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파일:external/global.jaxa.jp/htv_main_001.jpg|width=400]] || ||<-2> 이미지 [[http://global.jaxa.jp/projects/rockets/htv/|출처]] || ||<-2> 제원 [[https://www.nasa.gov/mission_pages/station/structure/elements/htv.html|출처]], || || ISS로 첫 발사 || 2009 || || 발사장소 || [[일본]] [[다네가시마 우주센터]] || || 발사체 || [[H-IIB]] 로켓 || || 길이 || 9.2 m (30 ft) || || 직경 || 4.4 m (14.4 ft) || || 발사 중량 || 16,500 kg (36,375 lb) || || 화물 적재량 || 5,500 kg (12,125 lb) || || 가압 용적 || 14 [math( m^3 )] (495 [math( ft^3 )]) || || 비가압 용적 || 16 [math( m^3 )] (565 [math( ft^3 )]) || || 궤도상 기간 || 6 개월 || || 도킹 방식 / 구역 || 로봇팔을 이용한 도킹[* [[스페이스X#s-4.1|드래곤]]와 같은 방식] / 미국 구역 || || 귀환 방식 || 재진입시 파괴 || [목차] == 개요 == H-II 화물선(HTV)은 일본우주항공연구기구 [[JAXA]]에서 [[국제우주정거장]]으로 화물을 운송하기 위해 개발한 세계 최대 크기의 무인 보급선으로 가압, 비가압 상태의 5.5 톤 가량의 화물을 ISS로 운반 할 수 있다. 별칭 코우노토리 (こうのとり)[* 일본어로 [[황새]]]로, 2020년 5월 21일의 9호기 발사를 마지막으로 퇴역한다. 현지시작으로 동일 오전 2시 46분에 코우노토리 9호기가 분리에 성공하며, H-2B 로켓은 100%의 성공률을 기록했다. == 상세 == 도킹 방식은 HTV가 ISS에 접근해 [[랑데부]]를 하면 ISS의 승무원이 로봇 팔을 이용하여 잡아다 하모니 노드[* [[국제우주정거장#s-3]] 항목 참조] 모듈에 꽂는 방식이다. [[유럽 우주국]]의 무인 보급기 ATV나 [[러시아]]의 프로그레스가 자동 도킹 능력을 위해 큰 엔진부와 부스트용 연료모듈을 달아 화물 탑재 공간을 낭비한 반면 HTV는 철저히 대량 적재에 집중하여 설계되었다. || [[파일:external/www.nasa.gov/383071main_03_HTV_cutaway.jpg|width=500]] || || HTV의 구조 || || [[파일:external/www.nasa.gov/383076main_06_cargo_layout.jpg|width=500]] || || 가압 화물 수송부 내부의 모습 || 화물 운송 부분은 가압 화물 수송부(Pressurized Logistics Carrier, PLC)와 비가압 화물 수송부(Unpressurized Logistic Carrier, ULC) 두개로 구성되어 있다. 가압 화물 수송부는 실험용 선반, 음식물, 의복등을 내부에 탑재하고 1 기압으로 유지한 상태로 화물을 운반한다. 또 내부 온도는 단독 비행중이나 정박[* ISS에 도킹된]상태에서도 유지된다. 비가압 화물 수송부는 노출된 화물 운반대를 제공하는데, ISS 외부에서 사용할 외부 실험 물품과 예비 부품들을 운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우주왕복선]]의 짐칸과 비슷한 용도] HTV는 타국의 우주 보급선에 비교해 가장 큰 비가압 화물 수송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ISS 운영에 필요한 대형 부품들은 물론, 초소형 인공위성인 [[큐브샛]]도 여러 개 탑재할 수 있다. || [[파일:900px-Unmanned_resupply_spacecraft_comparison.png|width=100%]] || || 붉은색 부분이 가압 화물 수송부, 주황색 부분이 비가압 화물 수송부, 파란색은 보급선용 연료부이다.[br]왼쪽에서 세번째가 HTV. 네번째는 HTV의 후계인 HTV-X다. || 가압 화물 수송부는 ISS에 정박해 있는 동안 승무원들이 들어가서 직접 보급품을 하역할 수 있고, 비가압 화물 수송부는 정거장(Station's) 로봇 팔과 키보(일본의 ISS 모듈)에 탑재된 캐나다제 로봇 팔을 이용해 화물을 하역한다. 하역을 완료한 이후에는 HTV에 쓰레기와 기타 폐기물을 채운 이후 도킹을 풀고 지구로 재돌입시켜 파괴한다. == HTV-R == [[파일:htvr_separate.jpg|width=600]] ISS에서 실험 샘플 및 물자를 회수하기 위한 1.6톤 규모의 재돌입 캡슐을 탑재한 버전이다. 기술 실증을 위해 폭 1.5m 크기의 샘플 회수 캡슐을 탑재한 HTV 7호기가 2018년 9월, H2B 7호기에 의해 처음 쏘아올려졌고, 11월 경에 이를 일본 영해에 착수 시켜 회수하는데 성공했다.[[https://www.sankei.com/life/news/181111/lif1811110031-n1.html|#]] [[파일:HTV-7-Launch-Sept-2018.jpg|width=400]] HTV-7 발사장면 == 차세대기 == === HTV-X === [[파일:CzyhmD-UkAAzDnS.jpg|width=600]] [[파일:Captu4re.png|width=600]] [[H-III]] 로켓에 탑재될 보급선으로 [[H-IIB]] 로켓에서 발사되던 기존의 HTV를 후계한다. HTV보다 적재량이 1.3배 늘어나고, 추진 및 전기체계를 통합해 단순화되었으며, [[별자리]]를 통한 위치 인식 센서와 태양 전지 패들 및 서비스 모듈을 부착해 자유로운 비행 및 자세 제어 능력을 부여하면서도 제조 비용은 절반으로 반감했다. 2021년에 첫 발사될 예정이다. 향후 [[아르테미스 계획]]으로 건설되는 [[루나 게이트웨이|달 궤도 스테이션]] 및 심우주 보급선 혹은 HTV-R의 대형 회수 캡슐을 탑재하거나 로봇팔을 달아 인공위성에 접근해 원격 수리하는 등 여러가지 활용 방안들이 구상되고 있다. [[분류:나무위키 천문학 프로젝트]][[분류:우주선]][[분류:JAX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