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3 VP9}}}'''[br]''VolksPistole 9''}}}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VP9/1.jpg|width=100%]][br][[파일:attachment/VP9/3.jpg|width=100%]]}}}|| || '''종류''' ||[[자동권총]] || || '''원산지''' ||[[파일:독일 국기.svg|width=23]] [[독일]] || ||<-2> {{{#!folding 【펼치기 · 접기】 ||<-2>
{{{#White '''이력'''}}} || || '''역사''' ||[[2014년]]~현재 || || '''생산''' ||[[헤클러 운트 코흐]] || || '''생산년도''' ||[[2014년]]~현재 || || '''단가''' ||$719 || || '''사용국''' ||[[파일:독일 국기.svg|width=23]] [[독일]][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3]] [[일본]][br][[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width=23]] [[리투아니아]] || ||<-2> {{{#White '''기종'''}}} || || '''파생형''' ||VP40 || ||<-2> {{{#White '''제원'''}}} || || '''탄약''' ||[[9×19mm 파라벨룸]][br][[.40 S&W]] (VP40) || || '''급탄''' ||15/17/20발들이 박스탄창 || || '''작동방식''' ||쇼트 리코일[br]락드 브리치[br]브라우닝식 라킹[br]틸팅 배럴 || || '''총열길이''' ||104mm || || '''전장''' ||186.5mm || || '''전고''' ||137.5mm || || '''전폭''' ||33.5mm || || '''중량''' ||0.753kg ||}}}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xvgMe1I9SY)]}}}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5n_VSwSlKts)]}}} || || 헤클러 운트 코흐 사의 홍보 영상 || [[hickok45]]의 리뷰 영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VP9/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VP9/4.jpg|width=100%]]}}} || VP[* [[국민권총|Volkspistole]]의 줄임말. [[H&K VP70]]의 네이밍을 계승했다.] 또는 SFP[* SFP는 스트라이커 발사 권총이라는 뜻이며 주로 유럽시장과 캐나다에서 사용하는 명칭이다.]는 2014년부터 [[헤클러 운트 코흐]]에서 생산하는 [[자동권총]]으로, 민간 및 경찰용 시장을 노리는 권총이다. == 특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VP9/7.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VP9/12.jpg|width=100%]]}}} || || VP9의 단면도. [[공이치기]](해머)가 없는 스트라이커식(공이 직동식) 내부 구조를 알 수 있다. || 내부 구조 || 현대 유행하는 폴리머프레임 스트라이커 방식의 권총이며, 기본 디자인은 [[H&K HK45]]와 [[H&K P30]]을 기반으로 설계되었다. 따라서 슬라이드 디자인이 P30과 거의 동일하며, P30의 탄창을 사용할 수 있다. 작동 방식 외에도 폴리고널 바렐 등 여러가지로 [[글록]]과 유사한 점이 많다. 그도 그럴게 [[H&K P7]]이후 단절되었던 스트라이커 작동방식을 도입 한 이유가, 다분히 군경용으로 대량 도입된 글록과 독일의 경찰용 화기 자리를 위협하는 [[발터(총기회사)|발터]] 사의 [[발터 PPQ]] 시리즈를 의식하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마냥 글록이나 PPQ를 따라했다고 하기엔 [[헤클러 운트 코흐|H&K]] 입장에서는 너무 억울한 게, 중간에 맥이 끊겼을 뿐, 폴리머 프레임 + 스트라이커 방식의 원조는 바로 1970년대에 개발한 [[H&K VP70]]이었고, 그 후로도 뒤이어 [[H&K P7]]을 개발하는 등 스트라이커 방식에 있어서 경쟁사들보다 오히려 앞서서 경험을 쌓은 적이 있었다. 아무튼 그 진짜 원조를 계승한다는 의미로 VP시리즈가 되었다. 스트라이커식 권총은 트리거 작동이 불편한 경우가 있는데, VP9에서는 상당한 개발 시간을 소요해 [[H&K P7]]에서 사용된 독특한 스트라이커 코킹방식 대신 [[글록]]식의 트리거 안전장치를 도입하였다. 트리거 작동이 매우 깔끔하다. 트리거 압 자체는 5.5lbs로 글록과 같지만, 확실한 브레이크와 짧은 리셋으로 작동한다고 한다.[* 독일 특수부대용 SFP9-SF 의 경우 5.4lbs, 독일 경찰용 듀티 모델인 SFP9-TR 의 경우 6.7lbs]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VP9/10.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VP9/5.jpg|width=100%]]}}} || 최신 총기답게 양손잡이식 레버형 탄창멈치를 사용한다. 또한 Charging Support라는 슬라이드 좌우 양쪽 끝에 돌출된 부분이 있어 장전이 용이하며, [[발터 P99]]와 흡사한 장전 확인용 돌기가 있다. 가늠자는 3점식 가늠자이고 옵션으로 트리튬 야광 가늠자를 선택할 수 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VP9/1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VP9/8.jpg|width=100%]]}}} || 권총 분해는 왼쪽에 위치한 분해 레버를 아래로 내리면 되며, 슬라이드를 제거하기 위해 방아쇠를 당길 필요가 없다. 