDM]] 같은 것이지요. 리듬 게임은 음악이 주인공이라고 생각하지만, 만드는 저도 주인공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이벤트 중에는 어필하고 싶다고 생각합니다. 음~ 다시 생각하니 굉장하구나 생각하네요. 저는 역시. - [[USAO]] || == [[DANCERUSH]] == [include(틀:DANCERUSH DGYM)] ||<-4> {{{#!wiki style="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45deg, #fef43c, #ed37ea, #2c5fe5, #78fcf7)" {{{#!html DANCERUSH}}}[br]{{{#!html 난이도 체계}}} }}} || || 곡명 ||<-3>'''{{{+2 Hastur}}}''' || || 아티스트 ||'''USAO''' || 촬영 || {{{+2 ○}}} || || 장르 ||EDM / BEMANI || BPM || 118 || || 버전 ||<-3> {{{#!wiki style="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45deg, #fef43c, #ed37ea, #2c5fe5, #78fcf7)" [[DANCERUSH STARDOM|{{{#!html DANCERUSH}}} {{{#!html STARDOM}}}]] }}} || ||<-4> 난이도 및 노트 수 || || || [[파일:댄스러쉬_icn_easy.png]] ||<-2> [[파일:댄스러쉬_icn_normal.png]] || ||<|2> 1인용 || 7 ||<-2> 10 || || 289 ||<-2> 384 || ||<|2> 2인용 || 7 ||<-2> 10 || || - ||<-2> - || ||||||<-4><:>{{{#!folding 해금 조건 및 할인 미션 {{{#!wiki style="margin: 0 -11px -6px" ||<-3><#384355> '''{{{+2 {{{#yellow ★}}}{{{#white 80}}}}}}''' || ||<-2> 해금조건 || - || ||<|3> 미션 ||<#384355> {{{#fff A}}} || [[Forgetting Machine]] 클리어 || ||<#384355> {{{#fff B}}} || [[Forgetting Machine]] 해금 || ||<#384355> {{{#fff C}}} || [[Forgetting Machine]] 95점 이상 클리어 || }}}}}} || [youtube(wJUrwrg7Fko)] [youtube(LkhujVSXpAc)] DGYM 극 티스텝 트레이닝 곡으로 등장했다. 원곡 그대로 이식된 곡들 중에서는 최초로 10레벨을 배정받았다.[* 여담이지만 이식 공지가 올라올 당시엔 리플렉비트 유구의 리플레시아에서 부활되기 전이였기 때문에 이게 리플렉에서 이식된 줄 모르는 사람들도 있었다...] 8th KAC 댄스러시 부문 결승전에서 선곡된 곡이다. 보기 드문 저속곡 10레벨 패턴인데다 8th KAC에서 선곡 된 덕분에 인기가 높아진 반면 DGYM이 끝난 이후 1년 넘게 복각이 되지 않다보니 크없찐([[Crazy Shuffle]] 없는 찐따)에 이은 하없찐(Hastur 없는 찐따)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찾는 사람들이 많았었다. 현재는 통상 스타 해금곡으로 풀렸으니 하없찐은 옛말이지만. [[분류:리플렉 비트 VOLZZA의 수록곡]][[분류:DANCERUSH STARDOM의 수록곡]][[분류:크툴루 신화/파생 작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