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파일:happyxmas.jpg|width=100%]]|| ||'''수록 앨범'''||없음|| ||'''싱글 발매일'''||[[파일:미국 국기.svg|width=28px]] [[1971년]] [[12월 1일]][br][[파일:영국 국기.svg|width=28px]] [[1972년]] [[11월 24일]]|| ||'''장르'''||[[록 음악|록]]|| ||'''작사/작곡'''||[[존 레논]], [[오노 요코]]|| ||'''프로듀서'''||[[존 레논]], [[오노 요코]], [[필 스펙터]]|| ||'''러닝 타임'''||3:25|| [목차] == 개요 == || [Youtube(g_kj60DIq2M)] || || 뮤직비디오 || [[존 레논]]이 [[1971년]] [[존 레논]] & [[오노 요코]] 플라스틱 오노 밴드 with 할렘 커뮤니티 합창단(Harlem Community Choir) 명의로 발매한 싱글. == 상세 == [[1969년]] 12월, 존과 요코는 전세계 11개 도시 중심가에 커다란 입간판을 세웠다. 하얀 바탕에 ‘War Is Over If You Want It, Happy Christmas from John & Yoko'라는 글자만 새긴, 평화 캠페인의 일환이었다. 해당 캠페인을 바탕으로 제작된 곡 'Happy Xmas (Was Is Over)'는 1971년 12월 미국에서 먼저 싱글로 발매되었으며 뒤늦게 1972년 영국에서 발매되어 UK 차트 4위에 오르는 등 커다란 인기를 모았다. [[필 스펙터]]는 이미 [[1963년]]에 [[A Christmas Gift for You from Phil Spector]]라는 크리스마스 앨범을 만들어 본 짬밥이 있는지라, 크리스마스 음악에 어떠한 사운드가 필요한지 정확히 알고 있었다. 필 스펙터는 록큰롤과는 어울리지 않는 프로듀서였지만, 이 곡과 같이 사운드의 풍성함과 코러스가 필요한 곡에서는 제대로 능력을 발휘했다. 흑인 어린이 30명으로 이루어진 '하렘 커뮤니티 합창단(Harlem Community Choir)'의 순수한 코러스와 알맞은 가사가 잘 어울린 곡이다. == 가사 == || '''{{{#50bcdf {{{+4 Happy Xmas (Was Is Over)}}}}}}''' Happy Xmas, Kyoko Happy Xmas, Julian 메리 크리스마스, 쿄코[* 오노 요코가 전 남편 토니 콕스와의 사이에서 낳은 딸.] 메리 크리스마스, [[줄리안 레논|줄리안]] So this is Xmas And what have you done Another year over And a new one just begun And so this is Xmas I hope you have fun The near and the dear one The old and the young 크리스마스가 왔네요 무엇을 하며 지냈나요? 또 한 해가 끝났네요 새로운 해가 시작됐어요 크리스마스가 왔어요 즐거움을 만끽하길 바라요 가장 가깝고 사랑스러운 사람이여 나이든 이도 어린 친구들도 A very Merry Xmas And a happy New Year Let's hope it's a good one Without any fear 아주 기쁜 크리스마스에요 행복한 새해를 맞길 바라요 새해는 좋은 일들만 가득하고 안 좋은 일은 없길 바라요 And so this is Xmas (war is over) For weak and for strong (if you want it) For rich and the poor ones (war is over) The world is so wrong (if you want it) And so happy Xmas (war is over) For black and for white (if you want it) For yellow and red ones (war is over) Let's stop all the fight (now) 크리스마스가 왔네요(전쟁은 끝나요) 약한 이들을 또 강한 이들을 위하여 (당신이 원한다면) 부유한 이들 또 가난한 이들을 위하여(전쟁은 끝나요) 세상은 참 잘못됐죠 (당신이 원한다면) 그러니 부디 행복한 크리스마스가 되길 (전쟁은 끝나요) 흑인도 백인도 (당신이 원한다면) 아시아인도 공산주의자들도 (전쟁은 끝나요) 모두 싸움은 다 그만두자구요 (지금) A very Merry Xmas And a happy New Year Let's hope it's a good one Without any fear 아주 기쁜 크리스마스에요 행복한 새해를 맞길 바라요 새해는 좋은 일들만 가득하고 안 좋은 일은 없길 바라요 And so this is Xmas (war is over) For weak and for strong (if you want it) For rich and the poor ones (war is over) The world is so wrong (if you want it) And so happy Xmas (war is over) For black and for white (if you want it) For yellow and red ones (war is over) Let's stop all the fight (now) 크리스마스가 왔네요(전쟁은 끝나요) 약한 이들을 또 강한 이들을 위하여 (당신이 원한다면) 부유한 이들 또 가난한 이들을 위하여(전쟁은 끝나요) 세상은 참 잘못됐죠 (당신이 원한다면) 그러니 부디 행복한 크리스마스가 되길 (전쟁은 끝나요) 흑인도 백인도 (당신이 원한다면) 아시아인도 공산주의자들도 (전쟁은 끝나요) 모두 싸움은 다 그만두자구요 (지금) A very Merry Xmas A very Merry Xmas And a happy New Year Let's hope it's a good one Without any fear 아주 기쁜 크리스마스에요 행복한 새해를 맞길 바라요 새해는 좋은 일들만 가득하고 안 좋은 일은 없길 바라요 War is over, if you want it War is over now Happy Xmas 전쟁은 끝나요, 당신이 원한다면 전쟁은 당장이라도 끝난답니다 행복한 크리스마스가 되길 [[파일:John Lennon Logo.png|width=100]] || == [[마일리 사이러스]] & [[마크 론슨]] 버전 == [include(틀:마일리 사이러스)] ---- {{{#!wiki style="word-break:keep-all" ||<-3><#f4f4f4> '''[[마일리 사이러스/싱글 목록|{{{#313131 마일리 사이러스의 역대 싱글}}}]]''' || || ← ||<|2> [[마일리 사이러스/싱글 목록|{{{#!