안전상의 문제로 인하여 탄창을 장착한 상태에서는 분해가 불가능하다. [[파일:attachment/VP9/6.jpg|width=580]] 손잡이는 인체공학적이며, Glock이나 P30처럼 사이드패널과 백스트랩을 교체가 가능하며, 사이즈도 다양하다. 다만 기본 탄창으로도 17+1 심지어 19+1발도 나오는 요즘 풀사이즈 9mm 권총의 장탄수에 비해 15+1발이라는 적은(?) 장탄수와 상대적으로 비싼 가격 등은 단점. 하지만 VP9의 원형이 된 [[H&K P30|P30]]이 글록 19와 거의 비슷한 사이즈였다는 것을 보면 P30보다 약간 큰 VP9의 15+1발짜리 탄창은 컴팩트 사이즈로서는 뛰어나지는 않지만 그럭저럭 괜찮은 편이다. [[H&K P30]]뿐만 아니라 [[H&K USP]]나 [[H&K P2000]]과의 탄창 호환도 무시할 수 없었던 것 같고[* 다만 VP9/P30의 탄창은 USP 컴팩트나 P2000에 호환되지만 그 반대는 별도의 개조를 거치지 않는 한 안 된다. 길이가 짧으니까.], 정 힘들다면 (글록의 33연발 탄창만은 못하지만) [[https://www.hkparts.net/shop/pc/+5-Magazine-Extension-Kit-For-VP9-VP9-Tactical-P30-P30L-P30S-367p17597.htm|5발 연장 액세서리]]로 20+1발도 가능하고, 30발 탄창[[https://hkparts.net/product/magazine-complete-30-round-9mm-vp9-p30-p17172.htm|#]]과 32연발 탄창[[https://gunmagwarehouse.com/promag-h-k-vp9-9mm-32-round-magazine.html|#]]도 출시되었다. 2020년 1월부터는 기본형 탄창이 종전의 15+1에서 17+1발로 늘어나고, 소형 조준경의 장착이 기본 지원되고 가늠자가 개량되었다. 유려한 디자인과 [[헤클러 운트 코흐|H&K]]의 브랜드 파워로 인해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 사용국 == * [[파일:독일 국기.svg|width=20]] [[독일]] - [[브란덴부르크]]/[[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작센]]/[[니더작센]]/[[바이에른]]주 경찰, [[베를린]]시 경찰, [[GSG-9]]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미국]] - 피닉스, 매디슨, 화이트홀, 투퀼라, 클라크, 하이어츠빌시 경찰 *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20]] [[스위스]] - [[바젤]]주 경찰 *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width=20]] [[룩셈부르크]] - 대공국 경찰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20]] [[튀르키예]][* 튀르키예 총기 제조업체 사실마즈 암즈에서 라이선스 생산] - '''SAR9'''라는 명칭으로서 경찰총국, [[튀르키예 육군]] 제식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일본]] - '''9mm 신 권총(9mm拳銃 SFP9)'''이라는 제식 명칭으로서 [[육상자위대]]에 채용. [[경시청]]에서도 사용이 확인되고 있다.[[https://youtu.be/lRrANquHHAo|#]]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0]] [[우크라이나]] - 독일에서 500정을 제공했다. == 등장작품 == * [[007 스펙터]]에 등장한다. * [[서든어택/무기/권총#s-15|서든어택]]에서는 라이센스 이슈로 인하여 VS-9 으로 등장하여 권총용 레드 도트 사이트가 달렸음에도 불구하고 줌을 킬때 스코프 화면으로 나와 또 다시 고증 오류를 범하고 말았다. == [[에어소프트건]] == [[가스 블로우백]] 모델로는 [[VFC]]에서 Umarex의 라이선스를 취득하여 2016년 말에 발매한 제품이 있다. 슬라이드 내부 공간을 최대한 활용한 특이한 형태의 실린더로 인해 순정상태에서의 반동은 여태까지의 VFC 제품 중 최고라는 평을 받고 있지만 동시에 VFC답게 군데군데 아쉬운 부분이 있다는 상반된 평이 존재한다. 특히 출시 초기 모델의 경우 산업폐기물이라는 평가가 많았다. [[에어코킹건|에어코킹]] 모델로는 국내의 [[아크로모형]]에서 2016년 하반기 [[플래툰 컨벤션]] 때 제품화를 발표하고 개발 중에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2017년 현재 해외에서는 판매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아크로모형의 다른 출시작이었던 [[베레타 Px4 Storm]]때처럼 라이선스 문제가 아직 해결되지 않았는지 결국 정식으로 출시를 하지 못하고 2022년 플래툰 컨벤션때 극 소수의 물건만 조립식으로 메탈 슬라이드+ 메탈 바렐 포함하여 8만 5천원이라는 살짝 높은 가격에 잠깐 판매되고 끝이났다. 구조 자체는 기존 P99와 별 차이가 없다. 일본 자위대의 차기 제식권총으로 선정되었기 때문에 일본쪽 업체들의 제품화가 거의 확실시 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전/튀르키예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일본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우크라이나 보병장비)] [include(틀:보병장비 둘러보기)] [[분류:자동권총]][[분류:보병 무기/현대전]][[분류:H&K]][[분류:2014년 출시]]