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313131; font-size: 0.55em; letter-spacing: -0.1px" {{{#f4f4f4 '''콜라보레이션'''}}}}}}]][br]''' ''{{{+1 Happy Xmas (War Is Over)}}}'' '''[br]{{{-2 (2018. 12. 14.)}}} || → || || [[마일리 사이러스/싱글 목록|{{{#!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000; font-size: 0.55em; letter-spacing: -0.1px" {{{#F29796 '''피처링 싱글'''}}}}}}]][br]'''[[Nothing Breaks Like a Heart|{{{#F29796 Nothing Breaks Like a Heart}}}]]'''[br]{{{-2 (2018. 11. 29.)}}} || [[SHE IS COMING|{{{#!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color:#000; font-size: 0.55em; letter-spacing: -0.1px" {{{#fff '''SHE IS COMING'''}}}}}}]][br]'''[[Mother's Daughter|{{{#000,#fff Mother's Daughter}}}]]'''[br]{{{-2 (2019. 06. 07.)}}} || ||<-3><#f4f4f4> '''[[마크 론슨|{{{#313131 마크 론슨의 역대 싱글}}}]]''' || || ← ||<|2> [[마크 론슨|{{{#!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313131; font-size: 0.55em; letter-spacing: -0.1px" {{{#f4f4f4 '''콜라보레이션'''}}}}}}]][br]''' ''{{{+1 Happy Xmas (War Is Over)}}}'' '''[br]{{{-2 (2018. 12. 14.)}}} || → || || [[마크 론슨|{{{#!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000; font-size: 0.55em; letter-spacing: -0.1px" {{{#F29796 '''Late Night Feelings'''}}}}}}]][br]'''[[Nothing Breaks Like a Heart|{{{#F29796 Nothing Breaks Like a Heart}}}]]'''[br]{{{-2 (2018. 11. 29.)}}} || [[마크 론슨|{{{#!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000; font-size: 0.55em; letter-spacing: -0.1px" {{{#F29796 '''Late Night Feelings'''}}}}}}]][br]'''[[마크 론슨|{{{#F29796 Late Night Feelings}}}]]'''[br]{{{-2 (2019. 04. 12.)}}} ||}}} {{{#!wiki style="word-break:keep-all" ||<-3> '''{{{+2 ''Happy Xmas (War Is Over)''}}}[br]{{{-2 The Promotional Single by Miley Cyrus & Mark Ronson}}}''' || ||<-3>{{{#!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appy Xmas (War Is Over)_Miley Cyrus.jpg|width=100%]]}}}|| || '''아티스트''' ||<-2> [[마일리 사이러스]], [[마크 론슨]] || || '''발매일''' ||<-2> 2018년 12월 14일 || || '''수록 음반''' ||<-2> - || || '''송라이터''' ||<-2> [[존 레논]], [[오노 요코]] || || '''프로듀서''' ||<-2> [[마크 론슨]] || || '''장르''' ||<-2> [[팝 음악|팝]] || || '''길이''' ||<-2> 3:40 || || '''레이블''' ||<-2>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5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fff;" [[소니 뮤직 엔터테인먼트#s-6.2.1|[[파일:RCA 레코드 로고.svg|width=50]]]]}}} || ||<|2> '''성적''' || [include(틀:빌보드 로고,문서명=빌보드 핫 100)] || '''-[* 디지털 송 차트 47위]''' || || [[Official Charts|[[파일:오피셜 차트 로고.svg|width=50]]]] || '''-''' ||}}} [clearfix] [[마일리 사이러스]]와 [[마크 론슨]]의 커버 버전으로, 2018년 12월 14일 발매되었다. [[존 레논]]의 아들 '[[션 레논]]'이 피처링으로 참여하였다. 마일리 사이러스와 마크 론슨은 같은 해 11월 [[Nothing Breaks Like a Heart]]를 통해 한 차례 협업한 바 있다. 두 사람은 'Nothing Breaks Like a Heart'의 홍보를 위해 출연한 [[SNL]]의 무대에서 'Nothing Breaks Like a Heart'와 함께 이 노래 또한 불렀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zkg3kBIv88)]}}} || || '''Official Performance'''[br]{{{#!wiki style="margin-bottom: -5px" {{{-2 ^^(2018. 12. 21.)^^}}}}}}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PlA1Egabj0)]}}} || || '''Live at SNL'''[br]{{{#!wiki style="margin-bottom: -5px" {{{-2 ^^(2018. 12. 17.)^^}}}}}} || [[분류:Imagine]][[분류:1971년 노래]][[분류:존 레논 노래]][[분류:1971년 싱글]][[분류:1972년 싱글]][[분류:캐럴]][[분류:마일리 사이러스/싱글]][[분류:2018년 싱글]][[분류:2018년 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